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신문지법 新聞紙法
    대한제국기, 신문의 창간과 발행 등을 관리하기 위하여 제정한 법률.|개설 1907년 7월 이완용(李完用)내각이 법률 제1호로 공포, 실시한 것으로 1908년 4월 29일 일부 개정되었다. 그 뒤 정부수립 후인 1952년 4월 4일에야 법률 제237호에 의하여 폐지되었다. 일명 ‘광무신문지법(光武新聞紙法)’이라고도 불리는 이 ...
    시대 :
    근대
    유형 :
    제도
    분야 :
    언론·출판/언론·방송
  • 신문지법 新聞紙法
    을사조약이 체결되어 독립운동의 구심점이 된 신문을 직접적으로 말살할 명문화된 법령이 필요해지자 일제는 1907년 신문지법을 제정·공포했다. 그 내용은 신문 및 기타 인쇄물의 기사가 외교나 군사상 비밀에 저촉되거나 안녕질서를 방해하는 경우 발매금지와 차압, 발행 정지·금지를 이사관이 집행할 수 있다는 것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광무신문지법 (관련어 신문지법)
    광무신문지법(光武新聞紙法)은 1907년 제정된 일제하의 가장 대표적인 신문 규제법규로 1952년 폐지된다.전문 41조로 되어 있는 이 법은 신문 발행의 허가·납본·황실모독·명예훼손·국가기밀 등의 게재 금지, 기사 오기(誤記)에 대한 반박서의 게재 의무, 풍속을 문란케 하는 기사의 게재 및 발매 금지 또는 차압과 ...
    도서 위키백과
  • 신문지법 ・ 보안법 제정 언론과 집회의 자유를 제한하다
    참조
    시대 :
    1907년 7월
    국가/대륙 :
    한국
  • 미군정 美軍政
    재조선 미육군사령부 군정청'이라는 정식 명칭으로 통치체제를 완비했다. 미군정은 치안유지법·사상범예방구금법 등 일제강점기의 악법들은 폐지했으나 신문지법·보안법 등은 존속시켜 통치에 활용했다. 미군정은 처음에 한국인 11명을 미군정장관 고문으로 임명했다가 뒤에 양(兩)국장제도를 채택해 한국인을 행정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현대
  • 한국의 잡지
    잡지의 날로 정해 각종 행사를 벌이고 있다. 일제강점기 초기(1910~19) 1910년 한일합병을 기점으로 조선총독부의 매체에 대한 탄압이 시작되자 이전부터 '신문지법'(1907)·'출판법'(1909)으로 제재를 가해오던 일제는 검열을 통해 사전에 원고를 삭제하거나 압수하는 방법으로 압력을 가해왔다. 또한 대충 신고만 하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수필
  • 현대평론 現代評論
    개설 1927년 1월에 창간되어 1928년 1월에 종간되었다. 이관용(李灌鎔)·이긍종(李肯種)·하준석(河駿錫) 등이 중심이 되었으며, 「신문지법(新聞紙法)」에 의한 일제의 탄압을 받다가 통권 제11호로 폐간되었다(그 중 제10호는 압수되었음). 내용 편집경향은 다소 보수적이면서 민족주의적 경향을 나타냈기 때문에 일제...
    시대 :
    근대
    저작자 :
    이관용, 이긍종, 하준석 외
    창작/발표시기 :
    1927년 1월(창간), 1928년 1월(종간)
    성격 :
    잡지, 종합문예잡지
    유형 :
    문헌
    분야 :
    문학/현대문학
  • 언론출판의자유 言論出版─自由
    결국 시행되지 않았으나 우리 근대언론이 그 출발점부터 언론·출판의 자유를 제대로 누리지 못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 뒤 일제의 강요에 의해 1907년 7월 <신문지법 新聞紙法>이 제정되어 신문의 발행·허가부터 처벌에 이르기까지의 언론통제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1909년 2월에는 <출판법>을 공포...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언론·출판/언론·방송
  • 소년 少年
    미루어 그렇게 단정지을 수 없게 되었다. 집필자의 이름을 대부분 밝히지 않았으며, 신체시의 효시로 평가되는 최남선의 〈해에게서 소년에게〉가 실려 있는 점이 특징이다. 일제시대에 출판법에 따라 창간되었고, 신문지법으로 시사보도를 할 수 없는 상황에서 민족정기를 드높이려고 했다는 점에 중요한 의의가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출판
  • 경향신문 京鄕新聞
    해석 등을 실었다. 민족자주를 내세우는 논조로 독자들에게 인기를 끌었고, 여기에 실린 논설이 〈대한매일신보〉에 실리기도 했다. 1910년 4월 22일자가 '신문지법'에 따라 발매금지 및 압수를 당한 뒤, 한일합병 때 폐간을 종용받아 1910년 12월 30일 제220호를 끝으로 폐간했다. 제221호부터는 〈보감〉을 〈경향잡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문
  • 한일합병 경술국치, 韓日合倂
    11월 을사늑약, 1907년 7월 한일신협약(정미칠조약)을 차례로 체결하여 한국를 식민지화하기 위한 조치를 단계적으로 추진했다. 그외에도 군대해산과 신문지법·보안법 등을 제정하여 일제에 대한 저항을 무력화시키려 했다. 또한 1909년 7월 한국의 사법·감옥 사무을 일본 정부에 위탁하는 내용의 기유각서(己酉覺書...
  • 해조신문 海朝新聞
    집필하게 했다. 소련 및 극동지역에 거주하는 한인들을 비롯해 경성·원산 등지에 지국을 설치하고 국내 각지에 신문을 배포하자, 이에 놀란 일제는 재빨리 신문지법을 고쳐 해외에서 발행된 신문의 국내 배포를 금지시켰다. 재정난으로 3개월 만에 폐간되었으나 국외에서 우리말로 발행된 최초의 신문으로서의 의의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문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대한매일신보
독립신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