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앵초과 櫻草科, Primulaceae
    앵초목에 속하는 한 과.|28속이 속하며 꽃피는 초본식물로 이루어져 있다. 전세계에 분포하지만 대부분의 종들은 북반구의 온대지방과 한대지방에서 자라고 있으며, 북극과 고산지에서도 많은 종이 자란다. 이들 1년생 또는 다년생초들은 잎이 홑잎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나기도 한다. 꽃은 양성화이며 열매는 삭과이...
  • 앵초과 Primulaceae, サクラソウ科
    생물 분류 앵초과는 진달래목의 과이다. 주로 북반구의 온대 지역에 분포하며, 열대나 남반구에는 적은 수만이 있을 뿐이다. 세계적으로 20속의 1,000여 종 가량이 알려져 있는데, 한국에는 앵초·큰까치수염·까치수염·봄맞이꽃·종다리꽃·좁쌀풀·기생꽃 등 9속 23종이 분포하고 있다. 모두 풀로서, 잎은 보통 뿌리...
    도서 위키백과
  • 앵초목 櫻草目, Primulales
    타과(Theophrastaceae)와 자금우과(Myrsinaceae) 2과는 주로 열대산이다. 이들 대부분은 교목과 관목으로 늘푸른 잎과 작은 꽃, 다육질의 열매를 갖는다. 앵초과(Primulaceae)는 주로 북온대지방과 북극지방에서 자라며 1년생과 다년생 초본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들은 큰 꽃과 터져서 씨를 퍼트리는 삭과를 맺는다...
  • 큰까치수염 Lysimachia clethroides
    개요 쌍떡잎식물강 진달래목 앵초과 큰까치수염속에 속하는 속씨식물. 학명은 ‘Lysimachia clethroides Duby’이다. 꽃의 모양이 까치의 흰 목덜미 부분을 닮았다고 해서 큰까치수염이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설이 있다. 형태 키는 1m 정도까지 자라는데, 줄기의 아래쪽은 약간 붉은빛을 띠고 윗부분에는 털이 나 있다...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진달래목 > 앵초과 > 큰까치수염속
    원산지 :
    아시아 (중국,대한민국,일본)
    서식지 :
    산지
    크기 :
    약 50cm ~ 1m
    학명 :
    Lysimachia clethroides Duby
    꽃말 :
    달성
  • 빌레나무 Broad flat rock tree
    부근의 종가시나무(Q. glauca Thunb.) 숲 속 또는 숲 가장자리에 자란다. 빌레나무과(Maesaceae)는 빌레나무속(Maesa) 1속으로 구성되며, 꽃자루에 1쌍의 소포엽이 있고, 가웅예가 없으며, 다수의 종자가 있는 폐과로서 자금우과(Myrsinaceae) 및 앵초과(Primulaceae)와 구분된다.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현진오, 나혜련...
    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앵초목 > 빌레나무과 > 빌레나무속
    서식지 :
    숲 가장자리
    크기 :
    1~1.5m
    학명 :
    Maesa japonica (Thunb.) Moritzi & Zoll.
    분포지역 :
    제주도, 타이완, 베트남, 일본, 중국
    개화기 :
    4~5월
  • 부처꽃류 loosestrife
    특히 부처꽃속(―屬 Lythrum)과 데코돈속 식물을 말하며, 앵초과(Primulaceae)의 까치수염속·스테이로네마속의 2속을 지칭하는 경우도 있다. 털부처꽃은 유라시아가 원산지이며 지금은 북아메리카 동부지방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데, 키가 0.6~1.8m이며 강둑과 개천 등지에서 자란다. 가지를 친 줄기에 너비가 좁고, 끝...
  • 앵초목 Primulales, サクラソウ目
    문 (Magnoliophyta) 쌍떡잎식물강 (Magnolliopsida) 오아과아강 (Dilleniidae) 앵초목 (Primulales) 테오프라스타과 (Theophrastaceae) 자금우과 (Myrsinaceae) 앵초과 (Primulaceae) 엥글러 분류 체계는 합판화아강에 속하며, 3과를 포함하고 있다. 속씨식물문 (Angiospermae) 쌍떡잎식물강 (Dicotyledoneae...
    도서 위키백과
  • 진달래목 Ericales, ツツジ目
    레키티스과(Lecythidaceae) 마르크그라비아과(Marcgraviaceae) 미트라스테마과(Mitrastemonaceae) 펜타필락스과(Pentaphylacaceae) 꽃고비과(Polemoniaceae) 앵초과(Primulaceae) 로리둘라과(Roridulaceae) 사포테과(Sapotaceae) 사라세니아과(Sarraceniaceae) 슬라데니아과(Sladeniaceae) 때죽나무과(Styracaceae...
    도서 위키백과
  • 테오프라스타아과 Theophrastoideae
    APG II 분류 체계는 약 15종의 추가 종과 함께 사몰루스속(Samolus)을 추가했으며, 넓은 지역에 분포한다.저널 인용 APG III 분류 체계는 이 과를 확장된 앵초과(넓은 의미) 안에 포함시키고 있다.저널 인용 col-1-of-2 사몰루스족(Samoleae Rchb.) Samolus L. 테오프라스타족(Theophrasteae Bartl.) Bonellia Bertero...
    도서 위키백과
  • 광엽초본 Forb
    꿀풀과 통발과 림난테스과 아마과 부처꽃과 아욱과 뽕나무과 분꽃과 바늘꽃과 열당과 괭이밥과 양귀비과 자리공과 질경이과 갯질경과 꽃고비과 마디풀과 앵초과 미나리아재비과 레세다과 장미과 꼭두서니과 현삼과 가지과 팥꽃나무과 쐐기풀과 마편초과 제비꽃과 남가새과 쌍떡잎식물 초본식물 United States Department...
    도서 위키백과
  • 앵초속 Primula, サクラソウ属
    새뿌리가 잘 뻗도록 한다. 열매는 삭과이며 주로 산지에서 자라며 강원·경기·평북·함남 등지에 분포한다. 프리뮬러(Primula)는 식물분류학상으로는 앵초과 앵초속의 이름이지만 보통 외래 재배종을 가리킨다. 앵초속 식물은 대부분 여러해살이며 약 200종이 알려져 있다. 주로 북반구의 한대 또는 산지에 많이 자생...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앵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