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아부 하니파 아부 하니파 알 누만, Abu Hanifah
    이슬람의 법학자·신학자. 정식 이름은 Abū Ḥanī-fah Annu⁽mān ibn Thābit.|이슬람 법학 교의를 체계화하여 이슬람교의 4대 법학파 중의 하나를 이루었다. 법관의 직위를 끝내 사양하며 정치에 관여하기를 꺼렸기 때문에 우마이야조와 아바스조에게 박해를 받았다. 아부 하니파 학파는 대부분의 이슬람 왕조가 이 ...
    출생 :
    699, 이라크 쿠파
    사망 :
    767, 바그다드
    국적 :
    이슬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법률가
  • 아부 하니파 Abu Hanifa, アブー・ハニーファ
    인물 정보 아부 하니파(Abu Hanifa, 699년 경 ~ 767년 CE)는 8세기의 수니파 신학자, 페르시아인 기원의Pakatchi, Ahmad and Umar, Suheyl, "Abū Ḥanīfa", in: Encyclopaedia Islamica, Editors-in-Chief: Wilferd Madelung and, Farhad Daftary. 법학자이다. 쿠파의 이슬람 가정에서 태어난 아부 하니파는 젊을 때 아...
    도서 위키백과
  • 디나와리 아부 하니파 아흐마드 이븐 다우드, ad-Dῑnawari
    헬레니즘과 아라비아의 인문주의에 관심을 가졌으며, 이때문에 그는 이라크 학자인 알 자히즈(al-Jaḥiz)와 비교되고 있다. 이라크의 바스라 시와 알쿠파 시에서 언어학을 공부했다. 그곳에서 익힌 지식에 관한 체계적인 접근은 〈식물의 서 Kitāb an-nabāt〉에 잘 나타나 있는데, 이는 식물학에 관한 초기 이슬람교...
    출생 :
    815경
    사망 :
    895/902경
    국적 :
    페르시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하나피야 Hanafiyah
    쿠파와 바스라의 고대 이라크 학파들의 법률에 관한 견해들을 결합한 것이다. 하나피 법 사상은 신학자 이맘 아부 하니파(700경~767)의 가르침을 아부 유수프(?~798)와 무하마드 앗 샤이바니(749/750~805)와 같은 제자들이 발전시킨 것으로 아바스 왕조, 셀주크 왕조, 오스만 왕조의 이슬람 법 해석의 공식 체계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법률가
  • 자파르 이븐 무하마드 Ja'far ibn Muhammad
    첩들이 낳았다. 그는 배우려고 모여든 제자들에게 매우 관대했는데 그들 가운데는 이슬람 4대 공인 법학파에 속하는 하나피파와 말리키파의 설립자인 아부 하니파와 말리크 이븐 아나스 및 무타질라파의 설립자인 와실 이븐 아타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유럽에서 게베르로 알려진 연금술사 자비르 이븐 하이얀도 유명...
    출생 :
    699/700 또는 702/703, 아라비아 메디나
    사망 :
    765, 메디나
    국적 :
    시아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이슬람교 , 종교
  • 알 마투리디 Abū Manṣūr Muḥammad al-Māturῑdῑ
    법은 당시에 널리 유행하고 있었는데 어떻게 마투리디가 그러한 사상의 주창자로 인정받게 되었는지, 또 무타질라파의 방법을 처음 채택했다고 생각되는 아부 하니파(?~767) 대신 마투리디가 그렇게 했다고 뒤바뀌어진 이유가 무엇인지는 알 수 없다. 마투리디는 또한 인간의 책임감을 강조한 것으로 유명하다. 이는...
    출생 :
    미상
    사망 :
    944, 사마르칸트
    국적 :
    이슬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이슬람교 , 종교
  • 이맘 Imam
    7이맘파)는 7명의 이맘을 주장했고, 이스나 아샤리야(12이맘파)는 12명의 이맘을 주장했을 뿐이다. 이맘은 칼리프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와, 신학자 아부 하니파, 앗 샤피이, 말리크 이븐 아나스, 아흐마드 이븐 한발, 알 가잘리, 무하마드 아브두 등과 같은 인물에 붙일 때에는 명예로운 경칭으로도 사용되었다. 이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이슬람교 , 종교
  • 이스티흐산 istihsan
    종교적 의무에 대한 진정한 지식과 정확한 해석이 오류가 섞인 독단적인 판단으로 손상될 것을 우려하여, 이스티흐산의 실행을 전면 금지했다. 아부 하니파(767 죽음)의 추종자들은 최선의 해결책에 대한 판단을 내리려면 모두 반드시 다른 대안들에 대해서 신중히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이스티흐산은 사실상 유추의 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이슬람교 , 종교
  • 하나피파 Hanafi school, ハナフィー学派
    전통을 자랑하는 학파이다. 학파의 창시자는 아부 하니파 안누만이며, 그의 가르침은 아부 유수프와 무함마드 빈 알하산 아샤이바니에 의해 유지됐다. 아부 하니파는 샤리아의 법원으로 쿠란과 하디스 이외에 이성(ra‘y)에 근거한 키야스(qiyas, 유추)를 채택하여 매우 폭넓 게 사용하였다. 따라서 하나피파는 샤리아에...
    도서 위키백과
  • 나쉬드 Nasheed, ナシード
    주요 마드하브들 - 이슬람 사상의 학파들 - 의 설립자들뿐만 아니라 많은 저명한 학자들은 악기의 합법성과 사용에 대해 토론했다. 예를 들어, 학자인 아부 하니파와 연관된 하나피 사상 학파에 따르면, 만약 어떤 사람이 신으로부터 사람들을 돌리기 위해 악기를 연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면, 그들의 증언은...
    도서 위키백과
  • 아흐마드 이븐 한발 Ahmad ibn Hanbal, イブン・ハンバル
    주요 4개 수니파 중 하나인 한발파 설립자이다.H. Laoust, "Ahmad b. Hanbal," in Encyclopedia of Islam, Vol. I, pp. 272-7 이슬람의 역사에서 지적인 인물들 중 한 명으로 묘사된다. 수니 이슬람 내에서 거의 모든 전통주의자 관점 부분에 영향을 준 인물이다. 한발파 말리크파 아부 하니파 하나피파 샤피이파 전거 통제
    도서 위키백과
  • 릿다 전쟁 Ridda Wars
    북부 아라비아와 예멘에서 공격이 있었지만 쉽게 패배했다. 몇 달 후 바누 하니파의 추장 무사일리마는 40,000명의 군인을 거느리고 야마마 전투에서 사망했다...공격은 633년 1월 하드라마우트의 강력한 킨다 부족에 의해 이루어졌다. 아부 바크르가 아라비아의 모든 부족을 성공적으로 통합하면서 이 작전은 633년 6월...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