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맹모삼천지교 孟母三遷之敎
    맹자의 어머니가 맹자의 교육을 위해 집을 세 번 옮겼다는 고사.|인간의 성선설(性善說)을 주장한 유학자 맹자는 중국의 고대 추나라에서 BC 371년경에 태어났는데 어린 나이에 아버지를 여의고 홀어머니 슬하에서 자랐다. 맹자의 어머니는 어린 아들의 교육에 각별한 신경을 썼다. 그의 어머니는 묘지·시장·학교 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사성어
  • 맹자 (관련어 맹모삼천지교) Mencius, 孟子
    다른 뜻각주 부족맹자는 공자의 사상을 이어 발전시킨 유학자이다. 전국 시대 추나라 사람으로 이름은 가(軻)이고, 자는 자여(子輿) 또는 자거(子車), 자거(子居), 자전(子展) 등이다. 어릴 때부터 공자를 숭상하고, 공자의 사상을 발전시켜 유학을 후세에 전하는 데 큰 영향을 끼쳤다. 생몰 연대는 정확하지 않지만, 맹...
    도서 위키백과
  • 맹자 인간의 본성은 착하다
    성선설과 왕도정치론, 정전제의 실시를 주장했고, 사서 가운데 한 권인 《맹자》는 맹자의 어록을 모은 것으로 후세에 편찬되었다. 맹자의 어머니는 맹모삼천지교와 단기지교로 맹자 못지않게 유명하다. 모방성이 뛰어난 맹자 맹자의 가정환경은 공자와 유사했다. 맹자도 3세 때 아버지를 여의고 편모슬하에서 성장했다...
    출생 :
    BC 372
    사망 :
    BC 289
    국적 :
    중국
  • 성어 成語
    담고 있으며, 일상생활 속에서 관습적으로 사용되면서 다양한 경험과 지혜를 알려 주는 역할을 한다. 성어는 4글자로 이루어진 사자성어가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성어의 예로는 知己(지기), 登龍門(등용문), 深思熟考(심사숙고), 長幼有序(장유유서), 燈火可親(등화가친), 孟母三遷之敎(맹모삼천지교) 등이 있다.
    도서 다음백과
  • 김만중
    부원군 윤두수의 4대손인 명망 높은 가문 출신이었다. 전란 중에 아버지 없이 유복자로 태어나 궁핍함 속에서 어렵게 자랐으나 어머니 윤씨는 '한국판 맹모삼천지교'라고 불릴 만큼 궁색한 살림 속에서도 내색 않고 만기와 만중 두 형제의 교육에 힘을 기울였다. 또한 《소학》, 《사략》, 《당률》 등을 직접 가르치기...
    출생 :
    1637년
    사망 :
    1692년
    대표작 :
    《구운몽》, 《사씨남정기》 등
  • 보통우표(어린이 보호) 어린이와 꽃모양의 하트
    어린이 보호를 위하여 체계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도 이러한 뜻에서 높이 평가하여야 할 것입니다. '세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라는 속담이나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와 같은 고사(故事)는 자녀교육에 심혈을 기울였던 옛 사람들의 고귀한 정신을 일깨워 주는 것으로써 현대에 사는 우리 모두가 깊이 음미해...
    발행일 :
    1992.5.4
    발행량 :
    3000000
    종수 :
    1
    액면가격 :
    100원
    디자인 :
    어린이와 꽃모양의 하트
    우표번호 :
    1680
    인면 :
    19×22
    천공 :
    13½x12½
    전지구성 :
    10×10
    용지 :
    백색무투문지
    인쇄 및 색수 :
    그라비아 5도색
    디자이너 :
    안성경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 그린마더스 클럽 Green Mothers' Club, 綠色媽咪會
    박윤주 역 - 열정과 탄탄한 정보력으로 무장한 엄마 "내 뼈를 갈아서라도 하고 싶은 거 하게 해줄 거예요" 은표의 육촌 동생, 한 때 놀던 언니. 현대판 '맹모삼천지교'. 하지만 지금은 짠내 폭발 알뜰족에 알파맘. 최재림 : 정재웅 역 - 순정을 다한 남의 편, 은표의 남편. 경찰대 출신 강력반 형사인 은표의 남편...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