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시천주 侍天主인간 속에 내재하는 한울님을 잘 모셔야 한다는 뜻을 지닌 천도교교리. 내용 천주를 모신다는 뜻이다. 천주는 일반적으로 절대자 또는 초월자를 의미하는데, 천도교에서는 하느님을 한자로 표기할 때 쓴다. 많은 종교에서나 일반인들의 사상 속에서 초월자나 절대자는 인간계와는 멀리 떨어져 높이 있는, 전지전능하며...
- 시대 :
- 근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천도교
-
-
성경신 誠敬信내용 시천주(侍天主)를 기본으로 삼아, 하느님을 모시는 주체로서의 나 자신이 하느님을 믿지 못하거나 성실하지 못하면 진정 하느님을 모실 수 없다는 뜻이다. 동학 개조 최제우(崔濟愚)은 “우리 도가 비록 넓되 이를 요약하면 많은 말과 뜻을 쓸 것이 아니라 별로 다른 도리가 없고 정성 · 공경 · 믿음의 세 글자...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천도교
-
삼칠주 三七呪내용 1860년 4월 5일 최제우(崔濟愚)가 경험한 종교체험의 중심내용이 표현되어 있는 것으로서, “지기금지 원위대강 시천주 조화정 영세불망 만사지(至氣今至 願爲大降 侍天主 造化定 永世不忘 萬事知)”로 되어 있다. 이것을 외워 소리내어 말하고 그 뜻을 깨달아 실현하면 오래도록 죽지 않는다 하여 장생주(長生呪...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천도교
-
동학 東學개설 동학은 그 교지(敎旨)가 시천주(侍天主) 신앙에 기초하면서도 보국안민(輔國安民)과 광제창생(廣濟蒼生)을 내세운 점에서 민족적이고 사회적인 종교이다. ‘동학’이란 교조 최제우가 서교(西敎:천주교)의 도래에 대항하여 동쪽 나라인 우리 나라의 도를 일으킨다는 뜻에서 붙인 이름이며, 1905년에는 손병희(孫秉...
- 시대 :
- 근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종교·철학/천도교
-
주문 呪文깨달은 진리의 내용을 함축한 것이며, 일반주문은 주문을 외는 자가 바라는 바에 대한 특정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기본주문으로는 천도교의 시천주(侍天呪), 정역의 오음주(五音呪, 詠歌), 증산교단의 태을주(太乙呪), 대종교의 각사(覺辭), 각세도의 원각주(圓覺呪), 갱정유도의 해인경(海印經), 물법교단의...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신종교
-
최제우의 저술과 사상8편의 가사는 한글로 구송에 편하도록 쉽게 풀어썼다는 점에서 한문을 모르는 부녀자나 일반민중을 주대상으로 삼았다고 볼 수 있다. 동학사상의 핵심은 '시천주'(侍天主)로서 한울님을 모시면 누구나 놀라운 힘을 발휘할 수 있고 모든 일을 환히 알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시천주의 개념은 주술적인 민간신앙에 뿌리...
-
인내천 人乃天是指稱以靈之有機的表顯道破人乃天之定義也).”라 하였다. 성령출세설(性靈出世說)이라는 구절에 그것이 잘 나타나 있다. 따라서, 인내천사상의 근거는 ‘시천주(侍天主)’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바로 이 점에서 “사람이 하느님을 모시고 있다면서 사람이 곧 하늘이다.”라는 것은 잘못된 주장이라는 견해가 제시되기도...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천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