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남북이산가족상봉 南北離散家族相逢
    남북 이산가족상봉 행사. 1971년 8월 12일 대한적십자사 최두선 총재가 이산가족들의 재결합을 주선해주기 위해 남북적십자회담을 개최할 것을 조선적십자회에 제의하고, 북한이 이에 응한 것이 효시였으나 남북 이산가족 상봉으로 이어지지는 못했다. 이후 1985년 9월 20~23일의 3박 4일간 '남북이산가족 고향방문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남북관계
  • 남북 이산가족 상봉 (관련어 남북 이산 가족 상봉) 南北離..
    남북 이산가족 상봉(南北離散家族相逢)은 남한과 북한에 나뉘어 흩어져 살고 있는 가족들이 서로 만나거나 소식을 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책 또는 그 행사를 말한다. 때로는 같은 국가에 살면서도 서로 행방을 알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남북 이산가족 상봉은 1971년 8월 12일에 대한민국의 대한적십자사가 한국 전...
    도서 위키백과
  • 남북 이산가족 (관련어 남북 이산가족 상봉) 南北 離散家族
    남북 이산가족이란 1945년 9월 이후 분단과 한국전쟁을 겪으면서 가족과 헤어져 남북한 지역에 분리된 상태로 거주하고 있는 자와 그들의 자녀를 말한다. 가족들과의 만남을 가장 염원하고 있는 이산 1세대의 고령화와 사망으로 인해 이산가족 문제 해결 및 교류 확대가 시급한 상황이다. 2000년 6 ・ 15 남북정상회담을...
  • 남북통일축구대회 南北統一蹴球大會
    끝났다. 한편 월드 컵 대표팀 감독을 맡았던 이회택 감독이 고문 자격으로 동행해 북한 축구인 박두익의 주선으로 아버지 이용진을 만나 남북의 스포츠 교류가 이산가족 상봉으로 이어져 7,000만 겨레에게 희망을 주기도 했다. 10월 23일 잠실 올림픽 주경기장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1대 0으로 남한이 이겨 양측은 1...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스포츠 일반
  • 이산가족 화상상봉 離散家族 畵像相逢
    새로운 풍속도를 제시함은 물론 이산가족문제 해결을 위한 유의미한 진전으로 평가받고 있다. 역사적 배경 2000년 6월 남북 정상회담 이후 진행된 이산가족 상봉은 기존 상봉행사에 비해 증대된 상봉 인원의 규모에서 평가받을 만하나, 실질적으로 상봉이 필요한 고령의 이산가족에게는 그 혜택이 돌아가지 못한다는...
    시대 :
    현대
    유형 :
    사건
    분야 :
    정치·법제/정치
  • 남북이산가족고향방문 南北離散家族故鄕訪問
    2010년 상봉행사 이후 북한의 연평도 포격 등 대남도발로 인해 남북이산가족 교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남한측은 2012년 2월 14일 「이산가족 상봉문제 협의를 위한 남북적십자 실무접촉」을 제의하였으나 북한 측의 무응답으로 성사되지 못하였으며, 8월 8일에도 재차 제의를 하였으나 북한 측은 이를 거부하였다...
    시대 :
    현대
    유형 :
    사건
    분야 :
    정치·법제/정치
  • 이산가족 離散家族
    1980년대 이후에 오면 흔히 ‘월남인’을 가리키게 되었다. 그리고 2000년 6․15 남북공동선언 이후 2003년 2월까지 여섯 차례에 걸쳐 이산가족상봉하는 가운데, 북측 이산가족 명단에 월남인 유가족이나 월북인 외에 납북인, 국군포로, 납북어부 등이 포함되면서 이산가족 문제는 단순히 정리되지 않는 문제가...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
    분야 :
    사회/가족
  • 이산가족 찾기 생방송 진행
    보내왔고, KBS 방송국 담벼락에는 이산가족을 찾는 수만 장의 벽보가 붙었다. 이 방송이 국민적 관심사로 떠오르자 KBS는 이산가족 찾기 생방송을 11월 14일까지 이어갔다. 이 방송을 통해 1만 189건의 이산가족 상봉이 이뤄졌다. 한편 2년 후인 1985년에는 분단 후 최초로 고향 방문단과 공연 예술단이 남북을 오간다...
    시대 :
    1983년 6월 30일
    국가/대륙 :
    한국
  • 이산가족찾기특별생방송 離散家族─特別生放送
    통해 공영방송으로서의 본연의 역할을 부분적으로 감당했다. 이산가족찾기 생방송은 1985년 「남북이산가족 고향방문단 및 예술공연단」으로 시작된 남북이산가족 상봉이 현실화되는데도 일정한 영향을 미쳤다. 한국방송공사가 이산가족찾기특별생방송 관련 기록물을 유네스코 기록유산으로 등재하고자 신청하였으며...
    시대 :
    현대
    발생 :
    1983년 6월 30일
    성격 :
    방송, 특별 생방송
    유형 :
    사건
    종결 :
    1983년 11월 14일
    분야 :
    역사/현대사
    관련 인물/단체 :
    한국방송공사(KBS)
    관련 장소 :
    한국방송공사(KBS) 사옥 인근
  • 이산가족 離散家族
    중 53.9%에 달했다. 이후 1985년 5월 27~30일 서울에서 열린 제8차 남북적십자회담에서 고향방문단과 예술공연단의 교환방문 추진에 합의하여 9월 20~23일 남북...김대중 정부 들어 남북 관계가 개선되면서 2000년 8월 15일 제 1차 이산가족 상봉이 이루어진 이후 2015년까지 20여 차례에 걸쳐서 직접 만남과 화상 상봉...
  • 이산가족의 날
    시간을 기록했다. 이후 1985년 5월 27~30일 서울에서 열린 제8차 남북적십자회담에서 고향방문단과 예술공연단의 교환방문 추진에 합의하여 9월 20~23일 남북...정부 들어 남북 관계가 개선되면서 2000년 8월 15일 제 1차 이산가족 상봉이 이루어진 이후 2015년까지 20여 차례에 걸쳐서 직접 만남과 화상 상봉이 이루어...
    분류 :
    기념일, 비공휴일
    시행일 :
    2023년 3월 28일
    날짜 :
    매년 음력 8월 13일(추석 전전날)
    제정처 :
    통일부
  • 남북적십자회담 南北赤十字會談
    측의 제의에 대해 '선 방문단 교환, 후 본회담 개최'의견을 내세운 북한측의 주장이 맞서 본회담 재개에 또다시 실패했다. 그러나 제8차 회담을 통해 남북한이 분단된 이래 처음으로 공식적인 합의를 거쳐 제한된 수이긴 하지만 이산가족 상봉의 결실을 가져왔다는 데 의의가 있다.→ 남북이산가족상봉, 남북한 고향방문단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남북이산가족상봉
이산가족 상봉 / 남북 고향방문사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