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하 大河
    김남천(金南天)이 지은 장편소설.|내용 1939년 최재서가 주관하는 인문사 기획의 전작 장편소설 총서 첫 작품으로 출간되었다. 현대소설사에서 본격적인 의미의 가족사소설(家族史小說)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 대표적인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이 소설은 제1부만이 단행본으로 간행(人文社, 1939)된 채 그 속편이 발표...
    시대 :
    근대
    저작자 :
    김남천
    창작/발표시기 :
    1939년
    성격 :
    장편소설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현대문학
  • 대하 帶下
    성기분비물이 질 밖까지 흘러나와 외음부를 적시거나 오염시키는 상태를 말한다. 생리적인 대하와 병적인 대하로 구분된다. 생리적인 대하는 양이 많지 않은 것이 정상이며 흘러내리면서 유백색을 띠는데 월경주기에 따라 그 성상이 변한다. 병적인 대하는 발생부위에 따라 외음대하·질대하·경관대하·체부대하 등이 ...
  • 황금빛 가을철 영양과 맛의 보고, 대하
    추수철이라 먹을거리가 가장 풍부한 계절이지만 이 가을에 딱 먹기 좋은 바닷가 식재료는 따로 있다. 말 그대로 몸집이 큰 새우라는 뜻의 이름을 가진 대하(大蝦)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새우는 약 90여종에 이르는데, 바다에 서식하는 새우는 보리새우, 대하, 중하, 꽃새우, 젓새우, 도화새우 등이 있다. 대하는 보리...
    도서 과학향기 | 태그 음식 , 식재료
  • 이승희 계도, 李承熙
    1847년 2월 19일 경북 성주군(星州郡) 월항면(月恒面) 대포리(大浦里)에서 아버지 한주(寒洲) 이진상(李震相)과 어머니 흥양이씨(興陽李氏)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본관은 성산(星山)이며 자는 계도(啓道), 호는 젊어서 강재(剛齋)라 하였고 장년에 대계(大溪)라 하였다. 블라디보스토크(Vladivostok)로 건너간 뒤 1909년...
    출생 :
    1847년 2월 19일,  경북 성주(星州)
    사망 :
    1916년 3월 30일
    본관 :
    성산(星山)
    주요활동 :
    1895년 명성황후 시해 만행 규탄 포고문 발표, 1905년 을사늑약 반대 투쟁, 1907년 국채보상운동 전개, 1909년 독립운동 기지 한흥동 개척, 1913년 한인공교회 창립, 1915년 랴오중현 독립운동기지 덕흥보 개척
    포상훈격 :
    1977년 건국훈장 대통령장
    관련 인물/단체 :
    한인공교회
  • 대하 大蝦, Jumbo shrimp
    보리새우과 대하속에 속하는 해산물. 크기는 약 10~30cm, 무게는 약 100~300g이다. 일반 새우에 비해 크기가 큰 편으로 먹을 것이 많고, 맛도 좋아 새우 중에서는 선호도가 높은 편이다. 조리할 때에는 그대로 찌거나 구워 먹는 것이 보편적이다.|개요 보리새우상과 보리새우과 대하속에 속하는 해산물. 수컷의 크기는...
    분류 :
    수산물 > 갑각류
    용도 :
    찜용, 구이용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식재료
  • 대하 大河
    1976년에 창단된 극단.|설립목적 연출가 김완수(金完守)가 중심이 되어, 연기자 지계순(池季順)·이영후(李榮厚) 등과 함께 창단하였다. 순수한 자세로 연극을 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서구의 현대극을 주로 공연하였으며, 창작극의 경우 전통의 현대적 수용에 초점을 맞춘 연극을 공연하고 있다. 연원 및 변천 극단 ...
    시대 :
    현대
    위치 :
    서울특별시 중구 중앙우체국 사서함 8296호
    설립 :
    1976년
    성격 :
    연극단체
    유형 :
    단체
    설립자 :
    김완수
    분야 :
    예술·체육/연극
  • 김남천, 대하
    이 작품은 제1부만이 발간되었고, 제2부 『동맥』은 그 일부가 ?개화풍경?이라는 제목으로 연재되었으나 미완이다. 봉건적인 사회체제가 붕괴되기 시작하는 개화기를 배경으로, 성천(成川) 두무골이라는 조그만 마을에 살고 있는 밀양 박씨 박성권을 중심으로 5대에 걸친 가족들의 상호 관계와 그 시대적 변이 과정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품 , 소설
  • 대하 大河
    김남천(金南天)은 평안남도 성천 출생으로 본명은 김효식(金孝植)이다. 1929년 평양고보를 졸업한 이후 동경 호세이대학에서 수학하다 중퇴했다.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 도쿄지부에 가입하여 임화와 함께 문예운동의 볼셰비키화를 주창하며 「공장신문」(1931), 「공우회」(1932) 등의 작품을 발표했다. 1931년 카프 ...
    시대 :
    근대
    저작자 :
    김남천(1911~1953)
    크기 :
    13.5×19(cm)
    간행/발행 :
    인문사, 1939.
    면수/쪽수 :
    396면
  • 193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문학가, 김남천 (관련어 대하) 실천과 체험의 문학
    1931년에 닥친 카프 맹원 검거 때 얼마 뒤 거의 다 풀려나지만 고경흠과 함께, 국내 카프 임원으로는 유일하게 구금된 작가가 있다. 바로 김남천(金南天, 1911~1953?)이다. 그는 누구이며 왜 이런 처분을 받게 되었을까? 이는 같은 해에 발표된 그의 소설 「공장 신문」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1911년 3월 평남 성천군...
    출생 :
    1911년
    사망 :
    1953년?
  • 대하 (국가) Daxia, 大夏
    출처 필요 대하(大夏)는 한나라에서 박트리아를 부르던 이름이라고 전해지지만 확실치 않다. 대하는 중국문헌에 기원전 3세기부터 나온다. 그 후 기원전 126년 장건은 박트리아를 대하로 기록했다는 설이 있다. 그들은 인구 100만의 중요한 도시 문명을 기술하였다. 그들은 작은 도시 왕 또는 행정관 아래에서 벽으로...
    도서 위키백과
  • 대하 (생물) Chinese white shrimp, コウライエビ
    대하(大蝦)는 보리새우과의 갑각류이다. 왕새우 또는 큰새우로도 불린다. ‘대하’, ‘왕새우’, ‘큰새우’라는 명칭은 수상새아목에 속하는 대형 갑각류를 가리키는 말로 쓰이기도 한다. 주 분포지역은 한반도의 서해안과 중국의 온대, 아열대 지역과 보하이 만 지역이며, 한반도의 남해안 및 동해남부 지역에도 적은...
    도서 위키백과
  • 대하
    대하는 다음 등을 가리킨다. 대하 대하: 냉(冷). 여성의 생식기에서 나오는 분비물 대하 대하씨(大賀氏): 거란의 성씨 중 하나 역대하의 약자: 역대기의 일부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3건

대하
대하
대하 판권지, 초판
대하 표지, 초판
대하 데치기
대하 손질
대하 생것
대하구이
대하찜
수삼대하 샐러드
대하 소금구이
대하오븐구이
대하잣즙무침
백고대하국
일품대하(一品大虾)
대하국의 석마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