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북한의 역사연구기관인 '고고학 및 민속학 연구소'에서 발행한 기관지.
북한에서는 역사연구를 위해 사회과학원 내에 '역사연구소'와 '고고학 및 민속학 연구소'를 두고 고고학과 민속학에 대한 중요한 자료를 발굴하면서 민족문화를 사회주의적 민족문화로서 재정립하는 데 집중적인 노력을 기울여왔다.
북한에서는 민속학에 대해 "우리 인민의 문화와 생활풍습의 민족적 특성을 연구하는 역사과학의 한 부분으로서 민족문화의 계승 발전과 새로운 사회주의적 문화와 생활풍습의 생성 발전을 촉진시키기 위한 사업으로 거대한 의의를 갖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1957년에 〈문화유산〉이라는 제목으로 창간되었으며 2개월에 1번씩 발간되었다.
이 잡지를 통해 고고학과 민속학 관계의 새로운 성과와 자료들이 소개되었고 다양한 논쟁도 진행되었다. 1962년까지 총 62권이 발간된 이 잡지는 1963년부터 〈고고민속〉으로 개칭되어 연 4권씩, 1967년까지 총 20권이 발간되었다. 1969년부터는 〈고고민속논문집〉으로 개칭되어 1973년까지 연 1권씩 총 5권이 발간되었고, 그후 1975~86년에는 부정기적으로 총 5권이 발간되었다. 대신 이때는 내용이 비교적 길고 완결적인 성격의 논문류가 실렸다. 1986년 〈조선고고연구〉로 개칭되면서 다시 연 4회 발간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