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좌예금 잔액을 초과하여 은행으로부터 차입한 부채.|은행의 편에서 대부가 되는 당좌대월을 차주의 편에서 일컫는 회계용어이다. 당좌예금 거래자는 근저당을 설정하고, 기간·이율·한도를 정하여 은행과 차월계약을 체결하면 예금잔액 이상으로 수표를 발행하여도 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 이때 예금잔액을 초과...
은행이 당좌예금 거래자가 예금잔고액 이상으로 발행한 수표지급자금에 대하여 일정 한도액까지 대부해주는 것을 말한다. 당좌예금 거래자 편에서는 당좌차월이 된다. 당좌대월 형태로 대부를 받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은행에 당좌예금을 가입한 후, 어음·수표·예금 등의 근저당을 설정하고 일정한 조건(기간·이율...
수표에 대해서도 은행으로부터 지급받을 수 있는 등 유용하고 편리한 예금이다. 그러나 은행은 항상 많은 지불준비금을 보유해야 하고, 대행업무를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때문에 당좌예금은 무이자를 원칙으로 하며, 최저잔고를 정해 그 이하로 될 경우에는 구좌료, 수수료 등을 받기도 한다.→ 당좌대월, 당좌차월
못할 수 있다. 이 때, 기업측의 당좌예금계정 잔액이 과소계상된다. 기업측 잔액을 증가시킨다. 은행수수료(bank service charges) 당좌차월에 대한 이자와 같은 은행수수료가 당좌예금계정에서 차감되었으나 기업측에서는 아직 이를 알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 때, 기업측의 당좌예금잔액이 과대계상된다. 기업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