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동박새 japanese white-eye서식 한국, 일본, 대만, 중국 중부, 동부, 남부, 인도차이나반도 북부와 동부에 분포한다. 남해안과 서해안 도서지방, 해안지대에서 흔히 번식하는 텃새이며, 최근 경기에서도 번식이 확인되었다. 또한 흔하게 통과하는 나그네새다. 행동 동백나무 등 상록수림이 울창한 산림 또는 인가 주변에 서식한다. 무리를 이루며 ...
- 분류 :
- 동박새과(Zosteropidae)
- 서식지 :
- 한국, 일본, 대만, 중국 중부, 동부, 남부, 인도차이나반도 북부와 동부에 분포한다.
- 크기 :
- L12~13cm
- 학명 :
- Zosterops japonicus Japanese White-eye
-
동박새 Zosterops japonicus형태 크기: 약 12~13cm 정도의 크기이다. 채색과 무늬: 암컷과 수컷 모두 몸 윗면이 황색을 띤 녹색이다. 눈꺼풀에는 흰색의 가는 깃털이 빽빽하게 나있어 둥근 고리 모양을 형성한다. 귀깃과 목 옆은 황색을 띤 올리브 녹색이다. 턱밑과 턱 아래 부위는 황색이고, 가슴과 옆구리는 엷은 황갈색을 띤 포도색이다. 배는 ...
- 분류 :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류강(Aves) > 참새목(Passeriformes) > 동박새과(Zosteropidae)
- 학명 :
- Zosterops japonicus Temminck & Schlegel, 1845
- 국내분포 :
- 남해안과 서해안 도서지방에서 흔하게 번식하는 텃새이다. 최근 경기도에서도 번식이 확인되었다.
- 해외분포 :
- 일본, 대만, 중국 남부, 인도차이나반도 북동부에 분포한다.
- 특징 :
- 텃새
-
동박새 Zosterops japonica동박새과에 속하는 몸길이 11cm 정도의 명금. 일본과 한국이 원산지이다. 식성은 잡식이다. 낮은 위기의 멸종위기등급을 받았다. 등의 깃털이 녹색이고 눈 주위는 하얀 깃털이 두르고 있어 화려한 생김새를 자랑한다. 개요 조강 참새목 동박새과에 속하는 척추동물. 학명은 ‘Zosterops japonicus’이다. 이 새는 주로...
- 분류 :
- 척추동물 > 조강 > 참새목 > 동박새과
- 원산지 :
- 아시아 (일본,대한민국)
- 크기 :
- 약 10cm ~ 11cm
- 학명 :
- Zosterops japonicus
- 식성 :
- 잡식
- 멸종위기등급 :
- 낮은위기
-
동박새참새목 동박새과의 텃새. 개설 소형 조류로 중국 중남부, 일본, 타이완, 필리핀, 우리나라의 남부 지방에서 서식하며 제주도와 울릉도에서도 볼 수 있는 흔한 텃새이다. 학명은 Zosterops japonicus이다. 동박새의 학명에서 ‘Zosterops’는 ‘띠’를 의미하는 ‘Zoster’와 눈을 의미하는 ‘ops’의 합성어로서 ‘둥...
- 시대 :
- 현대
- 분류 :
- 척삭동물문, 조강, 참새목, 동박새과
- 서식지 :
- 남부지방 도서지역
- 출산시기 :
- 4∼6월
- 성격 :
- 동물, 새
- 유형 :
- 동식물
- 크기 :
- 날개 56.7㎜, 부리 11.0㎜, 부척 18.1∼20.7㎜
- 학명 :
- Zosterops japonicus
- 분야 :
- 과학/동물
-
동박새 동백나무와의 슬픈 전설을 간직한 새특징 • 눈 주위에 흰색 고리가 특징이며, 이 새 이름의 유래(영명)이기도 하다. • 겨울에는 산지와 평지로 이동하여 무리 행동을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 꽃의 꿀을 매우 좋아하기 때문에 개화시기에 주로 꽃 근처에서 많이 보이며, 봄에는 좋아하는 꽃의 꿀을 찾아 이동하는 모습도 확인된다. • 국내에서는 주로 ...
- 분류 :
- 참새목>동박새과
- 서식지 :
- 바닷가나 섬 등의 우거진 상록활엽수림(특히 동백나무)
- 먹이 :
- 잡식성(꽃의 꿀이나 과즙, 곤충 등)
- 크기 :
- 약 11-12cm
- 학명 :
- Zosterops japonicus
-
동박새부산광역시 수영구의 구조(區鳥)이자 동백섬 등지에서 서식하는 동박새과의 텃새. [형태] 동박새의 몸길이는 11.5㎝ 정도이고, 몸은 배 부분을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녹색을 띤다. 배는 흰색이고, 가슴과 옆구리는 연한 갈색이다. 암컷의 멱[목의 앞쪽]은 다소 둔하고, 크기가 수컷보다 작으나 다른 차이는 없어 구분이...
- 분야 :
- 지리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눈가에 수를 놓은 동박새섬세하고도 정확한 묘사가 일품이다. 「매화수안도(梅花繡眼圖)」는 휘종이 그린 작품이다. 수안(繡眼)이란 눈가에 수를 놓았다는 뜻이며, 동박새의 옛 이름이다. 동박새의 눈 테두리에 마치 흰 실로 수놓은 것처럼 동그란 무늬가 있어 이렇게 예쁜 이름을 얻었다. 매화 가지 위에서 동박새 한 마리가 먼 데를 가만히...
-
한국동박새 Chestnut-flanked White-eye북서부)에서 월동한다. 행동 다양한 환경의 산림에 서식한다. 이동시기에 무리를 이루며 곤충류와 나무 열매를 먹는다. 울음소리가 동박새와 다르다. 특징 동박새보다 약간 작다. 동박새와 비슷하지만 옆구리에 뚜렷한 밤색 무늬가 있다(일부 개체는 무늬가 엷다). 노란색 멱과 흰색 가슴의 경계가 명확하다. 가슴옆은...
- 분류 :
- 척삭동물 > 조강 > 참새목 > 동박새과
- 서식지 :
- 우수리, 러시아 극동, 중국 북동부, 북한에서 번식하고, 중국 서남부, 인도차이나반도(미얀마, 타이, 라오스, 캄보디아, 베트남 북서부)에서 월동한다.
- 먹이 :
- 곤충류, 나무 열매
- 크기 :
- 약 12~12.5cm
- 학명 :
- Zosterops erythropleurus Chestnut-flanked White-eye
- 임신기간 :
- 약 11~12일
- 분포지역 :
- 우수리, 러시아 극동, 중국 북동부 등
-
하와이를 지키는 외래종 조류자생 관목의 씨를 퍼뜨려 숲 보전에 한몫한다는 연구결과를 국제저널 ‘보전 생물학’ 10월호에 발표했다. 포스터 박사팀이 하와이에 유입된 외래종 조류인 동박새(Zosterops japonica)와 상사조(Leiothrix lutea)의 위를 조사한 결과 이들이 자생 나무의 열매를 즐겨먹는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소화되지 않고 배설물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