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문법소론 文法素論, tagmemics
    1950년대에 미국의 언어학자 K. L. 파이크가 발전시킨 언어분석체계.|그때까지 기록되지 않은 매우 많은 언어들을 기술하는데 적용되었다. 문법소론은 언어의 기본단위인 문법소를 '칸' 또는 '기능' 부분과 '메우개'나 '부류'의 부분이 합성된 요소로 정의한다는 점에서, 문법분석의 다른 체계와는 차이가 있다. 가령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20세기의 언어학
    자극-반응 이론). 또 미국 구조주의의 특징은 '발견절차'를 세워 기계적 분석을 하려 한 점이며, 이는 촘스키의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그밖에도 파이크의 문법소론은 라틴아메리카 언어, 서부 아프리카의 언어 기술에 활용되었으며, 후기 블룸필드 구조주의와 구별되는 특징이 있다. 또 램의 성층문법이 한때 시도되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학문
  • 파이크 Kenneth L(ee) Pike
    에콰도르·볼리비아·뉴기니·자바·가나·나이지리아·오스트레일리아·네팔 및 필리핀의 원주민 언어를 연구한 것으로 유명하며, 문법소론(文法素論)의 창시자이기도 하다. 문법소론은 블룸필드 학파의 직접 구성성분 분석 및 파이크 자신의 인간 행동에 관한 일반 이론에서 파생한 것으로, 파이크는 〈언어와 인간...
    출생 :
    1912. 6. 9, 미국 코네티컷 우드스톡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심의린 송운(松雲), 沈宜麟
    자료를 모아 ≪중등학교 조선어문법 전(全)≫(조선어연구회)을 펴내어 문법교과서로서 널리 영향을 끼쳤으며, 또 ≪사범교육 조선어대화≫(조선어연구회)도...복직되었다. 1948년 동교 교우회지 ≪부중≫에 <국어에 대한 나의 신념>이라는 소론을 썼으며, 또 국어교육연구회 회지 ≪국어교육≫ 창간호에 <음성언어...
    시대 :
    근대, 현대
    출생 :
    1894년
    사망 :
    1951년
    유형 :
    인물
    직업 :
    학자, 국어학자
    성별 :
    분야 :
    언어/언어·문자
    본관 :
    청송(靑松)
  • 중세국어연구 中世國語硏究
    씨의 소론에 답함」(이숭녕, 『어문학』 11, 1964) ⑦ 「이숭녕 박사의 ‘중세국어의 MOOD론’에 대한 비판─아울러 필자에 대한 그 무책임한 세번째 박반에 답함」(허웅, 『한글』 133, 1964) ⑧ 「‘-오/우-’ 논고─주로 허웅씨의 기본태도의 일대 변모에 대하여」(이숭녕, 『국어국문학』 27, 1964) ⑨ 「‘인칭...
    시대 :
    현대
    저작자 :
    허웅(許雄)
    창작/발표시기 :
    1963년
    성격 :
    학술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간행/발행 :
    정음사
    분야 :
    언어/언어·문자
  • 필로포노스 Joannes Philoponos
    관한 소론들이 있다. 철학적 신학에서 필로포노스는 주요저작인 〈중개자, 또는 일체에 대하여 Diaitētēs ē peri henōseōs〉를 썼는데, 여기서 삼위일체설과 그리스도론을 논했다. 필로포노스는 모든 본성이 필연적으로 개별화된다고 주장했기 때문에 그리스도 안에서는 하나의 본성 즉 신성만이 가능하다고 결론...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그리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철학가
  • 노엄 촘스키 Noam Chomsky, ノーム・チョムスキー
    주었으며 이후 촘스키는 이를 문맥에서 분리된 문법의 형성에 대한 해석으로 발전시켰다. 해리스는 또한 그의 정치적 견해 형성에 큰 영향을 끼쳤다. 1951년 촘스키는 석박사 논문 《현대 히브리어의 형태소론(The Morphophonemics of Modern Hebrew)》에서 칼납의 1938년 변형규칙(vs. 형태규칙) 개념의 변형 형태로서...
    도서 위키백과
  • 윌리엄 스토키 William Stokoe, ウィリアム・ストーキー
    수어소론’(cherology)과 ‘수어소’(chereme)라는 용어를 창안하였으나, 현재 수어학계에서는 일반적으로 ‘음운론’이라는 용어가 쓰인다. 스토키는 미국 수어를 문자로 표기할 방법이 없었던 당시에, 현재 스토키 표기법(Stokoe notation)이라고 불리는 수어의 문자 표기법을 창안하였다. 이 표기법은 후대에 개발된...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