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소운 소운(巢雲), 金素雲일제강점기 「신조」 등을 저술한 시인. 수필가·번역문학가. 개설 본명 김교중(金敎重). 개명은 김소운(金素雲). 호는 소운(巢雲), 필명은 삼오당(三誤堂). 부산 출신. 생애 및 활동사항 1919년 옥성보통학교 4년을 중퇴하고 1920년 일본으로 건너가 동경 가이세이중학교[開成中學校] 야간부에 입학하였다가, 1923년 ...
- 시대 :
- 근대
- 출생 :
- 1907년
- 사망 :
- 1981년
- 유형 :
- 인물
- 직업 :
- 시인, 수필가, 번역문학가
- 대표작 :
- 신조, 목근통신
- 성별 :
- 남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김소운 金素雲부산 출신의 시인이자 수필가, 번역가. [가계] 본명은 김교중(金敎重), 호는 소운(巢雲), 필명은 삼오당(三誤堂). 광복 이후 이름을 김소운(金素雲)으로 바꾸었다. 할아버지는 한국인 최초로 부산에 교회[제일영도교회]를 세운 김치몽(金致夢)이고, 아버지는 1909년 10월 20일 의병에게 살해당한 진주재무서 주사 김옥...
- 분야 :
- 구비 전승·언어·문학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언문조선구전민요집 諺文朝鮮口傳民謠集김소운(金素雲)의 본명은 교중(敎重)이고, 필명으로 소운(巢雲), 철심평(鐵甚平), 삼오당(三誤堂) 등을 썼다. 김소운은 1907년 부산 영도 출생으로 옥성학교를 중퇴하고 1920년 도일하여 동경 가이세이중학교(開城中學校) 야간부에 입학하였다. 이후 귀국과 도일을 반복하며 1981년 타계할 때까지 약 34년간 일본에서...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김소운(1907~1981)
- 크기 :
- 16×21(cm)
- 간행/발행 :
- 제일서방(동경), 1933.
- 면수/쪽수 :
- 685면
-
구전동요선 口傳童謠選은 1940년 경성 박문서관(博文書館)에서 한글로 출간된 전래동요집이다. 발행 사항에 의하면 『구전동요선』은 박문문고(博文文庫)에서 발행되었으며, 저자는 김소운(金素雲), 발행자는 노익형(盧益亨), 인쇄는 대동인쇄소(大東印刷所)에서 이루어졌으며, 205면으로 되어 있다. 『구전동요선』은 제재에 따라 총 8장으로...
- 시대 :
- 근대
- 유형 :
- 문헌/도서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조선민요집 朝鮮民謠集내용 315쪽, 세로 19㎝. 『조선민요집』은 한국의 민요가 외국어인 일본어로 번역되어 출판된 최초의 저작이다. 1933년에 김소운이 일본어로 펴낸 『언문조선구전민요집』(第一書房)의 자매편이다. 이 책을 내는 데에는 조선의 구전동요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던 일본인 기타하라 하쿠슈(北原白秋, 1885∼1942)의 역할...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저작자 :
- 김소운(金素雲)
- 창작/발표시기 :
- 1929년
- 성격 :
- 민요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315쪽)
- 간행/발행 :
- 東京: 泰文館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193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문학가, 유치환 깃발의 시인지용(芝溶), 이상(李箱) 제씨가 기억에 남아 있을 뿐. 따라서 현재 내가 가진 문단의 선배, 동배의 교분은 거개가 해방 후에 비로소 맺어진 것이다. 어느 날 김소운은 충청도 서천에 있는 어머니가 위독하다는 전보를 받는다. 김소운은 화신연쇄점에 있던 유치환을 불러낸다. 다방에서 유치환과 마주앉은 김소운은 전보...
- 출생 :
- 1908년
- 사망 :
- 1967년
-
조선민요선 朝鮮民謠選이재욱의 「조선민요서설(朝鮮民謠序說)」이라는 해설이 덧붙여졌으므로 두 사람의 공동 이름으로 펴냈다. 엮은이가 머리말(例言)에서 밝혔듯이, 이 책에는 김소운(金素雲)의 『조선구전민요집(朝鮮口傳民謠集)』(1933) 등 그 때까지 간행된 민요집에 들어 있지 않은 새로운 자료를 수록하는 데 역점을 두었다. 자료는...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저작자 :
- 이재욱
- 창작/발표시기 :
- 1939년
- 성격 :
- 민요집
- 유형 :
- 문헌
- 간행/발행 :
- 학예사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박문문고 博文文庫등 4종을 발행하였다. 이어서 이병도(李丙燾) 역주(譯註)의 『하멜표류기』를 비롯, 이하윤(異河潤)의 『현대서정시선』, 이광수(李光洙)의 『이광수단편선』, 김소운(金素雲)의 『구전민요선』, 김억(金億)이 엮은 『소월시초(素月詩抄)』, 이태준(李泰俊)의 『이태준단편선』, 박팔양(朴八陽)의 『여수시초(麗水詩抄...
- 시대 :
- 근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언론·출판/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