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몬타누스주의 Montanism
    기록에 따르면 그리스도교로 개종한 몬타누스는 156년경 프리지아에 있는 조그만 마을 아르다바우에 나타났다. 그곳에서 입신의 상태에 빠져들어 '성령의 감동을 받은 예언'을 하기 시작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그는 자신과 마찬가지로 예언을 하기 시작한 두 젊은 여자, 곧 프리스카·막시밀라와 손을 잡았다. 이 운동...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몬타누스 (관련어 몬타누스주의) Montanism, モンタノス派
    출처 필요 몬타누스파(Montanist, 몬타니스트)는 2세기 소아시아에 있었던 기독교의 일파이다. 창시자인 몬타누스(Montanus)의 이름을 따서 몬타누스주의(Montanism)라고도 하며, 주류파로부터 이단으로 취급되었다. 세례 시 그들은 방언을 하고 예언을 했다. 예수가 약속한 보혜사인 성령이 그들을 통해 그러한 은사들...
    도서 위키백과
  • 몬타누스 Montanus
    경향을 나타냈다. 세상의 종말이 가까워졌다고 확신했으며, 그리스도교인을 깨끗하게 하고, 물질적인 욕구에서 떼어놓으려고 엄격한 도덕률을 부과했다. 몬타누스주의에 대한 공적 비판에서는 이 새로운 예언운동의 비정통적이고 열광적인 경향을 강조했고, 몬타누스가 하느님이 정해준 주교의 규칙을 무시했다고 지적...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몬타누스주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테르툴리아누스 퀸투스 셉티미우스 플로렌스 테르툴리아누스, Tertullianus
    아프리카까지 퍼져 있던 몬타누스주의(2세기경 프리지아 예언자 몬타누스가 창시함)로 알려진 새로운 예언분파운동에 가담했다. 당시 그리스도교도들의 게으른 생활에 불만을 품고 있던 그는 세상의 종말이 가까워졌다고 외치면서 엄격한 도덕생활을 강조한 몬타누스주의의 교리가 마음에 들었다. 그는 세상의 생활 방식...
    출생 :
    155경/160, 카르타고
    사망 :
    220 이후, 카르타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엘레우테리오 Saint Eleutherius
    그의 재위기간 동안 교회는 몬타누스주의(몬타누스파 예언자들의 무아지경에서 새로운 영적 계시들을 얻을 수 있다고 믿었던 소아시아 그리스도교도들 사이에서 일어난 운동) 논쟁에 휘말렸다. 초기 그리스도교 저술가 성 헤제시포에 따르면, 엘레우테리오는 교황 성 아니체토(155경~166경 재위) 때 로마 교회의 부제...
    출생 :
    ?, 로마 제국(지금의 그리스) 에피루스 니코폴리스
    사망 :
    189. 5. 24, 로마
    국적 :
    바티칸시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그리스도교 초기의 이단운동
    이끌었다. 이들은 세계종말의 임박성을 거듭 주장하였고, 몬타누스는 성부의 시대(구약시대), 성자의 시대(신약시대), 예언자 몬타누스가 예고하는 성령의 시대가 있다고 가르쳤다. 몬타누스주의로 개종한 중요한 인물은 카르타고의 라틴 신학자 테르툴리아누스이다. 〈신약성서〉를 보완해야 한다는 몬타누스파의 주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천년왕국 千年王國, millennium
    부를 수 있다. 이러한 저술가로는 〈바르나바 서신〉의 저자, 파피아스, 유스티노, 이레네오, 유대계 그리스도교 영지주의자 케린투스 등이 있다. 몬타누스주의 운동이 등장하면서 다수의 그리스도교도들은 처음으로 이러한 종류의 교리가 갖는 위험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몬타누스주의자들은 하늘의 예루살렘이 곧...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이단 異端, heresy
    처음 몇 세기 동안 그리스도교 교회는 많은 이단을 다루었다. 다른 이단들도 많지만, 대표적인 것들로는 가현설·마르키온주의·몬타누스주의·양자론·사벨리우스주의·아리우스주의·펠라기우스주의·영지주의가 있다(→ 도나투스파). 역사적으로 교회가 이단들과 싸울 때 사용한 중요한 수단은 그들을 파문하는 것...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교황 엘레우테리오 Pope Eleutherius, エレウテルス (ローマ教皇)
    밑에서도 그를 보좌하다가 174년 소테르의 뒤를 이어 교황이 되었다고 한다. 사후 성인으로 시성되었으며, 축일은 5월 26일이다. 아나톨리아에서 시작된 몬타누스주의는 교황 엘레우테리오의 재위기간인 2세기 말엽에 로마와 갈리아에까지 진출하였다. 몬타누스주의는 처음부터 이단으로 분류되어 정통 기독교 신앙...
    도서 위키백과
  • 아시아 Asia
    했다. 아시아의 대도시들은 문화와 교육의 중심지였다. 역사적으로 중요성을 띠는 그리스도교 공동체와 주교 교구들이 바로 이 속주 내에서 성장했으며, 몬타누스주의와 같은 주요한 이단들 역시 이곳에서 형성되었다. 3, 4세기에 발칸 지역 속주들의 발전이 이루어지고 또한 군사적 필요성과 함께 콘스탄티노플의 형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고대
  • 테르툴리아누스에 대한 평가
    대부분의 고대 그리스도교도들은 그가 몬타누스주의로 배교(이전의 신앙을 배척함)한 일을 용서하지 않았고, 후대의 그리스도교 저자들도 가끔씩 그를 언급했으나 매우 냉정했다. 그러나 조금은 내키지 않는 태도로 그의 문학적 재능과 예리한 지성을 인정했다. 오늘날 학자들은 이같은 과거의 견해에 동조하지 않는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소테르 Saint Soter
    보낸 편지 1통과 구제헌금에 대해서 코린토스 교회의 주교 성 디오니시우스는 답장을 통해 그의 사랑과 신학적인 자문에 감사를 표했다. 전임 교황 아니체토와 마찬가지로 예언과 엄격한 도덕 규율을 지나치게 강조한 이단설 몬타누스주의를 비판했다. 그의 죽음에 관해서는 전해지지 않지만, 순교자로 존경을 받고 있다.
    출생 :
    ?, 라티움(지금의 이탈리아) 폰디
    사망 :
    175경, 로마
    국적 :
    바티칸시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유스티니아누스 1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