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망 중립성 Network Neutrality데이터 트래픽의 종류에 관계없이 모든 사용자에게 동등하며, 차별없이 데이터를 제공해야 한다는 인터넷 생태계 운영 규범 망 중립성(network neutrality)은 통신사가 망에 흐르는 합법적 트래픽을 차단하거나 또는 지연하거나 우선 처리할 수 없도록 한다. 이것은 이용자 정보 접근권을 제고하고 인터넷 ・ 콘텐츠 ...
-
망 중립성 網中立性, network neutrality모든 네트워크 사업자는 모든 콘텐츠를 동등하게 취급하고 어떠한 차별도 하지 않아야 한다는 원칙. 망 운영의 근본적인 원칙으로 중립성을 보장하기 위해 비차별 ・ 상호접속 ・ 접근성 등 3가지 원칙이 모든 통신망에 동일하게 적용되야 한다는 것이다. 1990년대초 미국에서 처음 언급되었고, 유럽연합(EU)이 정보사회...
-
-
앱 중립성 (관련어 망 중립성) -中立性, app neutrality앱이 모바일 운영 체제(OS)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두루 동작할 수 있는 성질. 앱 융통성이라고도 할 수 있다. 앱 중립성은 구글 안드로이드(Android)나 애플의 아이오에스(iOS) 등 모바일 OS 종류와 무관하게 앱이나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성질을 말한다. '망 중립성'(네트워크 사업자들은 모든 콘텐츠를 동등하게 취...
-
앱 중립성 앱 융통성, App NeutralityBlackBerry) 등 여러 모바일 OS가 나머지 시장을 분할하고 있다. ‘앱 중립성(App Neutrality)’은 ‘존 첸(John S. Chen)’ 블랙베리 최고경영자(CEO)가 ‘망중립성(Network Neutrality)’의 개념을 애플리케이션 환경에도 적용해야 한다는 주장을 미국 의회 의원들에게 전달하면서 강조된 개념이다. ‘블랙베리’는...
-
플랫폼 중립성 -中立性, Platform Neutrality응용프로그램)으로 인해 플랫폼 사업자에게 부담이 발생하거나, 다른 이용자들의 서비스 이용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망 중립성과는 논의의 차원을 달리 한다. 플랫폼 중립성에 대한 논의는 플랫폼을 가진 사업자가 모바일 생태계에서 주도권을 가질 수 있고, 주도권을 기반으로 불공정한 경쟁을 야기할 수...
-
단말 중립성 端末中立性, Device neutrality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제도. 스마트폰 등에 이동통신사와 제조사의 애플리케이션을 선탑재하는 것과 결제 방식의 강요나 검색엔진의 독점 등이 단말 중립성을 해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건강한 ICT 산업 조성의 기본 원칙으로 망 중립성, 플랫폼 중립성과 함께 중요한 이슈로 등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