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무과 武科
    조선시대에 무관을 임용하기 위해 실시된 과거.|내용 고려시대도 1109년(예종 4)부터 1133년(인종 11)까지 24년 간 무과가 실시된 적이 있었다. 그러나 문관들의 반발로 없어졌다가 1390년(공양왕 2) 다시 무과를 설치할 것을 논의한 적이 있었다. 그러므로 고려시대는 무과가 제대로 실시되지 않았고, 조선시대에 이...
    시대 :
    조선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무과 武科
    본격적으로 실시된 것은 조선시대에 들어와서이다. 조선시대의 무과는 3년에 1번씩 실시하는 식년시가 있었는데 초시·복시·전시 3단계의 시험이 있었다. 고시과목은 강서와 무예 2종류가 있었다. 세조 이후 합격하고도 관직에 나가지 못하는 사례가 많아지자 그 격이 떨어지기 시작했다. 식년무과 이외에 비정규적으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과거제 (관련어 무과) Gwageo, 朝鮮の科挙
    유교 과거(科擧) 또는 과제(科第, Imperial Examination)는 중국과 한국 등에서 시험을 치러서 관리를 뽑는 제도이다. 중국에서는 수나라 때, 한국에서는 고려 때 처음 시작했다. 조선때는 거의 경복궁 근정전에서 치려졌다. 수 문제(隋文帝)는 한나라 멸망 이후 400여 년간 계속되었던 남북조 시대의 분립을 무력으로 ...
    도서 위키백과
  • 무과총요 武科總要
    책머리에 1810년(순조 10)에 쓴 병조판서 남용익(南龍翼)의 제(題)와 임인묵의 서(序), 그리고 1816년에 쓴 병조판서 서영보(徐榮輔)의 서문과 우리나라 무과에 관한 간략한 내력 및 목록이 실려 있다. 임인묵은 그의 서문에서, 1792년(정조 16)부터 무선사에서 무과에 관한 일을 맡아보면서 업무에 참고할 만한 관계...
    시대 :
    조선
    저작자 :
    임인묵(林仁默)
    창작/발표시기 :
    조선 후기
    성격 :
    규정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3권 3책
    분야 :
    과학/과학기술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 이종주 고신왕지 및 이임 무과홍패 李從周 告身王旨 및 李臨 武科紅牌
    農兵馬團練使蔚州鐵場官)의 관직을 제수하는 사령왕지이다. 총 4줄에 초서체로 쓰여졌고 연월 위에 ‘朝鮮王寶(조선왕보)’라는 새보가 찍혀 있다. ② 이림무과급제왕지(李臨武科及第王旨): 1435년(세종 17) 4월 20일 형산유학교도(衡山儒學敎導) 이림에게 무과 3등 제8인(8등)에 급제하였음을 증명하는 홍패왕지이다...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조서경 무과 홍패 趙瑞卿 武科 紅牌
    1981년 지정), 성석린(보물, 1983년 지정), 조흡(보물, 1986년 지정), 조숭(보물, 1988년 지정) 등에게 발급된 것이 있다. 이 왕지는 이림(李臨)에게 발급된 무과급제왕지와 같은 달에 발급된 것이다. 의의와 평가 조선 초기의 관제 및 과거제도 연구의 중요한 자료이며, 새보 사용의 변천을 살필 수 있는 자료이다...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과거 科擧
    당대(唐代)에는 수재과(秀才科)·명법과(明法科)·명서과(明書科)·명산과(明算科)를 증설했고, 측천무후(則天武后) 때 전시(殿試)를 처음 실시하고 무과(武科)도 함께 실시했다. 과거제도는 명대(明代)에 와서 더욱 정비되었다. 3년마다 각 성(省)에서 1번씩 치르는 향시(鄕試)에 합격한 사람을 거인(擧人)이라 했는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교육 , 역사 일반
  • 이순신 조선 중기의 명장
    李薰), 이신(李藎) 그리고 2명의 딸을 두었다. 노량해전에 참전했던 회는 현감, 열은 정랑(正郞)이었으며 면은 난중에 왜적과 싸우다 전사했고, 훈과 신은 무과에 올랐다. 두 형이 모두 죽었기 때문에 이순신은 또한 조카들을 친자식과 같이 극진하게 대했다고 한다. 무과급제와 초사(初仕)시절 22세에 무예를 배우기...
