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선의 화단을 지배한 위대한 화원, 안견 안가도(安可度), 安堅
    한국적 산수화풍을 창출했으며, 이후 조선 회화에 큰 영향을 끼쳤다.|안견은 조선 초기에 활동한 화원으로, 한국적 산수화풍을 창출한 조선 시대 최고의 화가로 꼽힌다. 그가 활동하던 당시부터 조선 중기 이후까지 조선 시대 화원 대부분이 그의 화풍을 이어받았을 정도로 우리나라 회화사상 영향력이 가장 큰 인물이...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대표작 :
    〈몽유도원도〉 등
    시기 :
    조선 초기
  • 안견 가도, 安堅
    조선 시대의 대표적인 걸작인 <몽유도원도>를 그린 당대 최고의 화가. 특히 산수화로는 필적할 사람이 없었다고 전해지며 한국적인 산수화풍을 만들어 이후 조선 회화에 많은 영양을 미쳤다.|생애 조선 초기의 화가다. 1400년경 전후로 태어나 세종 때부터 세조 시기까지 활동한 것으로 추측한다. 본관은 지곡(池谷). ...
    시대 :
    조선 초기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대표작 :
    〈몽유도원도〉 등
  • 안견 가도(可度), 득수(得守), 安堅
    조선 전기 「팔준도」, 「몽유도원도」, 「대소가의장도」 등을 역임한 화가.|요약문 안견은 조선전기 「팔준도」, 「몽유도원도」, 「대소가의장도」 등을 그린 화가이다. 생몰년은 미상이다. 세종 대에 가장 왕성하게 활동하고 문종과 단종을 거쳐 세조 대까지도 화원으로 활약했다. 안평대군을 가까이 섬기면서 그...
    시대 :
    조선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경력 :
    정4품
    유형 :
    인물
    직업 :
    화가
    성별 :
    분야 :
    예술·체육/회화
    본관 :
    지곡(池谷)
  • 안견 (관련어 안 견) An Kyŏn, 安堅
    양반 정보 안견(安堅, ?~?)은 조선의 화가로, 호는 현동자(玄洞子), 본관은 지곡(池谷)이다. 1400년을 전후로 태어나 조선 세종과 문종 전후에 활약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도화서의 화원으로 정4품 호군(護軍)을 지냈다. 1447년(세종 29년) 안평대군을 위하여 《몽유도원도》를 그리고, 이듬해 《의장도》(儀丈圖)를 그...
    도서 위키백과
  • 몽유도원도 안견의 몽유도원도에서 세월을 잊습니다, 夢遊桃源圖
    '몽유도원도'는 지금 외출 중 이맘때쯤이면 앞산, 뒷산 불그스레한 복숭아꽃이 곱게 필 때입니다. 안견의 '몽유도원도'에 등장하는 복숭아꽃도 그런 예쁜 꽃이었을까요? '몽유도원', '무릉도원'처럼 신비하고 아름다운 절경에 반드시 등장하는 도원(桃源)이라는 복숭아꽃밭은 중국 송나라 시인 도연명의 '도화원기'에...
  • 안견기념관
    서산 출신인 현동자 안견은 조선 초기 산수화 풍을 창출한 한국화의 대가로 신라의 솔거, 고려시대 이녕과 함께 우리나라 3대 화가로 손꼽힌다. 현존하는 선생의 대표적인 작품은 조선 초 회화에 큰 영향을 주었던 곽희파 서풍을 바탕으로 안평대군의 부탁을 받고 단 3일 만에 그린 몽유도원도이다. 광해군 11년에 기록...
    위치 :
    충청남도 서산시 지곡면 안견관길 15-17
    설립자 :
    서산시장
  • 몽유도원도 夢遊桃源圖
    개설 안견이 1447년(세종 29)에 그린 산수화로 비단 바탕에 수묵담채로 그렸다. 크기는 세로 38.7㎝, 가로 106.5㎝이고, 일본의 덴리대학(天理大學) 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1447년 4월 20일안견의 독실한 후원자였던 안평대군(安平大君)이용(李瑢)이 꿈 속에 도원(桃源)을 방문하고 그 내용을 안견에게 설명하여...
