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
양묘관리원수행직무 각종 묘포사업장에서 종자의 정선, 매장, 발아촉진, 묘포의 경운, 묘포 경영에 필요한 자재 구입 등을 한다. 간단한 시설의 설계, 농약, 비료, 파종, 볕가림, 제초, 솎기, 삽목(꺾꽂이), 접목(나무를 접붙임) 등 묘포사업 전반에 걸쳐 기술적인 실무를 담당하고 관리한다. 관련 작업원의 활동을 관리·감독한다.
- 교육수준 :
- 9년 초과 ~ 12년 이하(고졸 정도)
- 숙련기간 :
- 2년 초과 ~ 4년 이하
- 작업강도 :
- 보통 작업
- 작업장소 :
- 실내·외
- 육체활동 :
- 웅크림
- 직무기능(자료) :
- 조정
- 직무기능(사람) :
- 감독
- 직무기능(사물) :
- 수동조작
- 고용직업분류 :
- [9031]조림?산림경영인 및 벌목원
- 표준직업분류 :
- [6201]조림·산림경영인 및 벌목원
- 표준산업분류 :
- [A020]임업
- 조사연도 :
- 2022년
-
전나무 젓나무섞어서 노천매장을 하였다가 4월에 흩어 뿌리면 잘 발아한다. 발아한 어린모는 반드시 그늘망을 만들어서 음지에서 보호를 받도록 한 뒤에 묘포에서 3, 4년간 길러져야 한다. 묘포에서 길러진 모는 나무그늘 아래에서 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기존 나무숲을 일렬로 잘라내고, 그 자리에 심어서 키워야 한다. 전나무는...
- 분류 :
- 소나무과
- 성격 :
- 식물, 나무
- 유형 :
- 동식물
- 크기 :
- 높이 40m
- 학명 :
- Abies holophylla MAX.
- 분야 :
- 과학/식물
- 개화기 :
- 4월 하순
-
-
부안의 미선나무 군락지 扶安 미선나무 群落地내용 1992년 10월 21일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면적 1만 855㎡. 변산반도 직소천과 백천냇가의 산록 대로를 따라서 자라고 있다. 근처에 전북대학교의 묘포가 있어서 여기에서 퍼져나갔다고도 생각한 바 있었으나 현재는 자연상을 유지하고 있어서 보존된 것이다. 물푸레나무과에 속하는 관목이며 가지 끝이 밑으로...
- 유형 :
- 지명
- 분야 :
- 과학/식물
-
김제군지 金堤郡誌면사무소위치 · 봉수급관애(烽燧及關阨) · 장시(場市) · 역원(驛院) · 사찰 · 제언(堤堰) · 보축(洑築) · 토지총단별(土地總段別) · 경지면적 · 군묘포(郡苗圃) · 호구 · 성씨 · 풍속 · 농수산물 · 상납(上納) · 국세 · 조적(糶糴) · 봉름(俸廩) · 요역(徭役) · 지방비(地方費) · 학교 · 군액(軍額...
- 시대 :
- 근대
- 유형 :
- 문헌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청휴재문집 淸休齋文集지적하고, 유생을 존숭하여 국가의 원기를 북돋우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책의 「문충효(問忠孝)」에서는 역대의 충효를 열거, 효도하는 가운데 충성이 있고 충성하는 가운데 효도가 있다고 강조하였다. 설의 「묘포서설(猫捕鼠說)」에서는 고양이가 쥐를 잡아먹는 것에 비유하여, 탐관오리를 꾸짖는 내용이다...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김양렬
- 창작/발표시기 :
- 1924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권 1책
- 간행/발행 :
- 김숙진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도서관, 장서각 도서, 규장각 도서, 고려대학교 도서관
-
한서교회 모곡교회, 翰西敎會서당을 설립하였고, 1922년에는 사립 모곡학교를 개교하여 근대교육에도 앞장섰다. 1925년 모곡학교는 6년제 사립 모곡학교로 정식 인가를 받았으며, 무궁화 묘포를 경영하여 무궁화 보급에 앞장섰다. 특히 남궁억은 ‘삼천리 반도 금수강산’ 등 100여 곡의 애국가요를 직접 지어 보급하였으며, 『동사략』, 『 조선니...
- 시대 :
- 현대
- 위치 :
- 강원도 홍천군 서면 한서로 677
- 설립 :
- 1919년
- 성격 :
- 개신교 교회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남궁억
- 분야 :
- 종교·철학/개신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구리풍뎅이1회 발생한다고 한다. 성충은 7~9월에 출현하며 우화 최성기는 8월이다. 부화한 유충은 부식질(腐植質)이나 식물의 잔뿌리를 먹고 2~3령의 노숙 유충기에는 묘포(苗圃)에서 묘목의 뿌리를 먹는다. 습성 성충은 밤나무, 참나무류, 포플러류의 잎을 식해하고 유충은 땅 속에서 각종 묘목의 뿌리를 잘라 먹거나 껍질을 갉아...
- 분류 :
- 딱정벌레목 > 풍뎅이과
- 크기 :
- 몸길이 35mm
- 학명 :
- Anomala cuprea Hope, 1839
- 식성 :
- 각종 식물의 뿌리
- 분포지역 :
- 한국·일본·쿠릴열도
- 출현시기 :
- 7월, 8월, 9월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