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동평군 東平君
    1660년 음력 4월 8일 ~ 1701년 음력 11월 8일)은 조선의 왕족이자, 시인 겸 서예가이다.능양군의 다섯째 아들인 숭선군의 장남이다. 성은 이(李), 본관은 전주(全州), 휘는 항(杭), 자는 제보(濟甫), 호는 존오당(存吾堂)이다. 인조와 귀인 조씨의 아들인 숭선군의 장남이다. 당조카인 숙종의 총애를 받았으며 희빈 장씨...
    도서 위키백과
  • 동평군사사사건 東平君賜死事件
    동평군은 인조의 손자이며 숭선군 징의 아들이다. 1687년 혜민서 제조가 된 이후 여러 차례 남구만 등의 규탄을 받았으나 숙종의 총애를 입어 처벌되지 않았다. 그는 희빈장씨와 가까웠으므로 1689년 왕비 민씨가 폐위되고 장씨가 왕비로 올랐을 때 주청사가 되어 청나라로 가서 폐비사건의 정당성을 설명하기도 하였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이항 동평군(東平君), 李杭
    개설 할아버지는 인조이고, 아버지는 숭선군 이징(崇善君 李徵)이다. 동평군(東平君)에 봉해졌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87년 혜민서제조(惠民署提調)가 되었고, 같은해 동지사(冬至使)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그 뒤 1689년에 주청사(奏請使)로 다시 청나라에 다녀왔다. 혜민서제조문제로 여러 차례 남구만(南九萬) 등의...
    시대 :
    조선
    출생 :
    미상
    사망 :
    1701년(숙종 27)
    경력 :
    혜민서제조, 동지사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신사의 옥
    직업 :
    왕족, 종실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조사석 趙師錫
    金萬重)에 의해 희빈 장씨의 어머니와의 오랜 연문이 왕에게 알려졌으나, 오히려 김만중이 처벌되었다. 1688년 좌의정이 되었으나 자신이 동평군 항(杭)의 근척임에도 불구하고, 동평군의 횡포를 논하다가 처벌된 박세채(朴世采)·남구만(南九萬) 등을 극구 변호한 일로 왕의 노여움을 사게 되자 병을 핑계로 나가지...
    출생 :
    1632년(인조 10)
    사망 :
    1693년(숙종 19)
    국적 :
    조선, 한국
  • 기사환국 己巳換局
    진 이듬해 조사석(趙師錫)이 우의정으로 올랐는데, 이는 장씨로 인한 정국변동과 무관하지 않았다. 조사석은 장씨의 외가와 친밀한 사이였기 때문에 이 무렵 동평군 항(東平君杭)은 종친으로서는 이례적으로 선혜청제조로서 궁중을 무상 출입하였는데, 숙원의 오빠 장희재(張希載)가 그와 연결을 맺고 있었다. 후궁 장씨...
    시대 :
    조선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동평국 東平郡, 東平郡
    國)은 전한에서 설치한 중국의 옛 제후왕국이다. 처음에는 제동국(濟東國)이었으며, 이후 대하군(大河郡)이 됐다가 동평국이 됐다. 이후 왕국이 폐지되며 동평군(東平郡)이 됐다. 한나라에서 원래는 양나라에 속한 지역이었으며, 경제 중5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호구 13만 1,753호·인구 60만 7,976명이 있었다. 다음...
    도서 위키백과
  • 장희재 張希載
    본관은 인동. 희빈장씨의 오빠이다. 누이가 어머니의 정부 조사석과 동평군의 주선으로 궁녀로 들어가 숙종의 총애를 독차지하게 되자 그 덕택으로 금군별장이 되었으며 1692년(숙종 18)에는 총융사로 승진했다. 1694년 인현왕후(仁顯王后)가 복위하자, 이를 투기하는 희빈장씨와 함께 인현왕후를 해하려는 모의를...
    출생 :
    미상
    사망 :
    1701(숙종 27)
    국적 :
    조선, 한국
  • 정종 묘부, 鄭種
    평정에 공을 세웠다. 그 공으로 적개공신(敵愾功臣) 3등에 책록되고, 행충무위상호군 겸 오위장에 임명되었다. 처음 칠산군(漆山君)에 봉하여졌다가 곧이어 동평군(東平君)으로 개봉되었다. 이어 충청도도절제사를 거쳐 경주부윤이 되었다. 1472년(성종 3) 한황(旱荒)이 계속되어 농작물에 대한 손실을 조사하였으나...
    시대 :
    조선
    출생 :
    1417년(태종 17)
    사망 :
    1476년(성종 7)
    경력 :
    경주부윤
    유형 :
    인물
    직업 :
    공신, 무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동래(東萊)
  • 갑술환국 갑술옥사, 甲戌換局
    환국 도모는 대체로 두 방향에서 추구되었다. 하나는 한중혁의 소론 쪽이 집권 남인측의 막후실력자인 총융사이자, 왕비 장씨의 친오빠인 장희재(張希載)와 동평군(東平君) 이항(李杭)에게 뇌물을 쓸 것을 계획한 것이다. 그것은 ‘폐비 민씨를 복위시키되 별궁에 거처하도록 하게 한다.’는 방침에서 나온 것이었다. 즉...
    시대 :
    조선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조사석 공거(公擧), 趙師錫
    등을 거쳐 1687년에 우의정이 되었다. 그 사이 1683년 동지사(冬至使)로 청나라에 다녀오기도 하였다. 1688년 좌의정이 되었는데, 이 때 인조의 손자인 동평군 항(東平君杭)의 횡포를 논하다가 처벌된 박세채(朴世采), 남구만(南九萬) 등을 변호하여 왕의 노여움을 사게 되자 병을 핑계로 사직하였다. 다음해 판돈녕부사...
    시대 :
    조선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함우치 문명(文命), 咸禹治
    경상도의 관찰사를 두루 역임하고 개성부유수가 되었는데, 특히 전라도관찰사로 재임할 때는 선정을 베풀어 칭송이 자자하였다. 1465년 형조참판이 되어 동평군(東平君)에 봉해졌으며, 1470년(성종 1)에는 형조판서에 올라 예종의 상례(喪禮)를 주관하였다. 이듬해 좌리공신(佐理功臣) 4등에 책록되고 좌우참찬을 역임...
    시대 :
    조선
    출생 :
    1408년(태종 8)
    사망 :
    1479년(성종 10)
    경력 :
    개성부유수, 전라도관찰사, 형조판서, 좌우참찬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강릉(江陵)
  • 반암서원 반암서당(盤巖書堂), 盤巖書院
    吾老齋)이다. 1442년(세종 24) 무과에 급제하여 세조 때 원종공신(原從功臣) 1등에 책록되었고, 이시애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적개공신 3등에 책록되면서 동평군(東平君)에 봉해졌다. 이후 충청도도절제사, 경주부윤 등을 역임하였다. 정비는 정선경의 아들로 호는 기우자(騎牛子)이다. 충좌위부사정을 지냈으며 호조...
    시대 :
    조선후기
    건립시기 :
    1794년(정조 18)
    성격 :
    서원
    유형 :
    유적
    소재지 :
    경상북도 고령군 덕곡면 반성리 740, 경상북도 고령군 덕곡면 원앞길 7
    분야 :
    교육/교육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