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목조건축 木造建築
    목조건축은 주요 구조부에 목재를 사용한 건축이다. 기둥과 보를 결합해서 건축물의 뼈대를 만드는 가구식 구조와 목재를 가로로 포개 쌓아 벽체를 만드는 귀틀식 구조 등이 있다. 한국 목조건축은 동아시아 문명의 건축 규범을 공유하면서 독자적으로 발전하여 고유한 양식과 미학을 창출했다. 최근 목조건축은 자연 재...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건축
  • 목조건축 木造建築, wooden construction
    건물·구조물 따위의 뼈대를 주로 목재로 세우거나 쌓아올리는 건축방법(→ 목공).|보통 통나무집을 짓는 데 많은 목재가 필요하므로, 목재가 드문 지역에서는 욋가지와 점토로 된 충전재를 사용하는 구조나 뼈대로 건물을 건축하는 목조건축이 더 경제적이었다. 이때 밀집이나 풀 같은 재료는 점토에 더해져 결합재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단청 단확, 丹靑
    한다. 사찰이나 궁궐 등 전통 목조건물의 안팎에 양식화된 무늬를 짙은 채색으로 그려서 아름답게 장식한 것을 말하는데 목조건물뿐만 아니라 조각품·공예품 등...위계성에 맞추어 아름답게 장식하기 위해서이다. 즉 우리나라 전통건축에서 주재료로 사용된 소나무는 목질이 강한 반면에 표면이 거칠고 건조시 열상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공포 栱包
    높여 웅장한 멋을 낼 뿐 아니라, 그 구성과 공작이 섬세하고 화려하여 장식적으로 중요한 기능을 가진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와 중국 · 일본 등지의 전통 목조건축에서 공포는 그 건물의 가장 중요한 의장적 표현(意匠的表現)으로서 각 시대에 따라 특징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특징의 변화는 건물 어느 부분보다도 민감...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건축
  • 공포 拱包
    등의 짧은 여러 부재를 짜 맞추어놓은 것을 일컫는다. (→ 한국의 건축) 공포는 구조적 기능뿐 아니라 의장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한국의 전통 목조건축은 공포가 놓여지는 위치와 결구방법에 따라 주심포 형식, 다포 형식, 익공 형식으로 분류된다. 주심포 형식은 기둥 위에만 두공을 배치하는 것으로 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고려시대의 한국 건축
    금당은 대웅전 등으로 명칭이 바뀌었으며, 이외에 사찰 내에 나한보전·칠성각·응진전·영산전·산신각 등 다양한 용도의 건물이 건립되었다. 고려시대 목조건축양식은 고려 말기에 다포계가 도입되기 전까지는 대부분 주심포계였다(주심포양식). 현존하는 고려시대의 주심포계 건물로는 봉정사 극락전(12세기말에서 13...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도리
    내용 목조건축물의 골격을 이루는 가구재(架構材) 중에서는 가장 위에 놓이는 부재로서 그 위에 서까래를 받는 기다란 나무이다. 도리의 단면형은 원형과 방형(方形)이 주로 쓰이는데 간혹 팔각형도 쓰인다. 원형은 굴도리, 방형은 납도리라 한다. 도리는 놓이는 위치에 따라 그 명칭이 정하여지는데 주심도리(柱心道里...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생활/주생활
  • 백제의 건축
    건축은 대규모의 왕궁과 절이 여러 곳에 조영되어 많은 유적이 발견되고 있으나, 건물지의 초석이나 석탑을 제외하고는 현존하는 것이 없다. 백제 초기의 목조건축은 고구려의 영향을 받아 강직한 형태를 보였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중국 남조와의 교류 이후에는 다소 경쾌하면서도 부드러운 모습으로 바뀌었을 것으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백제
  • 목조 본위 중국건축
    의아하게 생각할지도 모른다. 넓은 의미로 보면 유명한 만리장성이나 도시와 촌락을 둘러싼 성벽도 건축물에 포함된다. 이런 건축물은 흙이나 벽돌이나 석재를 주요 건축자재로 이용했다. 그러나 이런 이질적인 재료로 지은 건축물도 대부분 목조 건축양식을 답습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건축목조 본위라고 말할 수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고구려 건축
    전개되었다. 궁궐건축의 경우 평양의 안학궁지(安鶴宮址)를 통해 배치양식과 함께 중국과 비견되는 방대한 규모를 엿볼 수 있다. 각 건축물의 목조기법은 고분건축에 그려진 건물그림이나 건물의 세부모습에 의해 짐작할 수 있는데, 배흘림이 있는 원주와 기둥머리의 비교적 소박단순한 두공양식(枓栱樣式) 등에는 중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고구려
  • 주택 住宅, housing
    주택은 인간관계를 이어나가는 장소인 동시에 개인과 한 주거단위 집단체의 사회적·경제적 환경 안에서의 상대적 입지이다. 또한 가족의 신체적·정신적 욕구를 2차적으로 채울 수 있는 준비공간이다. 그러므로 주거를 정하는 데 있어서 그 주변의 여러 가지 편익시설을 비롯해 이웃과의 관계, 그 지역에 대한 사회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건축물
  • 숭례문 기둥엔 왜 소나무가 쓰였을까
    같은 목조건물을 지으려면 10m 이상 곧게 자란 나무가 필요하다. 기둥으로 쓸 수 있는 나무가 필요했던 조선 왕조는 느티나무를 대신해 숲에 늘어난 소나무에 주목했다. 특히 경북 봉화나 울진, 강원지역의 금강소나무나 안면도 소나무는 전봇대처럼 곧게 자라나 이 조건에 맞았다. 그래서 이 지역은 민가에서 소나무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0건

목조건축(wooden construction)
구례 화엄사 각황전과 앞 석등 정면
서울 경복궁 근정전 내부 상부가구
서울 경복궁 근정전 정측면
안동 봉정사 극락전 정면
예산 수덕사 대웅전 박공
완주 화암사 극락전 공포
완주 화암사 극락전 정면
경주 양동 향단 전경
무주 귀틀집 후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