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백제금동대향로 부여 능산리 출토 백제 금동대향로, ..백제금동대향로(百濟金銅大香爐)는 충청남도 부여군 능산리 절터에서 출토된 백제의 향로이다. 7세기 전반에 제작된 것이다. 동체를 연꽃봉오리로, 뚜껑은 산 모양으로 만들어 나무, 시냇물 등 많은 물상을 등장시켰다. 정상에는 봉황을, 아래에는 용을 배치하였다. 또 많은 상상의 동물과 악사 5인을 비롯한 17인의 신...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
백제금동대향로 동아시아 최대걸작즈믄 해의 세월, 진흙벌에서 얼굴 내밀었습니다 1993년 12월 12일 충남 부여 능산리에서는 긴급 발굴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었습니다. 초겨울 저녁 어둠 속에서 불을 밝혀가며 차가운 논바닥 진흙탕 속에 엎드려 일회용 종이컵으로 조심조심 물을 퍼내자 드러난 얼굴. 동아시아 최고의 향로라는 백제금동대향로였습니다. ...
-
백제금동대향로 향기와 내면의 향기때는 반드시 향주머니를 차는 것이 법도로 되어 있었습니다. 1993년 12월 12일 충남 부여 능산리에서 출토되어, 1,500여 년 땅속에 묻혀 있다가 햇빛을 본 '백제금동대향로'를 보면 우리 겨레는 오랜 옛날부터 향을 생활화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처럼 향을 피워 주변을 향기롭게 하는 것만큼 내면에서 우러나는 향기...
-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 扶餘陵山里寺址石造舍利龕, 扶餘 陵山里寺址 石造舍利龕지정). 높이 74cm, 가로·세로 각각 50cm. 창왕십삼년명사리감이라고도 한다.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 절터에서 발견되었다. 위덕왕(554~598 재위)은 백제 제27대 왕으로, 성왕의 맏아들이다. 창은 그의 이름이다. 윗부분을 아치 모양으로 처리한 이 사리감은 화강암으로 만들어졌다. 측면에는 높이 45cm, 너비...
- 문화재 지정 :
- 국보(1996.05.30 지정)
-
-
백제 구다라, 百濟四神圖)가 그려졌다. 또 관륵이 일본에 전해준 문물 중에 둔갑 · 방술 같은 도교적인 잡술(雜術)이 포함되어 있었다. 부여 능산리 사지에서 발견된 백제금동대향로의 상단 뚜껑 쪽에 새겨진 문양은 주제가 신선이 살았다는 봉래산(蓬萊山)을 중심으로 하고 있고, 익산 왕궁면 왕궁리에서 발굴된 원지는 우리나라 고유의...
- 유형 :
- 지명/지명
- 분야 :
- 역사/고대사
-
-
-
제60회 백제문화제 백제금동대향로1955년, 전국 팔도의 수많은 사람들이 백제 고도(古都)였던 사비(지금의 충남 부여)에 모여 들었다. 1400년 전 고대국가인 백제의 충신과 백마강에서몸을 던진 백제 여인들의 넋을 기리는 제향을 보기위해서였다. 지역 주민들의 주도로 이렇게 시작된 백제문화제는 60년이 흐른 지금 지역민의 축제를 넘어서 국제적인 교...
- 발행일 :
- 2014.8.21
- 발행량 :
- 각 550천장(총 1,100천장)
- 종수 :
- 2
- 액면가격 :
- 540
- 디자인 :
- 백제금동대향로
- 우표번호 :
- 3010
- 인면 :
- 26 × 36mm
- 천공 :
- 13
- 전지구성 :
- 5 × 4
- 용지 :
- 그라비어 원지
- 인쇄 및 색수 :
- 그라비어 6도
- 우표크기 :
- 26 × 36mm
- 디자이너 :
- 모지원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
-
제60회 백제문화제 금제귀걸이전시와 공연, 체험 행사를 통해 백제의 역사와 문화를재미있고 쉽게 접할 수 있다. 끝없이 펼쳐진 넓은 평야의 풍요로움은 백제 문화의 기반이 되어 백제 문화의 결정체로 불리는 백제 금동대향로, 마치 불꽃이 타오르는 듯 한 금제관 장식, 독특하고 세련된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정림사지오층석탑, 소박하고 정감 있는...
- 발행일 :
- 2014.8.21
- 발행량 :
- 각 550천장(총 1,100천장)
- 종수 :
- 2
- 액면가격 :
- 300
- 디자인 :
- 금제귀걸이
- 우표번호 :
- 3009
- 인면 :
- 26 × 36mm
- 천공 :
- 13
- 전지구성 :
- 5 × 4
- 용지 :
- 그라비어 원지
- 인쇄 및 색수 :
- 그라비어 6도
- 우표크기 :
- 26 × 36mm
- 디자이너 :
- 모지원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