    출생 :
    1545(인종 1) 4월 28일(음 3월 8일)
    사망 :
    1598(선조 31)
    국적 :
    조선, 한국
    본관 :
    덕수(德水, 지금의 황해도 개풍군 덕수리)
    시호 :
    충무공(忠武公)
    자 :
    여해(汝諧)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역사인물 , 조선
  • 춘당대에서 문·무과 시험을 실시하고 지은 시를 새긴 현판 臨御春塘臺親試文武科..
    유물설명 정조(正祖, 재위 1776~1800)가 1792년(정조 16) 11월에 창덕궁 춘당대(春塘臺)에서 문무과 시험을 실시하고 신하들과 함께 지은 시를 새긴 현판이다. 문신은 제술(製述), 무신은 진법(陣法)을 평가하여 등수를 확정하였다. 정조가 친히 화살을 쏘아 맞히고 신하에게도 쏘게 하였으며, 이날의 정취를 정조와...
    분류 :
    유물 > 현판
    크기 :
    가로: 111.9cmcm, 세로: 49cmcm
    재질 :
    나무 / 잣나무
  • 중국의 특산 과일 중국에서 꼭 먹어야 할 것
    푸젠 성이 유명한 파인애플 산지다. 살구(杏子, 싱쯔) 둔황에서 생산된 것이 특히 맛있다. 둔황 사람들은 살구로 만든 음료를 즐겨 마신다 . 파파야(木瓜, 무과) 주홍빛 과육이 물렁하게 익은 것이 맛있다. 윈난의 시솽반나에서는 주스로 즐겨 마신다. 신장 멜론(哈密瓜, 하미과) 신장에서 생산되는 멜론의 한 품종으로...
  • 이동춘 무과 홍패 李東春 武科 紅牌
    유물설명 조선시대 과거제도에서 문과와 무과의 마지막 시험(3차 시험)인 전시(殿試) 합격자에게만 주어진 합격증서이다. 전시는 국왕이 직접 행차하여 치러진 복시[(覆試), 2차 시험]에서 선발된 문과 33인, 무과 28인의 합격자들을 재시험해 등급을 결정하는 시험이다. 이 홍패는 이동춘(李東春)의 무과 병과 합격증서...
    분류 :
    유물 > 기타
    크기 :
    세로: 91.3cm, 가로: 67.8cm
    재질 :
    종이
  • 「조서경 무과홍패」 趙瑞卿 武科紅牌
    라는 문구로 시작되었기에 왕지로 불렸다. 1442년(세종 24) 기왕의 왕지는 모두 ‘교지’로 바뀌었고 그 문서 양식이 『경국대전(經國大典)』에 실렸다. 「조서경 무과홍패(趙瑞卿武科紅牌)」는 조선 건국 후의 왕지 양식에 입각해 작성된 무과 급제 증명서로, 1988년 6월 16일 보물 제954호로 지정되었다. [제작 발급...
    분야 :
    역사
    지역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7건

무과 교지
한응검 무과 합격 교지
한범석 무과합격 교지
한홍일 무과합격 교지
조서경 무과홍패
이동춘 무과 홍패
이동춘 무과 홍패
이동춘 무과 홍패
이동춘 무과 홍패
조서경 무과홍패
무과총요
무과급제 교지(1879)
무과총요 / 임인묵 서문
이종주 고신왕지 및 이임 무과홍패
이종주 고신왕지 및 이임 무과홍패
이종주 고신왕지 및 이임 무과홍패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