    시대 :
    조선전기
    저작자 :
    안견
    창작/발표시기 :
    1447년(세종 29)
    성격 :
    산수화
    유형 :
    작품
    크기 :
    세로 38.7㎝, 가로 106.5㎝
    권수/책수 :
    1점
    재질 :
    비단 바탕에 수묵담채
    분야 :
    예술·체육/회화
    소장/전승 :
    일본 덴리대학(天理大學) 중앙도서관
  • 몽유도원도 夢遊桃源圖
    수묵담채. 세로 38.7cm, 가로 106.5cm. 일본 덴리대학[天理大學] 중앙도서관 소장. 세종의 셋째 아들인 안평대군이 무릉도원을 방문하는 꿈을 꾸고 그 내용을 안견에게 설명한 후 그리게 한 것이다. 그림과 함께 안평대군의 표제와 발문을 비롯해 신숙주(申叔舟)·정인지(鄭麟趾)·박팽년(朴彭年)·성삼문(成三問) 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한국화 , 동양화
  • 안견파 安堅派
    15세기 중엽경에 활약한 안견의 화풍을 따랐던 일군의 화가들을 총칭한 말이다. 이들은 중국 북송대의 이곽파(李郭派) 화풍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한국화된 면을 보여준다. 몇 개의 도식화된 경물들이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대칭으로 배치된 구도, 따로 흩어져 있으면서도 서로 조화를 이루는 각 경물들간의 구성, 그 사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사시팔경도 사계팔경도, 四時八景圖
    8폭으로 이루어진 화첩 중 하나로 늦은 가을을 묘사하고 있다. 곽희파 학풍에 바탕을 둔 전형적인 조선 초기 화풍을 보여주며 안견파 화풍의 초기 양식이 잘 나타나 있다. 근경에는 낯익은 언덕과 초가집들이 보이고 뒤쪽으로 안개에 쌓인 주산이 뒤로 물러나면서 높아지고 있다. 주산의 왼쪽 골짜기에서는 작은 폭포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품 , 미술
  • 사시팔경도 중 만춘 四時八景圖 中 晩春
    그림을 팔경도라 하고, 춘·하·추·동 4계절의 풍경을 8장면으로 표현한 산수화를 사시팔경도(또는 사계팔경도)라고 한다. 주로 화첩이나 병풍에 그렸다. 이 작품은 안견이 이른 봄·늦은 봄·이른 여름·늦은 여름·이른 가을·늦은 가을·이른 겨울·늦은 겨울의 경치를 8폭에 그린 작품 중 만춘의 풍경을 묘사한 것...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품 , 미술
  • 사시팔경도 사계팔경도, 四時八景圖
    8폭으로 이루어진 화첩 중 하나로 늦은 겨울을 묘사하고 있다. 곽희파 학풍에 바탕을 둔 전형적인 조선 초기 화풍을 보여주며 안견파 화풍의 초기 양식이 잘 나타나 있다. 근경에는 강변 마을을 보호하듯 언덕이 서 있고, 뒤쪽에 폭포를 수반한 험준한 주산이 버티고 있다. 주산과 근경 사이에 뻗은 나지막한 산줄기 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품 , 미술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2건

몽유도원도 / 안견
안견 '몽유도원도'
적벽도 / 안견
안견의 사시팔경도 중 만추
근역화휘 중 전안견필산수도
〈몽유도원도〉
사시팔경도
사시팔경도
몽유도원도
몽유도원도 / 안견
안견, 〈몽유도원도〉
안견기념관
몽유도원도(부분) / 안견
사시팔경도 / 안견
사시팔경도 / 안견
안견의 몽유도원도(부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