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신비주의 神秘主義신적 존재와 인간의 직접적인 교섭이나 융합 일치를 주장하는 종교운동. 내용 인간과 신성(神性)과의 본원적 동질성을 전제하고 신과 인간 사이에는 어떠한 형태의 중개적 요소도 개입할 필요가 없다는 입장이다. 이러한 사상은 동양적 종교에서 지배적이나 인간과 신간의 근본적인 간격과 차이를 전제로 하는 유일신...
- 시대 :
- 근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개신교
-
사회가 혼란할수록 신비주의가 성행한다유성자능지 참다운 진리는 혹세무민하지 않는다. 아직도 이데올로기에 빠져 ‘사회주의가 최고다’, ‘자본주의가 최고다’라고 하는 것은 이념주의자들의 신비주의일 뿐이다. 편협한 생각으로 치닫는 이념 논쟁은 사람들에게 또 다른 혼란만 가중시킬 뿐이다. 노동자가 착취당하던 시절에는 당연히 공산주의 혹은...
-
19세기 건축, 기계관과 기술 신비주의바꾼 것이 아니라 그에 따라 역학 자체도 동역학이라는 역동적 개념으로 번안했다. 수정궁과 에펠탑이 기술 대중주의에 머물렀다면 기계관에서는 기술 신비주의로 발전했다. 수정궁의 실내가 기술적으로는 진부하면서 유리라는 재료의 특성을 조작해서 얻은 결과라면 기계관은 순수하게 기술만을 이용해서 기계 문명을...
-
신비주의의 심리학적 측면신비주의는 심리학적 상태를 뛰어넘어 형이상학적인 서술로 비약한다는 비난을 받아왔다. 신비주의는 인간의 심리학과 신의 심리학을 섞어놓은 것이다. 그러므로 신비주의의 주된 방향은 세속적인 것으로부터 신성한 것으로 전환하면서, 인간의 안과 밖에 있는 신성을 자각하는 것이다. 신비적 생활의 특징은 다량의...
-
사회적 요인으로서의 신비주의체험이다. 야코프 뵈메의 말처럼 신비체험 속에서 세계는 파괴되는 것이 아니라 재형성되기 때문에 외형적 권위나 교회에 대항해 나타난 신비주의는 그 배경이 다양하다. 신비주의가 지니고 있는 타계적 편견과 신과의 수직적 관계 때문에 신비주의자들은 사회적 책임을 지지 않는다고 비판받아왔다. 그래서 그는 소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