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남북 이산가족 상봉 (관련어 남북 이산 가족 상봉) 南北離..남북 이산가족 상봉(南北離散家族相逢)은 남한과 북한에 나뉘어 흩어져 살고 있는 가족들이 서로 만나거나 소식을 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책 또는 그 행사를 말한다. 때로는 같은 국가에 살면서도 서로 행방을 알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남북 이산가족 상봉은 1971년 8월 12일에 대한민국의 대한적십자사가 한국 전...도서 위키백과
-
-
이산가족 화상상봉 離散家族 畵像相逢새로운 풍속도를 제시함은 물론 이산가족문제 해결을 위한 유의미한 진전으로 평가받고 있다. 역사적 배경 2000년 6월 남북 정상회담 이후 진행된 이산가족 상봉은 기존 상봉행사에 비해 증대된 상봉 인원의 규모에서 평가받을 만하나, 실질적으로 상봉이 필요한 고령의 이산가족에게는 그 혜택이 돌아가지 못한다는...
- 시대 :
- 현대
- 유형 :
- 사건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남북이산가족고향방문 南北離散家族故鄕訪問2010년 상봉행사 이후 북한의 연평도 포격 등 대남도발로 인해 남북 간 이산가족 교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남한측은 2012년 2월 14일 「이산가족 상봉문제 협의를 위한 남북적십자 실무접촉」을 제의하였으나 북한 측의 무응답으로 성사되지 못하였으며, 8월 8일에도 재차 제의를 하였으나 북한 측은 이를 거부하였다...
- 시대 :
- 현대
- 유형 :
- 사건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이산가족 離散家族1980년대 이후에 오면 흔히 ‘월남인’을 가리키게 되었다. 그리고 2000년 6․15 남북공동선언 이후 2003년 2월까지 여섯 차례에 걸쳐 이산가족이 상봉하는 가운데, 북측 이산가족 명단에 월남인 유가족이나 월북인 외에 납북인, 국군포로, 납북어부 등이 포함되면서 이산가족 문제는 단순히 정리되지 않는 문제가...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사회/가족
-
이산가족 찾기 생방송 진행보내왔고, KBS 방송국 담벼락에는 이산가족을 찾는 수만 장의 벽보가 붙었다. 이 방송이 국민적 관심사로 떠오르자 KBS는 이산가족 찾기 생방송을 11월 14일까지 이어갔다. 이 방송을 통해 1만 189건의 이산가족 상봉이 이뤄졌다. 한편 2년 후인 1985년에는 분단 후 최초로 고향 방문단과 공연 예술단이 남북을 오간다...
- 시대 :
- 1983년 6월 30일
- 국가/대륙 :
- 한국
-
이산가족찾기특별생방송 離散家族─特別生放送통해 공영방송으로서의 본연의 역할을 부분적으로 감당했다. 이산가족찾기 생방송은 1985년 「남북이산가족 고향방문단 및 예술공연단」으로 시작된 남북이산가족 상봉이 현실화되는데도 일정한 영향을 미쳤다. 한국방송공사가 이산가족찾기특별생방송 관련 기록물을 유네스코 기록유산으로 등재하고자 신청하였으며...
- 시대 :
- 현대
- 발생 :
- 1983년 6월 30일
- 성격 :
- 방송, 특별 생방송
- 유형 :
- 사건
- 종결 :
- 1983년 11월 14일
- 분야 :
- 역사/현대사
- 관련 인물/단체 :
- 한국방송공사(KBS)
- 관련 장소 :
- 한국방송공사(KBS) 사옥 인근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