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선우혁 鮮于爀
    독립운동가.|이명은 혁(赫). 1910년 12월 일제가 날조한 105인사건에 연루되어 체포되었으나, 1913년 3월 증거불충분으로 경성복심법원에서 무죄로 판결되어 방면되었다. 출옥 후 상하이[上海]로 망명해 교포계몽·간민이식(墾民移植) 등에 주력했다. 1919년 프랑스 파리에서 강화회의가 열린다는 신문보도를 보고, 국...
    출생 :
    1882. 8. 3, 평북 정주
    사망 :
    미상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독립운동가
  • 선우혁 선혁(鮮爀), 鮮于赫
    일제강점기 105인 사건과 관련된 독립운동가.|개설 일명 선혁(鮮爀). 평안북도 정주 출신. 생애 및 활동사항 1910년 12월 데라우치[寺內正毅] 총독 총살미수사건이라는 105인사건에 연루되어 무죄 방면되기까지 심한 고문을 당한 뒤 상해로 망명하였다. 1918년 8월 서병호·여운형·김구(金九)·이광수(李光洙)·안정...
    시대 :
    근대
    출생 :
    1882년(고종 19)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직업 :
    독립운동가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 선우혁 (관련어 선우 혁)
    선우 혁(鮮于爀, 1889년 ~ 1967년?)은 일제강점기에 활동한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다. 여운형 조동호 신한청년당 대한민국임시정부 임시의정원 한국독립당 두피디아
    도서 위키백과
  • 신한청년단 신한청년당, 新韓靑年團
    단체의 조직임을 알고, 이를 구체화시키기로 하였다. 당시 발기인으로 국내에서 망명해 온 김규식(金奎植)·여운형(呂運亨)·김철(金澈)·서병호(徐丙浩)·선우혁(鮮于爀)·조동호(趙東祜)·문일평(文一平)·정인보(鄭寅普)·신규식(申圭植)·신채호(申采浩)·조용은(趙鎔殷)·장덕수(張德秀) 등이 참여하였다. 마침...
    시대 :
    근대
    설립 :
    1918년
    성격 :
    독립운동단체
    유형 :
    단체
    설립자 :
    김규식, 여운형, 서병호, 문일평, 정인보, 신규식, 신채호 외
    분야 :
    역사/근대사
  • 이승훈 승일, 李昇薰
    서춘(徐春)이 찾아와 도쿄 유학생들의 분위기를 전하며 독립운동 방법을 상의했다. 1919년 1월 21일경에는 상하이에서 활동하던 ‘105인 사건’의 동지 선우혁(鮮于爀)이 찾아와 국제 정세와 해외 동포의 동향을 말해주며, 상하이에서 대표를 파리 평화회의에 파견하려고 하는데 자금을 모금할 수 있도록 알선해 달라고...
    출생 :
    1864년 3월 25일, 평북 정주
    사망 :
    1930년 5월 9일
    관련 사건 :
    105인사건, 3 ・ 1운동
    본관 :
    여주(驪州)
    주요활동 :
    1907년 신민회 활동, 오산학교 설립, 1911년 105인 사건. 1919년 독립선언서 발표, 3 ・ 1운동 민족대표로 서명, 1922년 민립대학기성준비회 중앙집행위원 활동, 1927년 신간회 참여
    포상훈격 :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관련 인물/단체 :
    신민회
  • 조동호 유정(榴亭), 趙東祜
    난징[南京]에 있는 진링대학[金陵大學] 중국문학과에 입학하였다. 1912년 7월 신규식(申圭植)이 조직한 동제사(同濟社)에 참여해 여운형·조소앙(趙素昻)·선우혁(鮮于爀)·신석우(申錫雨) 등과 이사직을 맡아 활동하였다. 1918년 8월 상해(上海)에서 여운형·장덕수(張德秀)·김철(金澈)·선우혁·한진교(韓鎭敎) 등...
