항목
-
역학 易學역을 학리적(學理的)으로 탐구하는 학문 학문. 유학. 개설 한국 사상사에 있어서 역학의 위치는 철학적 · 윤리적 내지 종교적 차원에서 최고의 원리로 인식되어 왔다. 한국 민족의 역사와 이념을 상징하는 국기가 태극기(太極旗)로 된 것도 역리(易理)를 얼마나 소중히 여겼는가를 단적으로 보여 주는 것이다. 이는 ...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역학 譯學조선시대 육학의 하나로 외국어를 학습·교육·연구하고 통역하는 일에 관한 학문. 내용 외국어는 역어(譯語)라 하고, 역학에 종사하는 사람은 역학인(譯學人) 또는 역학자(譯學者)라 하고, 통역에 종사하는 사람은 역어지인(譯語之人)·역어인(譯語人)·역인(譯人)·역자(譯者)·설인(舌人)·설자(舌者)·상서(象胥)...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역학 力學물체의 운동에 관한 법칙을 연구하는 학문. 내용 힘의 개념은 물체의 운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운동을 다루는 운동학과도 연관성이 있다. 운동학은 영어로 kinematics라고 하는데 물체의 속도나 가속도를 다룬다. 이 중에서 가속도의 개념은 힘의 정의와 직결되어 있으며, 가속도와 힘을 연결시켜 주는 개념이 질량...
- 유형 :
- 개념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