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둔전론 屯田論
    조선 후기에 서유구가 농촌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한 방안.|정전제적 토지소유관계를 기반으로 해서 현실에 맞추어 구상했다. 서울과 각도, 각읍, 북방의 변읍, 동남방의 도서에 모두 둔전을 설치하고, 자금은 정부에서 지급하는 것을 원칙으로 했으나 부민들이 출자를 원하면 이를 허락하자는 것이었다. 이렇게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유성룡 (관련어 둔전론) 조선 중기의 명신
    임진왜란 초기 선조의 피난길을 수행했고, 왜군을 물리치는데 공헌한 조선의 문인. 의주에서 병력을 모으고, 명군과 함께 평양성을 수복하는 등 조정을 이끌며, 이순신이 탄핵받았을 때 다시 천거했다. 전란 중 민심을 달래고 군사력을 강화했으며, 천민들에게도 면천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다양한 정책을 시행했다. 과...
    출생 :
    1542(중종 37)
    사망 :
    1607(선조 40)
    국적 :
    조선, 한국
  • 서유구의 토지제도 개혁론
    한전론적 이념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지배층인 지주들과의 마찰을 피하고 국가의 입장에서 현실적으로 당시의 농업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시한 것이 둔전론이다. 그는 관유지나, 환곡 및 잡역 관련비용을 들여 개간 혹은 매득(買得)한 토지에 정부나 지방관이 주체가 되어 경사둔전(京師屯田)·영하열읍둔전(營下列邑屯田...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서유규(徐有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