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엘레우테리오

다른 표기 언어 Saint Eleutherius
요약 테이블
출생 ?, 로마 제국(지금의 그리스) 에피루스 니코폴리스
사망 189. 5. 24, 로마
국적 바티칸시티

요약 축일은 5월 26일. 교황(175~189 재위).

그의 재위기간 동안 교회는 몬타누스주의(몬타누스파 예언자들의 무아지경에서 새로운 영적 계시들을 얻을 수 있다고 믿었던 소아시아 그리스도교도들 사이에서 일어난 운동) 논쟁에 휘말렸다.

초기 그리스도교 저술가 성 헤제시포에 따르면, 엘레우테리오는 교황 성 아니체토(155경~166경 재위) 때 로마 교회의 부제였다고 한다. 다른 황제들에 비해 그리스도교에 더 관용적인 태도를 취했던 로마 황제 콤모두스(180~192 재위, 아버지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176~180 재위]와 함께 공동 황제였음) 때 교황으로 재위했다.

엘레우테리오는 177년 예언자 몬타누스의 가르침에 대한 견해를 담은 리옹 그리스도교도들의 편지를 받은 이후 줄곧 몬타누스주의 논쟁에 깊은 관심을 쏟았다. 이 편지는 현존하지 않지만, 몬타누스주의 추종자들에게 자비는 베풀어도 타협은 하지 말라고 엘레우테리오에게 요청한 내용인 듯하며, 프랑스 리옹 교회와 비엔 교회는 리옹의 주교 성 이레네오를 엘레우테리오에게 파견하여 이 편지를 전달하고 조언하도록 했다.

엘레우테리오가 몬타누스주의를 반대한 것은 유명한 일이지만, 그가 이 분쟁에 어떠한 중재역할을 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오늘날 역사가들은 루키우스라는 영국 왕이 엘레우테리오에게 선교사들을 파송해달라고 요청한 편지를 보냈다는 전설을 대체로 부정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종교인

종교인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엘레우테리오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