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독립협회와 청년 이승만 (관련어 독립협회..)영화 정보 독립협회와 청년 이승만은 1959년 서울특별시에서 상영된 대한민국의 영화로, 대통령 이승만의 청년기 개화 관련 계몽운동사를 다루었다. 특히 기울어져 가는 대한제국(이조 말엽)의 국운을 차라리 바로잡기 위한 그의 개화 및 계몽 관련 투쟁사를 주요 및 중심으로 한 사극 전기물 작품(액션 대하 시대 사극...도서 위키백과
-
안창호 독립운동가공립협회 대표로 국내 사정을 살피는 한편, 국내의 유지들과 반대 여론을 유도하기 위해 귀국을 결정했다. 귀국 도중 도쿄[東京] 에 들러 재일한국유학생 단체인...봄 서울에 도착했다. 귀국 후 그는 일본의 국력과 비교해볼 때 조선의 독립은 요원한 것이라 생각하고 당장 시급한 일은 실력을 양성하여 독립의 기초를...
- 출생 :
- 1878(고종 15). 11. 9, 평남 강서
- 사망 :
- 1938. 3. 10, 서울
- 국적 :
- 한국
- 본관 :
- 순흥(順興, 지금의 경북 영주 순흥면)
- 호 :
- 도산(島山)
-
이승만 대한민국 제1·2·3대 대통령, 李承晩한국의 독립과 임시정부 승인을 유보하고 그 대신 연합국 열강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신탁통치 실시 구상이 검토되고 있었다. 따라서 미국 정부는 주미외교위원부와 한미협회의 계속되는 요청에 대하여 어떤 긍정적 답변도 내놓지 않았다. 태평양전쟁 발발 1주년이 되는 1942년 12월 7일 루스벨트(Franklin D. Roosevelt...
- 출생 :
- 1875년 3월 26일, 황해 평산(平山)
- 사망 :
- 1965년 7월 19일
- 관련 사건 :
- 1905년 러일강화협상, 1919년 파리강화회의, 1921~22년 워싱턴회의, 1945년 샌프란시스코회의
- 본관 :
- 전주(全州)
- 주요활동 :
- 1898년 독립협회 및 만민공동회 활동, 1919~25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임시대통령, 1919년 8월 구미위원부 설립, 1921년 6월 대한인동지회 결성, 1941~45년 주미외교위원부 위원장, 1948~60년 대한민국 대통령
- 포상훈격 :
- 1949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 관련 인물/단체 :
- 대한민국 임시정부, 구미위원부, 주미외교위원부, 대한인동지회
-
-
독립협회 獨立協會대한청년애국회를 색출하여 없애자고 호소하고 조병식을 탄핵하는 서한을 보냈다. 안경수 쿠데타 음모와 조병식 탄핵 문제에 대한 갈등이 이어지는 가운데 고종...그 결과 조병식을 면직시키고 박정양과 민영준을 방면하여 독립협회와의 화해를 모색하였다. 1898년 9월 11일 전 러시아 공사관 통역 김홍륙(金鴻陸...
- 시대 :
- 근대/개항기, 근대/대한제국기
- 유형 :
- 단체
- 분야 :
- 역사/근대사
-
이승만 우남(雩南), 李承晩내에서 청년단체인 협성회(協成會)에 참여하였으며, 협성회의 주간신문인 『협성회회보』를 창간해 주필을 맡았다. 1891년 박승선과 결혼하였다. 1898년에는 러시아의 이권침탈을 규탄하기 위해 열린 만민공동회에 참여하면서 독립협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시작하였다. 같은 해 4월 일간지인 『매일신문』을 창간해...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이승만 대한민국 제1·2·3대 대통령, 李承晩이런 영어 실력은 1904년 민영환의 밀사로 미국 대통령 루스벨트에게 조선의 독립을 호소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되었다. 그러나 주미공사가 협조해 주지 않아...철학박사 학위를 받은 그는 한국으로 돌아와 YMCA에서 기독교 청년운동과 교육에 전념했다. 이승만은 1891년 박승선과 결혼했으나 미국으로 건너간 후 사실상...
- 출생 :
- 1875년
- 사망 :
- 1965년
-
이승만 李承晩독립협회 탄압 정책에 항거하는 시위를 주도했다. 1899년 1월 고종폐위 음모 사건으로 체포되어 한성감옥에 투옥되었다. 감옥 안에서 기독교를 수용하여 기독교 민족주의자로 거듭났다. 그 후 양반 죄수들에게 전도하여 일제시기 한국기독교 지도자로 성장한 인사들을 다수 개종시켰고, 죄수들을 위한 학교와 도서관을...
- 출생 :
- 1875년, 황해도 평산
- 사망 :
- 1965년
- 포상훈격 :
- 1949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
하와이 한인단체 합성협회 성립의 주역, 안원규 ・ 정원명 安元奎 ・ 鄭元明이정건, 청년부원에 양유찬, 외교원에 조세은, 법무원에 김원용, 학무원에 김윤배, 사교원에 박봉집을 각각 임명하였다. 1938년 11월 18일 국민총회관에서 제1차...손승운 ・ 조병요, 위원에는 김원용 ・ 도진호가 선출되었다. 1930년대 후반부터 미본토와 하와이에 독립운동을 위해 미주지역 한인사회가 하나로 뭉쳐...
- 출생 :
- 안원규 1877년 8월 30일, 서울정원명 1881년 11월 20일, 평안남도 평양
- 사망 :
- 안원규 1947년 5월 22일정원명 1942년 6월 23일
- 포상훈격 :
- 안원규 1995년 건국훈장 독립장정원명 2014년 건국훈장 애국장
-
-
한국 독립운동의 숨은 조력자, 임시정부를 후원한 선교사, 조지 애쉬모어 피치 비오생, Geo..한국인 청년들을 미국으로 유학 보내는 일에도 관여했다. 이러한 활동이 가능했던 것은 아들 애쉬모어가 주로 YMCA에서 중국인들과 교류하며 일제의 감시를 느슨하게 만들었고, 필드는 한국인들을 중국인으로 위장시켰기 때문이다. 한편, 1908년 초 대동보국회 상하이연회(大同保國會 上海聯會)에서 설립한 대동학교...
- 출생 :
- 1883년 1월 23일
- 사망 :
- 1979년 1월 20일, 미국
- 포상훈격 :
- 건국훈장 독립장 1968
-
임시정부, 청년 외교활동가들, 이희경 ・ 나용균 ・ 황기환 李喜儆 ・ 羅容均 ・ 黃玘煥공립협회는 1905년 4월 5일 샌프란시스코에서 안창호가 주도하여 조직한 민족운동단체이다. 1906년 6월까지 레드랜드 지회의 부회장을 맡았고, 1909년까지 지방회원으로서 활동을 이어갔다. 1917년 미국이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하자, 지원병으로 입대하여 유럽전선에서 활약하였다. 소대장으로서 중상자 구호를 담당...
- 출생 :
- 이희경 1889년, 평남 순천나용균 1895년, 전북 정읍황기환 1886년, 평남 순천
- 사망 :
- 이희경 1941년나용균 1984년황기환 1923년
- 포상훈격 :
- 이희경 1968년 건국훈장 독립장나용균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황기환 1995년 건국훈장 애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