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882. 10. 19, 러시아령 리투아니아 수바르토니스 |
---|---|
사망 | 1954. 7. 7, 미국 펜실베이니아 브루멀 |
국적 | 리투아니아 |
요약
리투아니아의 시인·언어학자·극작가.
Vincas Kreve라고도 함.
빼어난 문체로 리투아니아 문학에서 최고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아제르바이잔 주재 리투아니아 영사를 지냈고, 카우나스에서 슬라브어 및 슬라브 문학교수(1922~39)가 되었으며 나중에는 빌뉴스에서 교수생활을 했다. 1944년에 망명길에 올라 빈차스 크레베로 이름을 간단히 줄이고 1947년부터 펜실베이니아대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
리투아니아 민요모음집 〈다이노스 Dainos〉를 펴내면서 국제적인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
그는 외국 지배에 억압당한 민족감정을 희곡에 표현했고 이로써 리투아니아인들에게 대단한 인기를 얻었다. 〈다이나바 공(公) 샤루나스 Šarūnas, Dainavos kunigaikštis〉(1912)·〈스키르가일라 공 Skirgaila〉(1925)·〈운명의 궤도를 따라 Likimo Keliais〉(1926~29)·〈민다우가스 왕의 죽음 Karaliaus Mindaugo mirtis〉(1935) 등은 과거를 낭만적으로 회고한 작품이다. 또한 깊은 통찰력으로 인간 본성을 사실주의적으로 관찰하기도 했는데 이러한 경향은 농촌 드라마인 〈사위 Žntas〉(1921)와 단편소설 〈황혼 Sutemose〉(1921)·〈초가지붕 아래에서 Po šiaudine pastoge〉(1922~23)에 특히 잘 나타나 있다. 한편 리투아니아 전설을 빌려 〈다이나바의 옛날 사람들 Dainavos šalies senu žmoniu padavimai〉(1912)을, 그리고 동양 전설에서 주제를 따와 〈동양의 이야기 Rytu pasakos〉(1930)를 썼다. 후기작품 가운데 〈하늘과 땅의 아들들 Dangaus ir žemes sūnus〉(1949)은 헤로데 왕 시절의 히브리인들을 형상화하는 위대한 표현력을 보여준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작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크레베 미츠키에비치우스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