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메넬리크 2세 Menelik II
    셰와의 왕(1865~89 재위)이며 에티오피아의 황제(1889~1913 재위). 본명은 Sahle Miriam. Sahl Mariam이라고도 씀.|개요 에티오피아의 가장 위대한 통치자 가운데 한 사람으로 제국을 거의 오늘날의 경계까지 넓혔고, 1896년에는 이탈리아의 침략을 물리쳤으며, 근대화를 위해 폭넓은 개혁을 시행했다. 초기생애 메넬...
    출생 :
    1844. 8. 17, 에티오피아 셰와 앙코버
    사망 :
    1913. 12. 12, 아디스아바바
    국적 :
    에티오피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메넬리크 2세 (관련어 메넬리크2세) Menelik II, メネリク2世
    왕족 정보 메넬리크 2세(Menelik II, 1844년 8월 17일~1913년 12월 12일)는 쇼아 왕국(ሸዋ)의 마지막 왕이자 에티오피아의 황제이며, 본명은 '살레 마르얌'이다. 쇼아의 왕자로 태어났다. 11세에 부왕을 잃고, 한때는 테워드로스 2세의 명령으로 감금된 적도 있었다. 1865년에 탈출, 스스로 쇼아의 국왕임을 선언하였다. ...
    도서 위키백과
  • 메넬리크 1세 Menelik I, メネリク1世
    여왕 마케다 사이에서 태어나 솔로몬 왕조의 시조가 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 실존에 대해서는 불확실한 부분이 많으며, 역사적으로 확인이 가능한 것은 1262년 자그웨 왕조를 무너뜨린 예쿠노 암라크가 1262년 메넬리크 1세의 후손을 자칭하며 왕조를 수립한 때부터 시작된다. 솔로몬 왕조 예쿠노 암라크 메넬리크 2세
    도서 위키백과
  • 요한네스 4세 Yohannes IV
    제후 출신으로 우수한 무기에 힘입어 테오도루스 2세가 죽은 지 4년 만에 에티오피아 왕관을 차지하게 되었다. 그의 주된 경쟁자는 셰와 왕 메넬리크 2세였는데 메넬리크는 1878(또는 1879)년에 벌어진 전투에서 패배한 뒤에야 비로소 요한네스를 황제로 인정했다. 그러나 메넬리크의 퇴진은 일시적일 뿐이었다. 1882년...
    출생 :
    1831
    사망 :
    1889. 3. 10
    국적 :
    에티오피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에티오피아의 역사
    두 이집트 군대를 내쫓은 후 셰와 왕국의 메넬리크 왕을 그의 수하에 두었고, 전사할 때까지 이탈리아의 진출을 격퇴시키는데 성공했다. 그 후 메넬리크 2세가 황제에 올랐다. 1889년 이탈리아와 에티오피아가 서명한 우치알리(위찰레) 조약은 그 자체가 분쟁의 원인이 되었고, 이어서 다시 대립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프리카
  • 에티오피아 에티오피아 연방 민주 공화국, Ethiopia
    로스 2세의 통치로 시작되었는데, 그는 나라를 통합하기 시작했다. 유럽 침략의 결과로 1889년 해안지역이 이탈리아의 식민지로 되었다. 하지만 황제에 오른 메넬리크 2세가 이탈리아인들과의 싸움에서 승리하여 1896년 그들을 축출했다. 메넬리크 2세의 통치기에 에티오피아는 번영을 누렸고, 그가 시작한 근대화 사업...
