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아산 이충무공 유허 牙山 李忠武公 遺墟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에 있는 조선시대 충무공 이순신 관련 사당. 생가·순절지. 사적. 개설 아산 이충무공 유허는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백암리에 있는 현충사(顯忠祠)의 사역으로, 1967년 3월 18일에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이 유적에는 정문인 충무문을 비롯하여 홍살문, 충의문, 본전, 고택, 연지(蓮池), 정려...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아산 이충무공 유허아산 이충무공 유허는 아산 현충사 일대의 성역을 말한다. 현충사는 임진왜란에서 나라를 구한 영웅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사당으로 1706년(숙종 32)에 처음 세워졌다. 1932년에는 이충무공 유적보존회가 결성되어 사당을 다시 지은 후, 1966년부터 1974년까지 정부 차원에서 성역화하고 사적으로 지정하였다. 이곳은 이...
- 위치 :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현충사길 126
- 문화재 지정 :
- [아산 이충무공 유허] 사적 제155호(1967.03.18 지정)
도서 대한민국 구석구석 -
-
아산 이충무공 유허 (관련어 아산이충무공유허)문화재 정보 아산 이충무공 유허(牙山 李忠武公 遺墟)는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에 있는, 충무공 이순신이 무과에 급제하기 전까지 살았던 곳으로, 지금의 현충사이다. 1967년 3월 18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155호로 지정되었다. 충무공 이순신이 무과에 급제하기 전까지 살았던 곳을 오늘날 성역화한것을 말한다. 임진왜...도서 위키백과
-
관음포 이충무공 전몰 유허남해대교를 지나 남해군으로 들어서서 가다 보면 곧 오른쪽에 관음포 이충무공 전몰 유허를 만나게 된다. 1598년 11월 19일 조선과 명나라 연합수군은 도주하는...육지에 오른 곳이다. 그 후 충무공의 유해는 남해 충렬사를 거쳐 1599년 충청남도 아산에 모셔졌다. 이락사가 호국 성지로서의 모습을 갖추기 시작한 것은...
- 소재지 :
- 경상남도 남해군 고현면 차면리 산 125번지
- 지역 :
- 남해
-
아산시 牙山市현충사에는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국보, 1962년 지정) · 이순신 유물 일괄(보물, 1963년 지정)이 전시되어 있다. 염치읍 백암리의 아산 이충무공 유허(사적, 1967년 지정), 영인면의 김옥균선생 유허(충청남도 기념물, 1976년 지정) 가 있다. 온천동의 영괴대(충청남도 문화재자료, 1984년 지정...
- 유형 :
- 지명/행정지명ˑ마을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묘당도 이충무공 유적월송대-이충무공 가묘 유허 충무사 홍살문 맞은 편 작은 언덕이 이순신 장군의 두 번째 무덤이 있던 월송대이다. 월송대는 이순신 장군이 고금도에 머물 당시 군사들의 훈련과 장비 등을 점검하는 장소였다. 충무공이 고금도에 진을 치고 있던 8월 18일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사망했다. 조선군과 명나라군은 그의 죽음을...
- 소재지 :
- 전라남도 완도군 고금면 세동84번길 86-31 (덕동리)
- 지역 :
- 완도
-
아산시의 유물·유적·관광무공유허(牙山李忠武公遺墟:사적 제155호)를 중심으로 조성된 현충사 등 관광자원이 풍부한 고장이다. 국가지정문화재(국보 1, 보물 4, 사적 3, 중요민속자료 6), 도지정문화재(유·무형문화재 4, 기념물 7, 민속자료 3), 문화재자료 25점이 있다. 선사시대의 유물로는 청동기시대의 토기·석기가 곳곳에서 출토되어...
-
-
염치읍 鹽峙邑, Yeomchi-eup충청남도 아산시 중부에 있는 읍. 남쪽 경계를 흐르는 곡교천 연안에 비교적 넓은 평야가 발달했으며, 그밖의 지역은 대체로 300m 이하의 낮은 산지를 이룬다...있는 충무유원지는 주민들의 휴식처로 이용된다. 유물·유적으로는 이충무공 유허(사적 제155호)와 이순신 관련 고문서-사패교지(보물 제1564-15호)가 보존...
- 인구 :
- 7,378 (2017)
- 면적 :
- 42.10㎢
- 행정구역 :
- 31개리 107개반
- 소재지 :
- 충청남도 아산시
- 사이트 :
- http://town.asan.go.kr/yeomchi/asan/%EC%86%8C%EA%B0%9C/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