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변호인의 의무
    변호인은 수사절차나 공판절차 등 형사절차에서 피의자·피고인의 이익을 보호할 지위에 있다. 이러한 보호자로서의 지위가 변호인의 기본적 지위이다. 따라서 변호인은 피의자·피고인에게 불이익한 소송활동을 해서는 안된다. 변호인은 실체적 진실의 발견을 적극적으로 방해하지 않을 의무가 있다. 따라서 변호인의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형사소송법, 변호인의 지위 피고인은 무죄라고 사료되옵니다
    라는 것이다. 유죄라고 확신하는 경우나 무죄인 증거가 불충분한 경우에도 변호인은 무죄 변론을 할 수 있고, 또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변호인의 진실 발견 의무란 검사처럼 적극적인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결론 변호인이 의뢰인(피의자 ・ 피고인)의 유죄를 확신하더라도 그 확신대로 행동할 필요나 의무는...
  • 증거개시
    수 있도록 공소제기 후 증거 조사기일 전에 검사가 보관하는 서류나 물건에 대한 증거개시제도를 규정하면서 피고인 측에도 증거개시의무를 일정한 경우 부과하였다. 피고인 또는 변호인이 행한 법률상·사실상 주장과 관련된 서류 등이 포함된다. 현행법은 제2항의 법원의 증거개시결정에 반하여 검사가 증거를 개시...
    도서 위키백과
  • 변호사 辯護士, lawyer
    피고의 변호인이 된다. 변호사는 소송의뢰인과 협의하고 서증(書證)을 검토함으로써 사실과 증거를 조사하며, 답변서를 작성하여 법정에 제출한다. 또한 공판에서 증거를 제시하고 증인을 신문하며 법률문제와 사실문제에 대하여 변론한다. 의뢰인이 패소했을 경우에는 재심을 청구하거나 상소심에서 소송상의 구제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직업
  • 국선변호인 Public defender, 国選弁護制度
    헌법상의 다른 규정을 살펴보아도 명시적이나 해석상으로 이를 인정할 근거가 없음은 물론, 더 나아가 사법경찰관이 피의자가 제출하는 국선변호인 선임신청서를 법원에 제출할 의무가 있다고 볼 헌법상의 근거도 없다. 그 행정처분을 심판의 대상으로 삼았던 법원의 재판이 헌법재판소가 위헌으로 결정한 법령을 적용...
    도서 위키백과
  • 변호인선임권 Right to counsel, 弁護人依頼権
    전원재판부(주심 변정수재판관)는 1992년 1월 28일 전교조 정책실장 유상덕이 국가안전기획부장을 상대로 낸 헌법소원을 받아들이면서 『변호인은 의뢰인에게 수사기관의 자백강요,나아가 고문등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고 그 대응방법을 가르쳐줄 의무가 있으나 수사기관등이 접견내용을 듣거나 기록한다면...
    도서 위키백과
  • 사법연수원 司法硏修院, Judicial Research & Training Institute
    손상시킨 행위가 있을 때, 수습의 태도가 심히 불성실하여 수습성적이 불량한 때, 질병으로 수습이 불가능한 때에는 면직할 수 있다. 연수생은 법원직원이며, 국선변호인으로 선임될 수 있다. 검찰총장은 원장의 요청에 의하여 사법연수생에게 일정한 기간을 정하여 지방검찰청과 지청에서 직무를 대리할 것을 명할 수...
    시대 :
    현대
    성격 :
    연수원, 국가기관, 교육기관
    유형 :
    제도
    시행일 :
    1970년 8월
    시행처 :
    대법원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국민의 권리와 의무
    국가가 변호인을 붙인다(12조 4항). 그 외에 형사 피고인은 상당한 이유가 없는 한 지체 없이 공개 재판을 받을 권리가 있으며(27조 3항), 형사 피의자 또는 형사 피고인으로서 구금되었던 자가 법률이 정하는 불기소 처분을 받거나 무죄 판결을 받은 때에는 형사 보상을 청구할 수 있다(28조). 본문 사회적·경제적...
    도서 위키백과
  • 전자의무기록 Electronic health record, 電子カルテ
    1인당 변호인의 증가와 불법시스템(tort system)의 변화가 헬스케어의 모든 측면에서의 비용의 증가의 원인이 되었고 헬스케어 기술 또한 예외가 아니었다. EHR 시스템의 설치 또는 이용 중에 발생하는 실패 또는 손상은 소송에서의 위협으로 다가왔다. 비슷하게, 전자건강기록의 구현이 상당한 법률적 위험성을 동반...
    도서 위키백과
  • 증인 證人
    진술할 의무가 있다. 왕조시대의 증인이 일정한 경우에 그 자격이 인정되지 않았던 것과 같이 증인이 증인과 일정한 관계에 있는 자가 공소제기 또는 유죄판결을 받을 염려가 있는 사항이거나 그들의 치욕이 될 사항에 관한 것일 때에는 증언을 거부할 수 있다. 일정한 직업(변호사 등)에 종사하여 직무상 알게 된 비밀...
    시대 :
    현대
    성격 :
    법률제도
    유형 :
    제도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증인 證人, witness
    검사 역시 당해 사건에 관여하고 있는 한 증인이 될 수 없다. 변호인도 마찬가지로 동일한 소송에서 변호인과 증인의 역할을 같이 할 수는 없다고 보아야 한다. 피고인의 증인적격에 관해서는 영미법에서는 이를 인정하나 진술거부권과 증언의무가 상충한다는 점에서 이를 부인하는 것이 통설이다. 공동피고인의 증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형사 소송법 개정법의 주요 내용
    검사나 피고인 또는 변호인이 증거 개시에 관한 신청의 당부를 결정하거나, 공판 기일의 지정 또는 변경, 그 밖에 공판 절차의 진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할 수...전자우편 그 밖에 상당한 방법으로 증인을 소환할 수 있도록 하였고, 증인 신청인으로 하여금 증인이 출석하도록 합리적인 노력을 할 의무가 있다는 원칙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