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서울한국의 각 시대별 수도를 총칭하는 지리학용어. 서울의 어원과 의미 서울이라는 말은 원래 수도(首都)라는 뜻을 가진 말이었지만, 현재는 대한민국의 수도를 가리키는 고유 명사가 되었다. 즉 서울특별시를 약칭할 때 서울이라고 함이 그것이다. 이 항목에서 다루는 내용은 고유 명사로서의 서울이 아니라 수도로서의 ...
- 유형 :
- 개념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서울특별시 서벌(徐伐), 서울特別市대한민국의 수도. 개관 한반도의 거의 중앙에 위치하며, 대한민국의 정치 · 경제 · 문화 · 교통의 중심지이다. 동쪽은 경기도 남양주시 · 구리시 · 하남시, 서쪽은 경기도 고양시 · 김포시 · 부천시, 남쪽은 경기도 성남시 · 과천시 · 안양시 · 광명시, 북쪽은 경기도 의정부시 · 양주시에 접해 있다. 위치...
- 유형 :
- 지명/행정지명ˑ마을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서촌 옥류동천길 어느 날 하루, 서울의 동네 산책서촌, 특히 옥류동천길은 서울의 ‘시간의 단면’이다. 이곳에서는 관광객을 위해 시간을 정지시킨 공간이 아닌, 이곳에 사는 사람들에 의해 끊임없이 변화하며 새로운 시간을 쌓아가는 ‘시간의 공간’을 만끽할 수 있다. 광화문 근처에 가면, 짬을 내서 꼭 가보는 곳이 있다. 바로 경복궁 서쪽에 있는 서촌이다. 서촌...
-
서울시 청사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지하철 2호선 시청역에서 내려 4번 출구로 올라가니, 서울시 신청사 지하에 있는 서울시민청 입구가 보인다. 입구 옆 선큰가든에는 햇빛이 쏟아지고, 위에는 서울의 다양한 모습을 담은 우산이 경쾌하게 공중에 떠 있다. 시민들의 우산이 되겠다는 공무원들의 다짐을 표현한, 이경호 작가의 〈Dear me〉라는 작품이다...
-
서울,1964년겨울 서울,천구백육십사년겨울, ─千九百六十四─발표되었고, 1966년 창문사에서 창작집으로 간행되었다. 이 작품으로 1965년 동인문학상을 수상하였다. 내용 이 소설에서 작가는 꿈틀거리는 것을 사랑하는 서울거리의 소시민 셋을 등장시켜 그들의 행적을 통해 시민적 삶의 가치를 따져 보고 ‘우리가 너무 늙어버린 것 같지 않습니까?’라고 자조함으로써 우울한...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김승옥
- 창작/발표시기 :
- 1965년
- 성격 :
- 단편소설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강남 고속버스터미널 층층이 다른 시간이 흐르는최첨단 수직 터미널을 만들겠다는 원대한 계획은 껍데기만 남기고 전부 사라지게 되었다. 강남 고속버스터미널은 1978년에 착공해서 1981년에 완공됐다. 서울시 전역에 산재한 고속버스터미널들을 통합한 미래의 고속버스터미널을 만들겠다는 이상적인 계획에서 출발했다. 군사정권 시절 ‘하면 된다’는 식의 발상에서...
-
서울본 뜻 서울은 본래 신라의 수도인 경주를 서라벌(徐羅伐), 서벌(徐伐), 서나벌(徐那伐) 등으로 부른 데서 비롯한 말이다. 서울의 ‘서’는 수리 · 솔 · 솟의 음과 통하는 말로서 높다 · 신령스럽다는 뜻이며, ‘울’은 벌 · 부리가 변음된 것으로 벌판 · 큰 마을 · 큰 도시라는 뜻을 가진 말이다. 바뀐 뜻 서울은 ...
- 유형 :
- 순우리말
-
서울1919년 한성도서주식회사가 민족출판사업으 나서며 첫 번째로 발행한 잡지. 내용 발행인 겸 편집인은 장도빈(張道斌)이었다. 제2호는 1920년 2월에, 제3호는 같은해 4월에 발행되었는데, 격월간으로 나온 것은 초창기에 애로점이 많았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라 하겠다. 그래서 제4호부터는 이봉하(李鳳夏) 등이 설립...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저작자 :
- 장도빈
- 창작/발표시기 :
- 1919년(창간)
- 성격 :
- 잡지
- 유형 :
- 문헌
- 간행/발행 :
- 장도빈
- 분야 :
- 언론·출판/언론·방송
-
김승옥, 서울, 1964년 겨울196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한국 문학은 식민지 시대의 교육을 받지 않은 이른바 ‘한글세대’라고 하는 새로운 젊은 작가 층이 나타났다. 김승옥은 문학계에 한글세대의 등장을 알린 작가이다. 1965년 6월 “사상계”에 발표된 이 작품은 구청 병사계 직원인 ‘나’와 대학원생 ‘안’과 아내의 죽음을 대가로 돈을...
-
남경 서울, 南京남경은 고려시대 삼경(三京)의 하나이다. 남경은 1067년(문종 21), 처음 설치되었으며 양주(楊州)에 궁궐을 건설하였다. 1076년(문종 30)에 명칭을 양주로 다시 바꾸었다. 1099년(숙종 4)에 남경이 재설치되고, 2년 뒤 남경개창도감(南京開創都監)을 설치하였다. 원 간섭기 때 한강 일대가 천도 관심 지역으로 부각되고,...
- 시대 :
- 고려
- 유형 :
- 지명/고지명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