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베르베르 Berber
    베르베르은 모로코·알제리·튀니지·리비아·이집트 등지에 흩어져 살았다. 북아프리카는 원래 로마의 식민지였고, 7세기에 아랍인의 침략을 받았지만 베르베르은 대체로 독립을 지켜왔다. 그러나 12세기 아랍계 베두인이 침입해 농촌 경제를 파괴하자 수많은 베르베르은 유목민이 되었다. 오늘날에는 대다수가...
  • 베르베르인 (관련어 베르베르족) Berbers, ベルベル人
    민족 정보 베르베르인은 나일 계곡 서쪽 북아프리카의 토착 민족으로 대서양에서 이집트 시와 오아시스, 지중해 연안에서 니제르강까지 불규칙하게 분포한다. 베르베르인은 여러 갈래의 베르베르어를 쓰며, 베르베르인의 인구는 약 2천200만 명 ~ 2천500만 명으로 대부분 모로코(35%, 약 1천200만 명)와 알제리(22%, 약 ...
    도서 위키백과
  • 베르베르어군 Berber languages
    베르베르어군은 셈어·쿠시어·차드어와 더불어 함셈어족에 속한다. 이 어군에는 중부 사하라와 나이저 강 북쪽에 사는 투아레그이 쓰는 타마셰크어 또는 투아레그어, 샤위아족이 쓰는 샤위아어 또는 차우이아어, 알제리에서 쓰는 카바일어 또는 주아우아어, 모로코에서 쓰는 리프어와 타마지그트어, 모로코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베르베르 요리 Berber cuisine
    부족하지만 다양한 범위의 전통 요리를 포함하며 북아프리카 전역의 다양한 지역에서 온 다양한 풍미의 영향을 받는다. 일관된 베르베르 요리가 없으며 다양한 영향에 노출되었다. 베르베르의 식사 선택은 음식의 현지 가용성과 개인 재정에 따라 결정되었다. 베르베르인들은 다른 무슬림들과 동일한 식습관과 위생...
    도서 위키백과
  • 카바일족 Kabyle
    거의 이슬람교를 믿는다. 대부분 곡물 및 올리브를 재배하면서 염소를 사육한다. 카바일(또는 주아우아·즈와와)이라는 이들의 언어는 함셈어족에 속하는 베르베르어이다. 전통적으로 각 부락은 라마단(Ramadān)에 단식을 할 수 있는 성인남자들의 회의에 의해 통치되었다. 또한 전통적인 관습법이 범죄행위뿐만 아니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아브드 알 무민 ⁽Abd al-Mu⁾min ibn ⁽Ali, 'Abd al-Mu`min
    개요 알모라비데 왕조로부터 북아프리카 마그리브 지역을 빼앗고 모든 베르베르을 통일했다. 생애 아브드 알 무민은 아버지가 도예공인 보잘것없는 집안에서 태어났다. 이슬람 신앙교육을 충분히 받은 것 같으며, 동방의 이슬람 학문 중심지로 가서 학업을 계속하려고 했던 것을 보면 아랍어에도 능통했을 것이다...
    출생 :
    ?, 함마디 왕국 타그라
    사망 :
    1163, 알모아데 라바트
    국적 :
    알모아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모로코의 역사
    BC 2000년대말 베르베르이 모로코에 들어왔으며, BC 12세기에는 페니키아 상인들이 지중해 연안에 교역소를 세웠고, BC 5세기에 카르타고인들이 대서양 연안에 거점을 만들었다. 카르타고가 멸망한 뒤, 베르베르 왕 주바 2세(BC 25~AD 24 재위)가 통치하던 모로코는 로마의 충실한 동맹국이 되었다. 46년 로마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프리카
  • 이슬람의 지배시절의 스페인
    서고트의 위티사 왕(700~710 재위) 시대에 칼리프의 아랍군이 북모로코를 정복하고 711년 7월 베르베르이 해협을 건너 침공한 이래, 수도 톨레도를 비롯하여 세비야·메리다·사라고사·레온·갈리시아·포르투갈 등을 차례로 정복하고, 스페인의 거의 모든 지역에 지배권을 확립했다. 서고트은 대체로 저항다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투아레그 Tuareg
    베르베르어를 사용하며, 목축업에 종사한다. 이들의 정치적 조직체는 국경에 관계없이 널리 구속력을 미친다. 인구는 약 90만 명이다. 투아레그은 북부의 아하가르(호가르)·아제르, 남부의 아스벤(아이르투아레그)·이포라·이테센(켈게레스)·아울리민덴·켈타데마케트 등을 포함하는 부족연합이다. 북부 투아레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아프리카의 민족
    어족·아시아어족) 계통의 언어를 쓰는 종족들이 살고 있다(아프리카아시아어족). 예를 들어 튀니지·알제리·모로코에 살고 있는 베르베르이 바로 이들 종족의 하나이다. 베르베르은 모로코에 가장 많고 튀니지에는 소수만이 거주하고 있는데, 그결과 문화적인 접촉과 타종족과의 결혼을 통해 셈어를 사용하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프리카
  • 말리의 국민
    거주인구는 약 40%이며, 인구의 절반가량이 15세 이하이다. 말리에는 이른바 흑과 백의 주민이 있다. 백인 가운데는 무어인으로 알려진 아랍-베르베르만이 아니라 베르베르의 유목집단인 투아레그족도 포함된다. 이들은 주로 말리 중부의 사헬 지대에 거주한다. 흑인 주민은 농경생활을 하는 여러 부족으로 구성되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프리카
  • 앗 시이 Abū ⁽Abd Allāh ash-Shῑ⁽ῑ
    북아프리카에서 파티마조의 이슬람 지배권을 확보했다. 앗 시이는 9세기말 북아프리카의 베르베르인 쿠타마 가운데서 출현해 자신이 마흐디(구세주)의 선조라고 선포하며 사람들에게 폭동을 일으키도록 부추겼다. 그는 일찍이 메카 순례시에 베르베르을 만난 적이 있다. 베르베르들은 그의 지도 아래 몇 년 동안...
    출생 :
    ?, 예멘 사나
    사망 :
    911
    국적 :
    이슬람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이슬람교 , 종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건

베르베르족(Berber)
베르베르족의 기마 시합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