    인구 :
    129,719,719명 (2024년 추계)
    수도 :
    아디스아바바
    면적 :
    1,136,239㎢ 세계면적순위
    공식명칭 :
    에티오피아 연방 민주공화국 (Federal Democratic Republic of Ethiopia)
    기후 :
    온대동계건조성기후
    민족 구성 :
    오모로족(40%), 암하라 및 티크레족(32%), 시다모족
    언어 :
    암하라어,영어
    정부/의회형태 :
    연방공화제 / 양원제
    국가원수/정부수반 :
    대통령 / 총리
    종교 :
    에티오피아 정교(43.5%), 이슬람교(34%), 정령신앙
    화폐 :
    에티오피아 비르 (Br)
    국화 :
    칼라
    대륙 :
    아프리카
    국가번호 :
    251
    GDP :
    USD 85,664,000,000
    인구밀도 :
    115명/㎢
    전압 :
    220V / 50Hz
    도메인 :
    .et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프리카
  • 하일레 셀라시에 Haile Selassie
    통일기구(Organization of African Unity/OAU)의 중심지로 만들었다. 암하라 귀족 출신의 증조할아버지는 셰와(쇼아)의 살레 셀라시에였고 아버지는 황제 메넬리크 2세의 최고 자문관을 지낸 라스 마콘넨이었다. 고향에서 프랑스 선교사들에게 교육받으면서 어린 나이에 황제로부터 지적 능력을 인정받았고 황제는 그를...
    출생 :
    1892. 7. 23, 에티오피아 하레르 근처
    사망 :
    1975. 8. 27, 아디스아바바
    국적 :
    에티오피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아도와 전투 Battle of Adowa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1889년 에티오피아 황제인 요한네스 4세가 죽자 큰 혼란이 벌어졌고 이탈리아는 이러한 혼란을 이용해 셰와(쇼아) 출신의 메넬리크 2세를 도와 제위에 오르게 했다. 또한 이탈리아의 총리 프란체스코 크리스피는 1889년 메넬리크와 체결한 우치알리 조약을 에티오피아가 이탈리아의 보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셰와 Shewa
    그들은 이 지역의 정치적 공백상태를 틈타 북쪽의 청나일 강 유역에 이르는 농경사회를 건설했다. 1856년에는 황제 테오드로스 2세에 의해 에티오피아 제국에 합병되었으나, 메넬리크 2세가 다시 자신의 셰와 왕국을 회복하여 1886년에 이 지역을 장래의 수도 아디스아바바의 터전으로 삼았다. 공사는 곧 시작되었으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아르튀르 랭보 (Jean-Nicolas-)Arthur Rimbaud
    그의 보고서는 프랑스 지리학회 회보(1884. 2)에 실려 약간의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1885년 10월 랭보는 저금을 털어 셰와(에티오피아의 일부)의 왕인 메넬리크 2세에게 무기를 팔기 위한 원정여행을 떠나기로 결심했다. 메넬리크 2세는 당시 에티오피아 황제인 요한네스 4세와 권력 다툼을 벌이고 있었다. 그러나 그는...
    출생 :
    1854. 10. 20, 프랑스 샤를빌
    사망 :
    1891. 11. 10, 마르세유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문칭거 Werner Munzinger
    졌으나, 1875년 문칭거는 아비시니아 북부에 주둔하는 이집트군에 대한 지휘권을 박탈당하고, 그대신에 이집트의 동맹국이 될 가능성이 있는 셰와(쇼아)의 왕 메넬리크 2세와 연락할 수 있는 길을 열기 위한 소규모 탐험대의 대장으로 선정되었다. 350명의 병력을 이끌고 메넬리크가 보낸 외교사절과 함께 타주라 만을...
    출생 :
    1832. 4. 21, 스위스 올텐
    사망 :
    1875. 10. 27, 아비시니아(지금의 에티오피아) 아우사 호 근처
    국적 :
    스위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크리스피 Francesco Crispi
    잔인하고 억압적인 방법으로 진압했다. 또한 파멸적인 외교정책을 실시하여 홍해에 있는 몇몇 영지를 에리트레아에 편성시키고 아프리카에서 식민지를 개척하려고 노력했다. 1896년 아도와에서 이탈리아가 에티오피아의 황제 메넬리크 2세에게 참패당한 후 크리스피에 대한 불신임안이 가결되어 같은 해 3월 사임했다...
    출생 :
    1819. 10. 4, 시칠리아 리베라
    사망 :
    1901. 8. 12, 나폴리
    국적 :
    이탈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메넬리크 2세(Menelik II)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