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부교리 副校理조선시대 홍문관의 종5품 관직. 내용 정원은 2인이었다. 세조 때에 혁파되었던 집현전의 기능을 부활시키기 위하여 예문관을 확대, 개편하면서 1470년(성종 1) 설치하였다가, 1479년 그 기능이 홍문관으로 분리 독립되면서 그대로 직제화되었다. 홍문관은 조선시대 최고의 문필기관으로서 그 관원은 품계에 상관없이 ...
- 시대 :
- 조선
- 성격 :
- 관직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470년(성종 1)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조대수 덕이(德而), 趙大壽書筵)을 열도록 제창하였다. 부수찬으로 옮겼다가 현감 김광우(金光宇)의 고신(告身: 관직 임명장)에 대한 서경(署經) 잘못으로 삭직(削職)되기도 했으나 곧 부교리(副校理)에 임명되었다. 그 뒤 수찬(修撰)으로 옮긴 뒤 대사헌 최석정(崔錫鼎) 등과 함께 장희재(張希載) 처벌을 강력히 주장하였다. 1696년 교리·보덕...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55년(효종 6)
- 사망 :
- 1721년(숙종 47)
- 경력 :
- 수찬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풍양(豊壤)
-
이현모 문약(文若), 李顯謨사항 진사과를 거쳐 문음으로 관직에 진출했으며, 지방 수령직을 수행하던 1727년(영조 3)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이듬해 부수찬에 제수되었다. 이 때 부교리(副校理) 조명교(曹命敎)와 국왕을 간하는 8조항 차자(箚子: 임금에게 간단한 서식으로 올리는 글)를 올린 신임으로 부교리·정언·헌납·수찬 등의 청요직...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85년(숙종 11)
- 사망 :
- 1731년(영조 7)
- 경력 :
- 부교리, 정언, 헌납, 수찬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전주
-
윤영희 尹永僖유생들을 접견하고 시험을 보였는데, 표(表)에 장원하여 직부전시(直赴殿試)를 받고 다음해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87년 초계문신에 뽑혀 홍문관부교리에 임명되었다. 1791년 과거의 시관으로 참여한 조흘강(照訖講)에서 역적의 자손이 통과하였다 하여 탄핵을 받아 하옥되었으나, 정조의 특별 비호로...
- 시대 :
- 조선
- 출생 :
- 1761년(영조 37)
- 사망 :
- 미상
- 경력 :
- 진안현감, 정언, 홍문관부교리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파평(坡平, 지금의 경기도 파주)
-
서명선 계중(繼仲), 徐命善서종옥(徐宗玉)이며, 어머니는 이집(李㙫)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53년(영조 29) 생원이 되고, 1763년 증광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곧 홍문관부교리(弘文館副校理)에 처음으로 제수되고, 다음날 왕의 특명에 의해서 교리가 되었다. 1764년 홍문관 관원들이 올린 소로 왕의 노여움을 사서 홍낙명(洪樂命) 등...
- 시대 :
- 조선
- 출생 :
- 1728년(영조 4)
- 사망 :
- 1791년(정조 15)
- 경력 :
- 사헌부지평, 사간원헌납, 홍문관응교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대구(大丘)
-
홍수보 군실(君實), 洪秀輔사항 1756년(영조 32)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 1758년 승지에 발탁되고, 1762년에는 승지로 있으면서 영조의 명으로 예문관 현판(懸板)을 썼다. 이 해 5월 부교리로 옮겼다가 이어 부수찬·교리 등을 거친 뒤 사간원헌납·사헌부지평을 지냈다. 부교리 때 제술(製述) 시험에서 장원해 초피립(貂皮笠: 방한용으로 모피...
- 시대 :
- 조선
- 출생 :
- 1723년(경종 3)
- 사망 :
- 미상
- 경력 :
- 형조판서, 의정부좌참찬, 판의금부사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풍산(豊山)
-
이재 희경(熙卿), 李縡단종실록』 부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1704년 설서, 이듬해 사서가 되어 1707년 문과 중시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이듬해 문학·정언·병조정랑을 거쳐, 홍문관부교리에 임명되었다. 1709년 헌납·이조좌랑·북평사를 거쳐 사가독서(賜暇讀書: 문흥을 위해 젊고 재능있는 관료에게 독서에 전념할 수 있도록 휴가를 내리던...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80년(숙종 6)
- 사망 :
- 1746년(영조 22)
- 경력 :
- 문학, 정언, 헌납, 북평사, 형조참의, 병조참의, 동부승지, 부제학, 형조참판, 대사헌, 이조참판, 대제학, 공조판서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대표작 :
- 도암집, 사례편람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우봉(牛峯, 지금의 황해도 금천)
-
조태일 관도(貫道), 趙泰一또, 당시 정배 중에 있던 노론 김진규(金鎭圭)·김춘택(金春澤) 등의 죄가 가벼움을 들어 엄형을 더할 것을 탄핵하였다. 그 뒤 홍문관의 부수찬·부교리, 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홍문관의 수찬·부교리 등을 두루 역임하였다. 그는 부교리로 재임할 때 숙종의 즉위 30년을 기념하는 축하연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이어...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65년(현종 6)
- 사망 :
- 1707년(숙종 33)
- 경력 :
- 홍문관수찬, 사간원헌납(司諫院獻納), 홍문관응교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양주(楊州)
-
조상건 자이(子以), 趙尙健錄)에도 선발되었다. 1719년 부수찬(副修撰)에 제수되어서는 단종복위와 김종서(金宗瑞)·황보 인(黃甫仁) 등의 신원(伸寃: 억울함을 풀어버림)에도 앞장섰으나 부교리 김운택(金雲澤)과 패초(牌招: 왕이 패를 내려 신하를 부르던 일)를 어겨 잠시 파직되었다가 곧 부교리(副校理)에 제수되었고, 이어 이조좌랑으로...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72년(현종13)
- 사망 :
- 1721년(경종 1)
- 경력 :
- 교리, 이조좌랑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풍양(豊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