    시대 :
    근대
    출생 :
    1892년(고종 29)
    사망 :
    1954년
    경력 :
    대한민국임시정부 임시사료조사편찬부원, 독립신문 기자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부민관폭탄의거
    직업 :
    독립운동가, 사회주의운동가, 언론인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본관 :
    풍양(豊壤 : 지금의 경기도 남양주시)
  • 상해대한인거류민단 上海大韓人居留民團
    상해대한인민단으로 개칭하였으며, 1920년 1월 9일에는 다시 상해대한인거류민단(上海大韓人居留民團)으로 명칭을 바꾸었다. 단장에 여운형(呂運亨), 총무에 선우혁(鮮于爀), 간사에 김보연(金甫淵), 임재호(任在鎬) 등이 선출되었다. 1920년 3월 16일 대한민국임시정부가 국무원령으로 '거류민단제'를 공포함에 따라...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단체
    분야 :
    역사/근대사
  • 양전백 양섭, 梁甸伯
    선천 뿐 아니라 평북(서북) 일대 기독교계를 대표하는 인물이 되었고 그런 배경에서 105인사건에 연루되어 옥고를 치렀다. 즉 1911년 11월, 강규찬과 선우혁, 장시욱, 길진형, 양준명 등 신성중학교 교사와 학생 십 수 명이 데라우치 총독 암살을 모의했다는 혐의로 경찰에 체포되면서 시작된 105인사건의 주요 배후인물...
    출생 :
    1869년 3월 10일(음력), 평북 의주(義州)
    사망 :
    1933년 1월 17일
    관련 사건 :
    105인사건, 3 ・ 1운동
    본관 :
    남원(南原)
    주요활동 :
    1911년 105인사건으로 3년 옥고, 1919년 3 ・ 1운동 민족대표로 참여, 3년 옥고
    포상훈격 :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
    관련 인물/단체 :
    신민회
  • 상해한국학교 SKS, 上海韓國學校
    일제강점기에 여운형(呂運亨)이 중심이 되어 설립한 인성학교(仁成學校)의 전통을 이어받고 있다. 인성학교는 1916년 가을, 상해 교회를 중심으로 여운형, 선우혁(鮮于爀) 등이 교민들의 교육을 담당할 교육기관을 설립할 것을 결의, 학생 4명으로 상해기독교소학교(上海基督敎小學校)로 개교하였다. 이듬해 2월 공동...
    시대 :
    현대
    위치 :
    中國 上海市 閔行區 華漕鎭 聯友路 355號
    설립 :
    1999년 9월 1일
    성격 :
    재외한국학교, 초·중·고등 교육과정
    유형 :
    단체
    설립자 :
    대한민국 정부(교육과학기술부)
    분야 :
    교육/교육
  • 신한청년당 新韓靑年黨
    여운형을 당수로 하여 서병호(徐丙浩)·장덕수(張德秀)·김철(金澈)·선우혁(鮮于爀)·한진교(韓鎭敎)·조동호(趙東祜)·김구(金九)·이광수(李光洙) 등이 조직했다. 당원은 약 50명이었다. 이 단체의 모체는 신규식이 만든 동제사라고 할 수 있다. 즉 동제사의 젊은 활동가들이 중심이 되어, 제1차 세계대전의 종결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제강점기
  • 김철 일강, 金澈
    상해 임시정부 국무위원을 지냈고, 한국독립당 14인 이사 중 한 사람으로 활약했다. 1918년 8월 상하이[上海]에서 여운형·선우혁(鮮于爀)·서병호(徐丙浩) 등과 함께 신한청년당을 조직하고, 부주무(副主務)로 기관지 〈신한청년〉을 발간했다. 3·1운동 직전 귀국하여 손병희(孫秉熙)와 군자금모집 및 국제정세에 대해...
    출생 :
    전남 함평, 1886. 10. 15
    사망 :
    1934. 6. 29, 중국 저장 항저우
    국적 :
    한국
    호 :
    일강(一江)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독립운동가
  • 동제사 재상해한인공제회, 同濟社
    한국의 독립을 촉구할 목적으로 신규식 등이 발의해 ‘조선사회당’이란 명칭을 쓴 것이다. 1918년 말 조직된 신한청년단에 동제사 소장파라 할 여운형, 선우혁, 서병호, 조동호 등이 참여하였다. 동제사와 신한청년단은 긴밀한 협력관계를 갖고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의의와 평가 상해에서 조직된 최초의 한국인 독립...
    시대 :
    근대
    유형 :
    단체
    분야 :
    역사/근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3건

선우혁
일제 주요감시대상 인물카드 선우혁 전후면
일제 주요감시대상 인물카드 선우혁 전후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