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황사우의 재영남일기 16세기 초, 경상도 도사로 보낸 1년의 시간알 수 없다. 『재영남일기』는 500여 년 전의 아득한 시간 속으로 우리를 데려간다. 감사를 도와 지방 행정에 참여했던 젊은 도사는 어떤 심정으로 일기를 썼을까? 그가 정리해둔 일기를 21세기에 사는 우리는 어떤 마음으로 마주해야 할까? 또 그의 이야기를 읽는다고 해서 그 숨은 이야기를 얼마만큼이나 읽어낼 수...
-
조선시대 일기와 소통하다 인생의 궤적(軌跡), 일상의 기록행해지는 처벌인 유벌(儒罰)이 주요 활동으로 자리잡았다. 황사우는 경상감사의 수석보좌관 격인 도사(都事)로서 지낸 1년의 시간을 『재영남일기』에 상세하게 담았다. 도사는 감사 유고시에 감사의 직임을 대행하기 때문에 아감사(亞監司)로 불렸다. 감사는 도내 군현을 순력(巡歷)하면서 향교의 훈도와 유생에 대한...
-
비목재일기 卑牧齋日記비목재로, 본관은 청주(淸州)이다. 이위는 노론 학맥인 윤봉구(尹鳳九)의 문인으로, 1750년(영조 26) 문과 급제 후 가주서와 성균관 전적 등을 거쳐 전라도 도사를 역임하였다. 이 책은 문과 급제 이후 관직 생활을 하던 기간인 1750년 2월 30일부터 1754년(영조 30) 4월 30일까지의 일기와 1779년(정조 3) 6월 24일부터...
- 시대 :
- 조선후기
- 저작자 :
- 이위(李煒)
- 창작/발표시기 :
- 1781년(정조 5) 이전
- 성격 :
- 일기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61장)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소장/전승 :
- 이종구(李宗九)
-
남평 조씨의 병자일기 피란 중 써내려간 사대부 여성의 삶1640년에는 다른 집에서 지냈던 것 같다. 대기 지냈다. 목집의(睦執義), 남도사(南都事) 형제, 남참봉 형제께서 제사에 참례하시니 일곱 분이 제사를 지내셨다...이 제사도 형제들이 돌아가며 지내는 윤회봉사 형식으로 이루어졌다. 일기 속에는 세 차례의 제사가 있었는데, 조씨 집에서는 1638년에만 지냈다. 오늘은...
-
-
중고 헤이안 시대의 일본문학한편에서 기노 쓰라유키의 〈도사 일기 土佐日記〉(935)로 시작되는 일기문학이 형성되어갔다. 본래 일기란 공적 기록에 속하며 한문으로 기록하는 것이었는데 점차 개인의 내면을 표출하는 문학형식으로 바뀌었다. 〈도사 일기〉는 도사 지방 장관의 임기를 마치고 귀경하는 뱃길에서 작가 기노 쓰라유키가 임지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