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다마소 1세 제 37대 교황, Saint Damasus I
    축일은 12월 11일. 교황(366. 10. 1~384. 12. 11 재위).|재위 동안 로마 교황청의 우위권을 강력히 주장했다. 선임 교황 리베리오 재임기에는 부제를 지냈고, 그리스도의 신성을 부인하는 아리우스주의를 반대했기 때문에 로마 황제 콘스탄티누스가 교황 리베리오를 추방하자 리베리오를 따라갔다. 그러나 나중에 로마...
    출생 :
    304경, 로마
    사망 :
    384. 12. 11, 로마
    국적 :
    바티칸시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다마소 1세 Damasus I, St.
    305-384년. 스페인계의 후손으로 로마에서 태어난 교황 다마소는 366-384년 교회를 다스렸다. 그는 성 예로니모에게 성서를 라틴어로 번역하게 하였으며 아폴리나리우스 이단과 마케도니아 이단들과 싸웠고 아리우스 이단을 단죄하였던 콘스탄티노플 공의회를 인준하였다. 그는 또한 순교자 공경을 장려하여 그들의 묘에...
  • 교황 다마소 1세 (관련어 다마소 1세) Pope Damasus I, ..
    가톨릭 성직자 정보 교황 다마소 1세이다. 사후 기독교의 성인으로 시성되었으며, 축일은 12월 11일이다. 다마소 1세는 305년경 오늘날 포르투갈 이다냐아벨냐에 해당하는 서로마 제국의 속령인 루시타니아의 에기타니아에서 태어났다고 알려져 있다. 그는 콘스탄티누스 1세의 등극과 동로마 제국-서로마 제국의 통일 및...
    도서 위키백과
  • Pope Damasus I 교황 다마소 1세, ダマスス1世 (ローマ教皇)
    Pope Damasus I (c. 305 – 11 December 384) was Pope from October 366 to his death in 384. Pope St. Damasus I was born around 305, probably near the city of Egitania, Lusitania, in what is the present-day village of Idanha-a-Velha, Portugal, then part of the Western Roman Empire. His life...
  • 다마소
    다마소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교황 다마소 1세: 제37대 교황 교황 다마소 2세: 제151대 교황 다마소 마르테: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구원 투수로 활약한 전 도미니카 공화국의 야구 선수 다마소 페레스 프라도: 쿠바의 피아니스트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보니파시오 1세 Bonifacius I
    그의 재위기간은 대립교황 율라리우스가 일으킨 분쟁으로 유난히 혼란스러웠다. 교황 다마소 1세에게 사제서품을 받고 콘스탄티노플에서 교황 인노첸시오 1세를 보좌했던 것으로 보인다. 로마의 선거인단 중 다수가 보니파시오를 교황으로 선출하자, 다른 성직자 파벌도 그와 각축을 벌였던 부제 율라리우스를 교황으로...
    출생 :
    ?, 로마
    사망 :
    422. 9. 4, 로마
    국적 :
    바티칸시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다마소 Damasus
    Damasus, 1세(304?~384). 교황(재위 : 366~384). 성인. 축일 12월 11일. 스페인 태생. 교황 리베리오 밑에서 부제가 되었고, 리베리오가 세상을 떠나자 그의 지지자와 우르시누스(Uesinus)의 지지자 사이에 격렬한 후계자 다툼이 벌어졌으나 그는 대다수의 성직자, 로마 시민, 황제 발렌티니아누스 1세의 지지를 얻어서...
  • 교황 마르첼로 1세 Pope Marcellus I, マルケルス1世 (ローマ教皇)
    1세의 활동은 배교했던 신자들을 교회 안에서 다시 받아들이는 문제와 관련한 논쟁이 생기면서 바로 끝나게 되었다. 이에 대한 내막은 훗날 교황 다마소 1세가 마르첼로 1세를 기념하여 그의 비문에 새긴 헌정시를 통해 대략적으로나마 파악할 수 있다. 이 비문에는 교황의 권위가 헤라클리우스의 반대로 신망을...
    도서 위키백과
  •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Council of Constantinople
    내용의 법령이 있었다. 이 공의회에는 동방교회 주교들만 참석했지만(모두 150명 정도), 그리스 교회는 이 공의회를 세계 공의회라 불렀다. 로마 교황 다마소 1세는 이 공의회가 공포한 니케아 신경은 받아들이되 법령들은 받아들이지 않은 듯하며, 적어도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우월성을 주장한 법령은 받아들이지 않았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시리치오 Siricius
    축일은 11월 26일. 교황 리베리오가 시리치오를 부제로 임명했으며, 384년에 교황 다마소 1세의 계승자로 선출되었다. 그의 유명한 교서들(잔존하는 로마 교황의 교령집들의 시초)은 특히 종교적인 고행에 초점을 맞추어 세례, 봉헌, 서품, 고해성사, 금욕에 관한 내용들이 들어 있다. 386년에 타라고나의 히메리우스...
    출생 :
    334경, 이탈리아 로마
    사망 :
    399. 11. 26, 로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불가타 성서 Vulgate
    382년 교황 다마소 1세가 당대 최고의 성서학자인 예로니모에게 당시 사용되던 여러 번역본을 토대로 만족할 만한 라틴어역 성서를 출간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383년경 복음서의 라틴어역 개정판이 나왔다. 그는 〈70인역 성서〉를 사용하여 새로운 라틴어역 〈시편〉(갈리아 시편)과 〈욥기〉, 몇몇 다른 책들을 펴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에우세비오 Eusebius
    축일은 8월 17일(이전에는 9. 26). 다마소 1세가 쓴 에우세비오의 비문은 로마 황제 디오클레티아누스 통치하에 그리스도교인들의 박해 후 배교자들을 다시 허가해 준 일로 로마에서 폭력적인 분쟁이 있었음을 말해 준다. 에우세비오는 고해성사도 하지 않은 배교자들을 교회에 다시 받아들이기를 원했던 분파의 반대편...
    출생 :
    ?, 그리스
    사망 :
    309/310, 시칠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