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사행가사 使行歌辭
    왕명으로 다른 나라에 다녀온 외교 사절들의 해외 체험을 다룬 가사.|개설 사행 가사는 표기 체계상 국문이라는 점에서 한문 사행록과 다르고 문체상 운문이라는 점에서 국문 사행록과도 다르다. 국문으로 기록한 것은 수용 계층으로서 부녀자를 염두에 두고 있었을 뿐 아니라 한문으로는 표현할 수 없는 섬세한 상황...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문학/고전시가
  • 사행가사 使行歌辭
    국가의 공식적인 외교임무를 띠고 파견된 사신이나 그 일행으로 동행했던 이가 외국여행의 경험을 노래한 가사.|기행가사의 한 갈래로서 여행경험의 대상과 계기가 외국으로의 사행이라는 특수성을 지닌다. 중국을 다녀와서 지은 연행류(燕行類)와 일본을 다녀와서 지은 일본행류로 크게 나뉜다. 연행류로 가장 먼저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기행가사 紀行歌辭
    형식미가 많이 파괴되어 조잡한 율조를 보이는 작품은 이야기적인 성격이 짙다. 이들 기행가사는 그 여행동기에 따라 유람 또는 관유가사(觀遊歌辭) · 유배가사(流配歌辭) · 사행가사(使行歌辭) 등 세 유형으로 나뉜다. 관유가사는 나라 안팎의 산천 · 명승지 등을 두루 유람하거나 타향에서의 생활경험을 노정과...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
    분야 :
    문학/고전시가
  • 기행가사 紀行歌辭
    보고 듣고 느낀 것을 노래한 사행가사(使行歌辭)도 기행가사라 할 수 있다. 김인겸(金仁謙)의 〈일동장유가〉는 일본에 다녀와서 쓴 것인데, 내용이 자세하고 표현이 적절해서 사행가사 가운데 으뜸가는 위치를 차지한다. 1828년(순조 28) 김지수(金芝授)가 썼다는 〈무자서행록〉은 청나라에 다녀와서 쓴 것으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가사 歌辭
    을 중심으로 견문과 감회를 읊은 가사들로서, 이 유형은 국내 기행가사와 국외 기행가사로 나누어진다. 전자는 주로 관료들이 부임지(赴任地)에 이르는 과정을...주변의 명승지를 유람하면서 경관을 읊은 것이고, 후자는 중국이나 일본에 사행을 다녀온 것으로 견문의 기록성이 높다. 국내 기행가사로는 백광홍(白光弘...
    시대 :
    고려
    유형 :
    개념
    분야 :
    문학/고전시가
  • 기행문학 紀行文學
    鄭希得)의 <월봉해상록 月峯海上錄>, 강항(姜沆)의 <간양록 看羊錄>, 노인(魯認)의 <금계일기 錦溪日記> 등도 피로기행의 한 항목으로 추가될 수 있다. 사행가사로는 중국의 연경을 다녀와서 지은 실명씨의 <연행별곡>, 박권(朴權)의 <서정별곡 西征別曲>, 김지수(金芝叟)의 <서행록 西行錄>, 유인목(柳寅睦...
    유형 :
    개념
    분야 :
    문학/고전시가
  • 일동장유가 日東壯遊歌
    후 여러 가지 겪은 일을 자손에게 알리기 위해 가사를 지으니 심심풀이나 하라고 하면서 끝맺었다. 분량에서뿐만 아니라 언어구사 능력에 있어서도 뛰어나 사행가사 중 으뜸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필사본으로 서울대학교 가람문고와 이가원이 소장하고 있다. 1977년 교문사에서 심재완 교주로 〈연행가 燕行歌〉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북행가 北行歌
    丙寅燕行歌)의 노정과 같다. 그러나 두 작품은 분량과 자수율에서 크게 다르고, 내용도 「병인연행가」가 사실 위주의 기록인 데에 비해, 이 작품은 노중 연석에서 만난 기녀(妓女)들과의 애정교환담이 많이 들어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연행계 사행가사 중에서는 가장 문학성이 높은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저작자 :
    유인목
    창작/발표시기 :
    조선 고종 연간
    성격 :
    기행가사
    유형 :
    작품
    권수/책수 :
    1권 1책
    분야 :
    문학/고전시가
  • 유일록 사일록, 遊日錄
    유람가」, 저자의 손자 이윤구(李胤求) 소장의 「유일록」이 있다. 「유일록」의 내표지 서명은 ‘사일록(使日錄)’으로 되어이태직|대일본유람가|유신일본|사행가사 있다. 「대일본유람가」는 55장 1책이며, 「유일록」은 48장 1책이다. 2음보 1구로 계산해 보면 모두 3,256구이다. 음수율은 3·4조가 주조이며, 4·4조...
    시대 :
    근대
    저작자 :
    이태직
    창작/발표시기 :
    1902년
    성격 :
    기행가사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고전시가
    소장/전승 :
    국립중앙도서관, 이윤구
  • 연행별곡 燕行別曲
    제2단락은 본사(本詞)로 모화관에서 출발하여, 벽제·송도·안주·압록강·봉황성·심양·홍군문·산해관·이제묘·동악묘 등을 거쳐 연경에 이르는 노정과 그 노정의 견문을 읊었다. 제3단락은 결사(結詞)로 목적지에서 용무를 마치고 돌아옴을 표현하였다. 현전하는 연행계 사행가사 중 가장 오래된 작품이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저작자 :
    미상
    창작/발표시기 :
    조선 숙종 연간
    성격 :
    사행가사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고전시가
  • 홍순학 덕오(德五), 洪淳學
    科)에 16세의 소년으로 급제하여 정언·수찬·대사헌·대사간·예조참의·감리인천항통상사무(監理仁川港通商事務)·인천부사(仁川府使)·협판교섭통상사무(協辦交涉通商事務) 등을 역임하였다. 저술로는 현전 국문가사 작품 중 사행가사로 널리 알려진 「병자연행가(丙子燕行歌)」[일명 북원록(北轅錄)]가 있다. 참고문헌
    시대 :
    근대
    출생 :
    1842년(헌종 8)
    사망 :
    1892년(고종 29)
    경력 :
    대사헌, 대사간, 예조참의, 인천부사, 협판교섭통상사무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대표작 :
    병자연행가, 북원록
    성별 :
    분야 :
    문학/고전시가
    본관 :
    남양
  • 조천가 조천곡, 朝天歌
    않는다. ‘조천곡(朝天曲)’·‘조천록(朝天錄)’이라고도 하는데, 신흠(申欽)이 『상촌집(象村集)』에서 평하기를 ‘고결하고도 유려한 가사’라고 극찬하였다. 내용 및 평가 작품의 제목으로 보아 중국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와서 그곳의 풍물과 감회를 보고형식으로 노래한 사행가사(使行歌辭)임이 틀림없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저작자 :
    이수광
    창작/발표시기 :
    조선 중기
    성격 :
    가사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고전시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