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세균학 細菌學, bacteriology
    세균을 연구하는 미생물학의 한 분과.|19세기 중반까지도 세균은 몇몇 관찰자에게만 알려져 있었고, 주로 미세한 크기와 운동성이 흥미를 끌어 현미경의 호기심거리로서 알려져 있었다. 세균학은 현미경의 발달과 함께 시작되었고, 미생물을 최초로 관찰한 사람은 네덜란드의 박물학자인 안토니 반 레벤후크로서 1683...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미생물
  • 세균학 細菌學, bacteriology
    세균을 대상으로 하는 생물학의 1분야. A.van.Leeuwenhook의 간단한 현미경 사용(1683), L.Pasteur의 살균법(1860), R.Koch의 순수배양법(1881) 등 기술상의 발명에 의존하여 발전해 왔다.
  • 세균학 Bacteriology, 細菌学
    세균학(細菌學, 분류, 특징 구분을 동반한다. 미생물학 전거 통제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바시 Agostino Bassi
    루이 파스퇴르보다 10년 앞서 연구를 시작해 많은 질병이 미생물에 의해 일어난다는 것을 발견했다. 1807년 이탈리아와 프랑스에 심각한 경제적 손실을 준 말데세그노(mal de segno:흔히 蠶病이라 알려짐)라는 누에의 병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는데, 25년간의 연구와 실험 끝에 이 병이 현미경으로만 보이는 기생곰팡이...
    출생 :
    1773. 9. 25, 이탈리아 로디 근처
    사망 :
    1856. 2. 8, 로디
    국적 :
    이탈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예방수의학
    및 생체 성분에 대해 다루는 학문이다. 생명의 유지와 보수를 담당하는 면역현상을 다루는 '신체적 자기(Physical Self)'에 대한 학문이기도 하다. 수의세균학(Veterinary Bacteriology)이란 미생물학 분야 중 하나로 세균이라는 미생물의 분류, 구조, 배양성, 대사과정, 유전형질의 전달, 질병발생의 개요 등에 대해...
    도서 위키백과
  • 의학사 history of medicine
    조선 후기 명의로는 허준, 의학문헌으로는 그의 저서 〈동의보감 東醫寶鑑〉을 들 수 있다. 19세기에 이르러서는 인체구조가 거의 알려졌고, 감염성 질환 분야에서 세균학이라는 분야가 큰 발전을 이루었다. 현대에 들어서는 건강의 유지가 질병 치료 이상으로 중요하게 떠오르면서 예방의학 분야에 발전을 가져왔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문
  • Ferdinand (Julius) Cohn
    조류(藻類)·세균·균류의 연구로 유명하고, 세균학의 창시자로 여겨진다. 그는 브레슬라우의 유대인 거주지역에서 유대인 상인의 세 아들 중 첫째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조숙한 맏아들의 교육을 위해 아무런 노력도 기울이지 않아, 그는 어린시절의 과도한 학구열에 대한 우울한 기억을 지니고 있었다. 고등교육을...
    출생 :
    1828. 1. 24, 프로이센 슐레지엔 브레슬라우
    사망 :
    1898. 6. 25, 브레슬라우
    국적 :
    독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아그라몬테 이 시모니 Aristides Agramonte y Simoni
    뉴욕 시로 유학와서 1892년 컬럼비아대학교 내과·외과대학에서 의사자격을 얻었다. 수련의(인턴) 과정을 마친 후 벨뷰 병원과 뉴욕 시 보건국에서 병리학과 세균학을 연구했다. 1898~1902년 미국 육군에서 보조외과의사로 임명되었다. 1900년부터 하바나대학교 세균학·실험병리학과의 교수가 되었고, 전염병 정부대책...
    출생 :
    1868. 6. 3, 쿠바 카마구에이
    사망 :
    1931. 8. 19, 미국 뉴올리언스
    국적 :
    쿠바/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버기 David Hendricks Bergey
    미생물학에서 아주 귀중한 분류학적 참고서적인 〈버기 세균학 편람 Bergey's Manual of Determinative Bacteriology〉의 주요저자이다. 버기는 펜실베이니아대학교에서 연구를 시작하기 전에 몽고메리 군에 있는 학교에서 강의했다. 1884년 학사학위와 의사자격을 얻고 1893년까지 병원에서 진료했다. 그후...
    출생 :
    1860. 12. 27, 미국 펜실베이니아 스키팍
    사망 :
    1937. 9. 5, 필라델피아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세균과 바이러스 발견의 역사
    단순히 세균을 관찰했을 뿐이었다. 그 세균이 한센병의 원인균임을 증명한 것은 코흐의 발표 이후 다른 과학자에 의해서였다. ‘세균학의 아버지’ 코흐는 세균학 발전에 큰 공헌을 했고, 결핵균을 발견한 공로를 인정받아 1905년에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코흐가 맹활약하던 1880년대는 영국의 에드워드 제너...
  • 니콜 Charles-Jules-Henri Nicolle
    1909년 사람의 몸에 서식하는 이가 티푸스를 전염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여 1928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받았다(→ 몸이). 루앙에서 개업하고 세균학을 연구한 뒤 튀니스에 있는 파스퇴르 연구소의 소장이 되었다(1902~32). 재직하는 동안 튀니스 파스퇴르 연구소의 문서보관소(Archives de l' Institut Pasteur de...
    출생 :
    1866. 9. 21, 프랑스 루앙
    사망 :
    1936. 2. 28, 튀니지 튀니스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너톨 George Henry Falkiner Nuttall
    1921년 케임브리지대학교에 몰티노 생물·기생충학 연구소를 세우기도 했다. 미국·프랑스·독일·스위스에서 공부했고 1900년 케임브리지대학교의 세균학·예방의학 강사가 되면서 영국 시민권을 얻었다. 1906년 생물학과에서 처음으로 퀵좌(座) 생물학 교수로 뽑혔다. 면역학, 무균상태에서의 생물, 혈액화학, 절지...
    출생 :
    미국 샌프란시스코, 1862. 7. 5
    사망 :
    1937. 12. 16, 영국 런던
    국적 :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세균학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