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꾀꼬리 Black-Naped Oriole서식 러시아 극동, 중국(서북부와 서부 제외), 한국에서 번식하고, 대만, 수마트라, 자바, 소순다열도, 셀레베스, 필리핀에서는 연중 머무는 텃새이며, 인도, 인도차이나반도에서 월동한다. 국내에서는 흔한 여름철새다. 5월 초순에 도래해 번식하고, 9월 하순까지 관찰된다. 행동 주로 아까시나무, 참나무 숲 등 활엽수...
- 분류 :
- 꾀꼬리과(Oriolidae)
- 서식지 :
- 러시아 극동, 중국(서북부와 서부 제외), 한국에서 번식하고, 대만, 수마트라, 자바, 소순다열도, 셀레베스, 필리핀에서는 연중 머무는 텃새이며, 인도, 인도차이나반도에서 월동한다.
- 크기 :
- L27cm
- 학명 :
- Oriolus chinensis Black-naped Oriole
-
-
꾀꼬리 Oriolus chinensis형태 크기: 약 27cm 정도의 크기이다. 채색과 무늬: 전체적으로 노란새을 띤다. 눈섭선은 검은색이며 눈앞에서 시작하여 눈 주위를 지나 뒷머리에 좌우가 서로 합해진다. 봄철에 털갈이하지 않지만, 깃 가장자리가 약간 닳아 다소 올리브색을 띠게 된다. 부리는 겨울에는 엷은 포도색, 여름에는 선명한 포도색이다. 다리...
- 분류 :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류강(Aves) > 참새목(Passeriformes) > 꾀꼬리과(Oriolidae)
- 학명 :
- Oriolus chinensis Linnaeus, 1766
- 국내분포 :
- 여름철 우리나라 전역에서 흔하게 관찰된다.
- 해외분포 :
- 인도, 동남아시아, 대만 ,중국 동부, 우수리에서 번식하고, 동남아시아에서 월동한다.
- 특징 :
- 여름철새
-
꾀꼬리꾀꼬리과에 속하는 새. 내용 우리말로는 ‘ᄭᅬ고리’ · ‘ᄭᅬᄭᅩ리’라고 하였으며, 한자어로는 흔히 앵(鶯 · 鷪)이라 하며, 황조(黃鳥) · 황리(黃鸝) · 여황(鵹黃) · 창경(倉庚, 鶬鶊) · 황백로(黃伯勞) · 박서(搏黍) · 초작(楚雀) · 금의공자(金衣公子) · 황포(黃抱) · 이황(離黃) · 표류(0x9825鶹) 등의 ...
- 유형 :
- 생물
- 분야 :
- 과학/동물
-
밤 꾀꼬리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Le Rossignol(The Nightingale)4년의 공백 후 만든 안데르센의 동화를 바탕으로 한 3막 서정 이야기 모스크바 자유극장에서 1908년 1막만을 작곡하고 남겨두었던 〈꾀꼬리〉를 완성해달라고 스트라빈스키에게 요청했다. 1913년 새로 개관한 모스크바 자유 극장의 알렉산더 사닌이 새로운 스펙터클을 추구하기 위해 스트라빈스키에게 제안을 한 것이다...
- 시대 :
- 20세기 이후
- 분류 :
- 20세기 음악>오페라
- 제작시기 :
- 1908년~1914년
- 작곡가 :
- 이고르 스트라빈스키(Igor Stravinsky, 1882~1971)
- 원작 :
- 안데르센 동화
- 초연 :
- 1914년 5월 26일, 파리 오페라 극장, 피에르 몬테 지휘(오페라) 1919년 12월 6일, 제네바(교향시), 파리, 안무에는 마신, 장치 설치 마티스(발레형식)
- 출판 :
- 1923년, 러시아 음악출판사
- 등장인물 :
- • 나이팅게일(소프라노) • 어부(테너) • 여자 요리사(메조 소프라노) • 중국 황제(바리톤) • 내무대신(베이스) • 승려(베이스) • 일본 사절 3명(테너2, 바리톤) • 사신(알토)
- 배경 :
- 고대 중국
- 대본(리브레토) :
- 러시아어.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스테판 미투조프
- 구성 :
- 3막, 서정 동화
- 편성 :
- 플루트 3, 오보에 2, 잉글리시 호른, 클라리넷 3, 바순 2, 콘트라바순, 호른 4, 트럼펫 4, 트롬본 3, 튜바, 팀파니, 심벌즈, 엔틱 심벌즈, 트라이앵글, 작은북, 큰북, 글로켄슈필 2, 탬버린, 탐탐, 피아노, 첼레스타, 기타(임의), 만돌린(임의), 현악기
-
-
-
-
꾀꼬리버섯균모의 지름은 3-8cm이고 자실체의 높이는 3-8cm이고 전체가 노란 자색이다. 균모는 가운데가 조금 오목하고 부정 원형인데 가장자리는 얕게 갈라지며 물결 모양이고 표면은 매끄럽다. 살은 두껍고 연한 황색이며 육질이다. 아랫면은 방사상으로 늘어선 주름살이 있고 가지를 쳐 맥상으로 연결된다. 자루는 원주형...
- 분류 :
- 꾀꼬리버섯과(CANTHARELLACEAE) > 꾀꼬리버섯속(Cantharellus)
- 서식지 :
- 활엽수, 침엽수림의 땅
- 학명 :
- Cantharellus cibarius
- 국내분포 :
- 가야산,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두륜산, 방태산, 발왕산, 백두산
- 해외분포 :
- 일본, 북반구, 온대이북
- 발생시기 :
- 여름-가을
- 이용 :
- 식용. 균근형성
- 생활사 :
- 공생생활
- 군락형태 :
- 군생
-
꾀꼬리노랑째진버섯형태 자실체는 지름과 높이가 50㎜ 정도고 보통 한쪽으로 길게 기울어지면서 안으로 말리지만 분명 귀 모양은 아니다. 표면의 색은 밝은 레몬-노란색으로 밋밋하며 기부는 더 밝은색이다. 육질은 백색이다. 포자의 크기는 10~12×5~6㎛로 타원형에 표면은 매끄럽고 투명하며 기름방울을 2개 함유한다. 자낭의 크기는 150...
- 분류 :
- 자낭균문 > 주발버섯아문 > 주발버섯강 > 주발버섯목 > 털접시버섯과 > 노랑째진버섯속
- 학명 :
- Flavoscypha cantharella (Fr.) Harmaja Otidia concinna (Pers.) Sacc. var. concinna
- 분포지역 :
- 한국, 유럽
- 발생시기 :
- 여름~가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