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제사장 大祭司長, high priest
    유대교에서 예루살렘 성전의 최고성직자. (히). Kohen Gadol.|대제사장의 독특한 특권은 1년에 1번씩 욤 키푸르(Yom Kippur), 즉 속죄일에 지성소(至聖所)에 들어가서 자신의 죄와 이스라엘 백성의 죄를 속죄하기 위해 향을 피우고 희생 제물인 짐승의 피를 뿌리는 것이었다. 이 일을 수행할 때 대제사장은 그해 입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대제사장 High Priest of Israel, 大祭司
    대제사장(Kohen Gadol, 유일하게 일 년에 한번 지성소에 들어갈 권한을 가졌다. 이스라엘의 모든 사제들과 마찬가지로, 대제사장은 원칙적으로 아론의 혈통을 가졌으며, 세습되었다. 코헨 아론 엘르아살 비느하스 아비수아 북기 웃시 엘리 아히둡 아히야 아히멜렉 아비아달 사독 아히마아스 아사랴 요하난 아사랴 아마랴...
    도서 위키백과
  • 아론 Aaron
    동생 모세와 함께 이스라엘 민족을 이집트에서 인도하여 이끌어낸 인물이다. 모세5경에 그려진 아론의 인물상은 여러 전승 자료를 토대로 구성한 것이다. 〈탈무드〉와 미드라시에서는 모세를 보좌한 지도자로, 그리스도교 사상에서는 여러 역할을 맡은 인물로 등장한다. 〈구약성서〉 〈출애굽기〉에 따르면, 레위 지파...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성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대제사장 예수아 Joshua the High Priest, ヨシュア (祭司)
    예수아 또는 대제사장 예호수아는 성경에 따르면, 유대인이 바빌로니아로부터 돌아온 후, 유대 성전의 재건을 위한 포로귀환 이후 첫번째 대제사장을 역임한 인물이다. 예수아는 대제사장 여호사닥(요사닥)의 아들에스라 3장 2절학개 1장 14절로 유다 총독 스룹바벨과 함께 포로귀환을 하였다. 예수아는 대제사장을 역임...
    도서 위키백과
  • 삼손과 델릴라 Samson et Dalila Op.47
    히브리신을 모독한다. 아비멜레크가 칼을 들어 삼손을 치려하자 삼손은 오히려 괴력을 발휘하며 그를 쓰러뜨린다. 영주가 죽었다는 소식을 전해 받은 대제사장이 병사들을 나무라고 있는데 전령이 와서 히브리인들이 삼손을 지휘관으로 앞세워 봉기를 일으켰음을 전한다. 이에 대제사장은 병사들과 영주의 시체를 들고...
    시대 :
    낭만
    분류 :
    낭만주의 음악>오페라
    제작시기 :
    1877년
    작곡가 :
    카미유 생상스(Camille Saint-Saëns, 1835~1921)
    원작 :
    구약성서 판관기 16장
    초연 :
    1877년 12월 2일 바이마르 대공 오페라하우스
    출판 :
    1877년
    등장인물 :
    • 델릴라(펠리시테의 젊은 여인, 메조소프라노) • 삼손(히브리의 청년, 테너) • 대제사장(다곤의 대제사장, 바리톤) • 아비멜레크(가자의 영주, 베이스) • 늙은 히브리인(베이스)
    배경 :
    기원전 1150년경 팔레스타인의 가자
    대본(리브레토) :
    페르디낭 르메르
    구성 :
    3막 그랜드오페라
  • 산헤드린 Sanhedrin
    그러므로 산헤드린의 정확한 성격·구성·기능은 학문적 탐구와 논쟁의 주제로 남아 있다. 예를 들어 요세푸스의 저작과 복음서에는 산헤드린이 대제사장을 우두머리로 하는 정치적·사법적 의회로 나타나 있는 데 비해, 〈탈무드〉에는 비록 정치적·사법적 기능을 갖고는 있지만 주된 기능은 현자(賢者)를 우두머리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마카베오가 Maccabees
    마침내 안티오코스는 예루살렘을 침략하고 야훼가 "나의 이름(하느님의 인격을 나타냄)이 이곳에 있으리라"(Ⅰ 열왕)고 했던 예루살렘 성전을 더럽혔다. 대제사장 야손의 지도 아래 있던 많은 유대인들은 보편적인 새 조류와 타협하는 쉬운 길을 택했으나, 안티오코스의 불경스런 행동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강력한 저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코헨 cohen
    하느님이 명령한 제사를 드리기도 했으나, 성서시대에는 유대교 제사장직이 세습되어 레위 지파 아론의 남자 후손들에게만 돌아갔다. 구약시대에 유대교 대제사장(코헨 가돌)은 예루살렘의 제사장단을 이끌었고 많은 특권을 누렸으나 그만큼 제약도 많았다. 왕 요시야 시대(BC 7세기) 이전까지 대제사장은 직무를 맡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마카베오서 Books of Maccabees
    外經)에 속한다. 마카베오 1서 마카베오 1서에는 유대 시대의 시리아 왕 안티오코스 4세 에피파네스(BC 175~164/163 재위)와의 관계에서부터 예루살렘의 대제사장 시몬 마카베오의 죽음(BC 135/134)에 이르기까지의 정치적·군사적·외교적 사건들의 역사가 기술되어 있다. 마타시아스가 비(非)유대교 종교의식을 거부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하스몬 왕조 Hasmonean dynasty
    하스몬) 또는 아사모나이오스의 이름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BC 143(또는 BC 142)년 마타시아스의 아들이자 유다 마카베오의 형제인 시몬 마카베오가 대제사장이 되었고, 141(또는 BC 140)년 셀레우코스 왕조로부터 독립하여 유대의 대제사장 겸 통치자가 되었다. 이 직위는 세습되었으므로 시몬은 하스몬 왕조의 첫번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지성소 Holy of Holies
    이스라엘 대제사장만이 1년에 1번씩 '욤 키푸르'(대속죄일)에 창문도 없이 막힌 이곳에 들어가 분향하고 희생제물의 피를 뿌린다. 종교력 가운데 가장 엄숙한 날에 이러한 행위를 함으로써 대제사장은 자신의 죄와 제사장들의 죄를 대속했다. 지성소는 성전 서쪽 끝에 자리잡았는데, 솔로몬 성전에서는 이스라엘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예수의 수난과 죽음
    이 내용에 대한 역사적인 신빙성은 의심스럽다. 첫째, 마르코와 마태오에 따르면 유대 최고법정은 예수가 성 목요일 밤에서 금요일 사이에 체포된 후 대제사장의 집에서 열렸으며 그에게 신성모독자로 사형선고를 내렸다(마르 14:64). 그후 그들은 또 한 차례 예수를 신문하여 빌라도에게 이른 아침 넘겨주기로 결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