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청나라 시대, 아편 전쟁 (관련어 아편) 阿片戰爭청나라의 내정이 불안한 가운데 서양에서는 점차 거센 바람이 일었다. 그러나 청나라에서는 황제를 비롯한 중신들이 여전히 중화 사상에 도취되어 바깥 세상에는 전혀 무감각했다. 당시 국제 정제를 살펴보면 포르투갈·스페인·영국 등은 일찍부터 해양에 진출하여 항로를 개척하고 교역을 시도하고 있었다. 특히 영국...
-
청나라 시대, 제2차 아편 전쟁 (관련어 아편) 애로호 전쟁태평천국의 난이 한창이던 1856년에 애로 호 사건이 발생하였다.이 사건은 영국·프랑스·미국·러시아 등 세계 열강이 15년 전에 있었던 아편 전쟁의 성과를 한층 더 충족시키기 위해 일으킨 싸움으로 아편 밀수선 수색 문제를 둘러싸고 일어났기 때문에 제2차 아편 전쟁이라고도 부른다. 사건은 중국인 소유 아편 밀수...
-
-
아편 阿片2년생 초본식물인 양귀비의 즙액을 건조시켜 굳힌 물질, 또는 이것을 가공한 갈색의 물질. 내용 마약의 일종으로 마취제 또는 설사·이질 등에 쓰이며, 코데인·모르핀 등의 원료가 된다. 아편은 생아편·의약용아편·흡연용아편 등으로 나누어진다. 생아편은 덜 익은 양귀비 열매에 상처를 내어 거기서 흘러나오는 액...
- 시대 :
- 근대
- 성격 :
- 의약품, 마약
- 유형 :
- 물품
- 용도 :
- 의료용, 흡연용
- 분야 :
- 과학/의약학
-
아편덜 익은 양귀비 열매에 상처를 낸 뒤 흘러나오는 진(津)을 굳혀서 말린 흑갈색의 고무 모양 물질로 진통제, 진경제, 마취제, 지사제 등으로 쓰인다. 강한 중독성이 있어 약용 이외의 사용을 법적으로 금지한다.
-
양귀비 앵속생물학적 특징 2년생 초본, 높이는 50~150㎝ 식물체는 분백, 무모 잎은 호생, 장타원형, 길이 3~20㎝, 첨두, 밑부분은 줄기를 반쯤 쌈, 결각상 거치연 꽃은 5~6월 홍색 또는 흰색 개화, 봉오리는 밑으로 처짐, 꽃받침조각은 2개, 조락, 꽃잎은 4개, 원형, 수술은 다수, 암술대는 방사형 열매는 삭과, 구형 종자는 윗부분...
- 분류 :
- 양귀비과(Papaveraceae)
- 학명 :
- Papaver somniferum L
- 본초명 :
- 앵속각(罌粟殼)
- 분포지역 :
- 외래식물(유럽원산)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가 알려주는, 마약성 진통제 오남용 위험성과 예방법 (관련어 ..)마약성 진통제는 아편에서 유래하거나 합성된 성분으로 아편유사제(Opioid)라고 하며, 우리 뇌의 아편유사제 수용체에 작용하여 통증을 감소시키는 약물인데요. 일반적으로 중등도 이상의 급성 또는 만성 통증의 완화 및 치료에 사용되지만, 남용하거나 잘못 사용할 경우 중독이나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각별...
- 출처 :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1855-2221)
-
영국과 청나라의 무역 마찰이 낳은 전쟁, 아편 전쟁동안 약 1억냥이나 되는 돈을 소모하였다. 그 결과 국가 재정이 극도로 악화되었고, 청나라는 쇠퇴기에 접어들고 말았다. 무역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아편을 이용한 영국 영국은 산업 혁명으로 대량 생산된 상품을 팔기 위해 이미 포화 상태가 된 유럽을 벗어나 새로운 시장인 아시아·아메리카·아프리카로 눈을...
- 발생 :
- 1839년
- 종결 :
- 1860년
-
청나라 근대화의 계기, 아편전쟁 제1차 중·영전쟁무역에서 발생하는 막대한 무역 적자를 해소하기 위해 1840년, 전쟁이라는 극단적인 방법을 선택하기에 이른다. 이것이 바로 아편전쟁이다. 영국은 자국의 주요 수출품인 아편에 대해 청나라가 부당하게 단속했음을 명분으로 내세웠으나, 후세는 아편전쟁을 역사상 가장 부도덕한 전쟁이라고 일컫는다. 1685년, 청나라는...
- 시대 :
- 184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