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아산시의 유물·유적·관광

다른 표기 언어

온천과 아산이충무공유허(牙山李忠武公遺墟:사적 제155호)를 중심으로 조성된 현충사 등 관광자원이 풍부한 고장이다. 국가지정문화재(국보 1, 보물 4, 사적 3, 중요민속자료 6), 도지정문화재(유·무형문화재 4, 기념물 7, 민속자료 3), 문화재자료 25점이 있다. 선사시대의 유물로는 청동기시대의 토기·석기가 곳곳에서 출토되어 청동기문화의 단면을 잘 보여준다.

현충사

현충사, 사적 제155호, 충남 아산시 염치면 백암리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산성으로는 신창학성(新昌鶴城: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44호)·배방산성(排芳山城:충청남도 기념물 제67호)이 대표적이며, 그밖에 영인산성·근덕리산성·꾀꼬리성·물한산성·연암산성이 있고, 연암산봉수지가 남아 있다. 불교문화재로는 읍내동에 아산읍내리당간지주(牙山邑內里幢竿支柱:보물 제537호), 온천동에 고려 후기의 온천리석탑, 조선 후기의 온천리석불(溫泉里石佛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27호), 아산평촌리석조약사여래입상(보물 제536호), 영인신현리미륵불(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34호) 등 다수가 있다. 유교문화재로는 온양향교대성전(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23호)·아산향교대성전(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24호)·신창향교대성전(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25호)·아산맹씨행단(牙山孟氏杏壇:사적 제109호)을 비롯해 1476년(성종 7)에 건립된 신정비(神井碑: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29호) 등이 있다. 이충무공난중일기부서간첩임진장초(李忠武公亂中日記附書簡帖壬辰狀草:국보 제76호)와 이충무공유물(보물 제326호) 등이 현충사에 보관되어 있고, 1951년에 건립된 이충무공사적비(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30호)가 있다. 1978년에 온양민속박물관이 건립되어 민속자료 수집·연구 및 전통문화 재현 등 한국 문화의 계승 발전과 함께 교육적 관광자원으로의 역할도 하고 있어 관광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또한 용화동에는 세종대왕이 안질을 치료했던 우물이라 해서 어의정 또는 어정어천이라 하는 우물이 있다. 이 우물은 공주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굴·조사해 1992년 7월에 복원했으며, 현재 약수터와 시민들의 휴식처로 이용되고 있다.

이 지역의 관광은 주로 온양온천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최근에는 유황온천인 도고온천과 음봉면 신수리에 아산온천이 개발되어 도시인들의 발길이 잦다. 온양온천은 한국의 온천 중 가장 오래된 곳으로 피부병·위장병·신경통 등에 특효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서울 고속 버스터미널에 직접 연결되므로 수도권 관광객이 많다.

이외에도 전통건조물보존지구로 지정된 외암리민속마을이 있다. 특히 교육적 가치가 높은 현충사를 비롯한 아산향교, 이지함 공적비 등은 수학여행 코스로도 인기가 있으며, 아산만방조제와 삽교천방조제 또한 관광자원이 되고 있다. 바다와 인접해 있어 다양한 관광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온양온천 지역을 중심으로 한 가족관광 및 온천휴양권 개발계획이 수립되어 있어, 관광지로의 개발이 더욱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충청남도

충청남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아산시의 유물·유적·관광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