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기난류 大氣亂流, atmospheric turbulence
    액체나 기체 등의 유체 운동은 2개 유체의 개개 입자가 매끄러운 유로(流路)를 따라 움직이는 '층류'(層流)와 매우 불규칙하여 일반적으로 2개의 입자가 같은 유로를 지나지 않는 '난류'(亂流)로 크게 분류된다. 가장 일반적인 운동은 난류이며 이 흐름은 특히 지표면 부근의 바람에서 잘 일어나지만 층류 상태에 접근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대기난류 맴돌이, 大氣亂流
    풍향(風向)과 풍속이 계속해서 변하는 불규칙한 대기운동.|대기난류대기를 혼합시킴으로써 수증기·연기·에너지 및 다른 물질들이 모든 고도에 걸쳐 골고루 분포하도록 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대기난류 현상은 지표면 근처와 높은 고도에서 그 양상이 다르게 나타난다. 지표면으로부터 수백m 내에서는 뚜렷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대기난류 大氣亂流, atmospheric turbulence
    대기 순환에서 규모가 가장 작은 순환으로 미규모에 속하며 맴돌이라고한다.|대기 순환을 단위중 가장 작은 순환으로 맴돌이라고도 한다. 지표 근처의 공기가 열대루와 이동 중 공기내 입자들 사이, 지표면과 마찰로 인해 예측 불가능하며 복잡하고 불규칙적인 거동을 보이는데 이러한 현상을 대기난류라 한다. 하지만...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바람 (관련어 대기난류) wind
    바람은 기후와 날씨를 결정하고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대기압의 수평·수직 경도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바람의 분포는 기압의 분포와 밀접하다. 지표 부근에서 바람은 보통 저기압과 고기압의 주변부에서 분다. 저기압의 경우 북반구에서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불고 남반구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분다. 고기압 중심의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기온역전 氣溫逆轉, temperature inversion
    대기를 통과하는 태양복사에너지에 의해 상승한다. 태양복사에너지는 지표면에 흡수된 후 전도와 대류방법으로 대기중으로 전달된다. 역전층 하부는 대류에 의해...온도 상승이 매우 커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역전은 ① 접지역전, ② 난류역전, ③ 침강역전, ④ 전선역전의 4가지로 구분된다. 접지역전은 공기가 상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뇌우 雷雨, thunderstorm
    s이다. 대기가 충분히 불안정한 상태이면 상승에 필요한 에너지가 계속적으로 공급되며 대류세포의 크기와 강도는 계속적으로 증가하게 될 것이다. 대류세포의 크기가 증가하면 구름과 물의 총량도 증가한다. 활발한 상승기류가 형성된 후 강수입자는 다음 단계로의 발달과 전하(電荷) 중심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크기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난류확산계수 亂流擴散係數, turbulent diffusion coeffic..
    난류는 소용돌이의 흐름에 따른 물질수송법의 한 가지 종류이다. 보통 대기, 해양에서 물질의 확산이 분자확산보다 매우 빠른 이유는 확산이 난류, 즉, 크고 작은 소용돌이가 불규칙하게 존재하는 흐트러진 흐름이기 때문이다. 난류는 생물, 산소, 이산화탄소, 화분, 포자, 플랑크톤 등의 움직임에 있어 매우 중요한...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대기과학 연구
    고도를 가진다. 안정도의 요인으로는 온도경도에 의한 부력 에너지와 바람 시어에 의한 기계 에너지의 비인 리처드슨 수(Ri)를 사용한다. Ri〈0이면 대기가 불안정하여 난류운동이 우세하고 혼합도가 높아지나, Ri〉0.25이면 대기가 안정하여 선형운동(線形運動)이 강하고 경계층 높이가 낮아진다. 경계층 내의 온도...
  • 유선형 流線型, streamline shape
    물고기의 몸체, 항공기의 동체 및 날개 등의 형상이 모두 유선형이다. 대기에서 어떤 물체가 운동할 때 그 주위에 생기는 기류의 형태는 유선(流線)의 분포로 알...층류라고 하며, 여기에서 운동할 때 생기는 기류 교란은 최소가 된다. 난류는 기류가 교란되어 움직이는 물체 표면에서 흩어짐으로써 물체의 후방에 와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항공
  • 항공기 사고, 기상재해인가? 기체결함인가?
    청천난류도 예측할 수 있는 기상장비가 연구되고 있다. 이번 항공기의 사고 원인으로 일부 과학자들은 메가번개를 맞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항공기가 번개를 맞는 것은 기체가 구름을 통과하거나 공기와의 마찰 등 여러 가지 이유로 낮은 전압의 전기를 띠기 때문이다. 다행히 번개를 맞아 사고가 발생하거나...
  • 청천난류 晴天亂流, clear-air turbulence
    청천난류는 빠르게 움직이는 기류와 그보다 훨씬 느리게 움직이는 기류가 인접해 있는 제트류 주변에서 풍속의 차이에 의해 발생한다. 청천난류는 산악지역 상공에서 가장 심하다. 청천난류를 발견하여 경보를 하기는 매우 어렵지만, 1964년 3월에는 항공기의 16㎞ 전방 범위 내에서 난류의 존재 가능성을 알려주는 '캣...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대기 대순환 大氣大循環, atmospheric general circulat..
    순환은 대기의 대순환에 의한 지속적인 바람에 의해서 해류가 발생하며 저위도의 에너지를 고위도로 이동하여 지구 전체 에너지의 균형을 맞춘다. 해류는 일정한 방향으로 흘러가는 바닷물의 흐름으로, 표층 해류는 해수 표면에 일정한 방향으로 오랫동안 부는 바람에 의해 발생한다. 무역풍의 영향으로 북적도 해류...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