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신문지법 新聞紙法대한제국기, 신문의 창간과 발행 등을 관리하기 위하여 제정한 법률. 개설 1907년 7월 이완용(李完用)내각이 법률 제1호로 공포, 실시한 것으로 1908년 4월 29일 일부 개정되었다. 그 뒤 정부수립 후인 1952년 4월 4일에야 법률 제237호에 의하여 폐지되었다. 일명 ‘광무신문지법(光武新聞紙法)’이라고도 불리는 이 ...
- 시대 :
- 근대
- 유형 :
- 제도
- 분야 :
- 언론·출판/언론·방송
-
-
현대평론 現代評論개설 1927년 1월에 창간되어 1928년 1월에 종간되었다. 이관용(李灌鎔)·이긍종(李肯種)·하준석(河駿錫) 등이 중심이 되었으며, 「신문지법(新聞紙法)」에 의한 일제의 탄압을 받다가 통권 제11호로 폐간되었다(그 중 제10호는 압수되었음). 내용 편집경향은 다소 보수적이면서 민족주의적 경향을 나타냈기 때문에 일제...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이관용, 이긍종, 하준석 외
- 창작/발표시기 :
- 1927년 1월(창간), 1928년 1월(종간)
- 성격 :
- 잡지, 종합문예잡지
- 유형 :
- 문헌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언론출판의자유 言論出版─自由결국 시행되지 않았으나 우리 근대언론이 그 출발점부터 언론·출판의 자유를 제대로 누리지 못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 뒤 일제의 강요에 의해 1907년 7월 <신문지법 新聞紙法>이 제정되어 신문의 발행·허가부터 처벌에 이르기까지의 언론통제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1909년 2월에는 <출판법>을 공포...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언론·출판/언론·방송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