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독서회 讀書會1929년 전라남도 광주에서 조직된 항일학생운동단체. 내용 일반적 의미로는 독서를 통해 교양을 넓히고 독서 인구를 넓히려는 동호인 단체를 말한다. 그러나 협의의 역사적 용어로는 일제의 감시를 피하면서 항일적인 저항을 목적으로 성진회의 활동을 계승, 확대 개편한 단체를 이른다. 성진회(醒進會)가 독서회로 개...
- 시대 :
- 근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역사/근대사
-
광주여고보 독서회, ‘소녀회’, 장매성 ・ 박옥련 ・ 박현숙 ・ 장경례 학생으로서, 여성으로서 항일투쟁..여학생의 연합시위였다. 하지만 해방 이후 어떤 교과서도 이를 제대로 언급한 바 없었다. 1929년 11월 3일 광주학생운동이 일어났을 때도 여학생 비밀결사인 독서회, 즉 소녀회가 활약했으나 잘 알려지지 않았다. 1919년 3・1운동에서 학생이 처음으로 역사의 주체로 등장했다. 유관순 열사로 대표되는 바, 3・1운동...
- 출생 :
- 장매성 1911년, 전라남도 광주박옥련 1914년, 전라남도 광주박현숙 1914년, 전라남도 광주장경례 1913년, 전라남도 광주
- 사망 :
- 장매성 1993년박옥련 2004년박현숙 1981년장경례 1997년
- 포상훈격 :
- 장매성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박옥련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박현숙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장경례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
서울사대독서회사건 ─師大讀書會事件불온서적을 돌려가며 탐독하는 방식으로 공산당식 점조직을 확충하려 하였다. 이에 김기수는 국가를 변란할 목적으로 공산주의 노선에 동조하는 학생들을 ‘독서회’ 조직을 통해 개별적으로 포섭하기 시작하였다. 일단 김기수는 서울대 사범대 교육과 2학년에 재학 중인 1965년부터 신입생들을 포섭, 10여 회에 걸쳐...
- 시대 :
- 현대
- 발생 :
- 1968년 4월 3일
- 성격 :
- 공안사건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현대사
- 관련 인물/단체 :
- 독서회, 김기수, 김정남
- 관련 장소 :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민족차별과 식민지 교육에 맞서 싸운 학생 독립운동가, 윤창하 尹敞夏배반자 응징 가담자 뿐 아니라 고보 맹휴 지도본부와 농교 맹휴지도본부의 학생들이 검거되어 실형을 선고받았다. 민족의 현실에 대해 탐구하다-광주고보 독서회 활동 광주의 한인 중등학교인 광주고보와 광주농업학교 학생들은 1926년 11월 3일 사회과학 연구모임인 성진회(醒進會)를 조직하였다. 광주고보의 왕재일...
- 출생 :
- 1908년 4월 9일, 전남 해남
- 사망 :
- 1984년 12월 29일
- 포상훈격 :
-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
-
선구독서회 先驅讀書會강당에서 강연회를 가지고 무정부주의 선전을 하였는데 경찰의 습격으로 중단되었고, 그 뒤 이강하는 대전감옥에서 옥사했다. 선구독서회는 회원 이희종이 대전경찰에 검거되었으나 독서회에 대하여 말하지 않았으므로 무사하였다. 그 뒤 이희종은 행방불명이 되었고, 1943년 양희석은 김상철(金相哲)·고의종(高義鍾...
- 시대 :
- 근대
- 설립 :
- 1938년
- 성격 :
- 사상연구단체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양희석(梁熙錫), 고인찬(高麟燦), 이희종(李喜鍾)
- 분야 :
- 역사/근대사
-
-
강기찬 康箕贊제주도 출신의 아나키스트 고순흠의 지도를 받았다. 1927년 4월 9일 고병희 ・ 김형수 ・ 조대수와 함께 김형수의 집에서 아나키스트 비밀결사 독서회를 결성하였다. 독서회의 명칭은 이후에 ‘문고’로 정하였다. 문고의 구성원들은 매월 30전의 돈을 갹출하여 서적을 구입하고 매월 세 번째 토요일에 모여 아나키즘...
- 출생 :
- 1903년 5월 28일, 전라남도 제주(濟州)
- 사망 :
- 1955년 11월 25일
- 주요활동 :
- 제주도에서 아나키스트 비밀결사 독서회 ‘문고’를 조직하고 아나키즘 사상을 연구했다. 이후 ‘우리계’라는 조직을 만들어 야학을 개설하고 항일민족의식을 고취시켰다.
- 포상훈격 :
-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
- 관련 인물/단체 :
- 무정부주의 독서회, 우리계
-
최성원 崔聖源광주고등보통학교에 재학중이던 1929년 6월에 김상환(金相奐)ㆍ김보섭(金普燮) 동료학생 20여 명과 함께 무등산에서 회합하고 항일학생비밀결사인 광주고보 독서회를 조직하였다. 이 비밀결사는 광주지역의 중심적 항일학생결사였으나 회원 중 이반자가 생겨 1927년 3월 형식상 해체된 성진회(醒進會)를 계승하여 확대...
- 출생 :
- 1912년
- 사망 :
- 2002년
- 경력 :
- 건국준비위원회 회원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광주고등보통학교 독서회운동
- 직업 :
- 독립운동가, 독립유공자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김동은 金東垠통학교 5학년 재학 중 김종섭(金鍾燮)·박기원(朴基源)·장재성(張載性) 등과 무등산에서 항일의식을 고취하는 회합을 갖고 광주고보독서회를 조직하였다. 독서회는 1926년 이후 학생비밀결사로서 항일민족노선을 지향했던 성진회(醒進會)의 정신을 발전시킨 것으로 성진회의 주동학생들이 학생신분에서 벗어나자 그...
- 시대 :
- 근대
- 출생 :
- 1908년
- 사망 :
- 1978년
- 유형 :
- 인물
- 직업 :
- 독립운동가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광주 학생운동 학생들이 주도한 최대의 민족운동배경 1926년 광주 학생운동을 주도한 단체인 독서회의 전신 성진회가 결성되다. 1929년 전남에서 시작된 학생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다. 1930년 일제의 강경 진압에도 서울과 광주, 간도, 동경에서 학생운동이 계속되었다. 설명 광주 학생운동은 1929년 10월 30일 나주역에서 벌어진 사건이 발단이 되었다. 이날 오후...
- 시대 :
- 1929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