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문주 金文柱충청남도 공주군(公州郡) 출신의 유학(幼學)이다. 생몰년과 가계 및 성장 과정 등은 자료의 한계로 확인되지 않는다. 동학농민군이 봉기하였을 때, 문석봉(文錫鳳)과 함께 소모군으로 참여하면서 참모사(參謀士)를 지냈다. 1895년 2월 문석봉이 양호소모사(兩湖召募使)로 공주부에 근무하면서 일본을 몰아낼 계획을 세우...
- 출생 :
- 미상, 충청남도 공주(公州)
- 사망 :
- 미상
- 관련 사건 :
- 전기의병
- 주요활동 :
- 1895년 문석봉 의병부대 선봉장으로 활동
- 포상훈격 :
- 2013년 건국훈장 애족장
- 관련 인물/단체 :
- 문석봉 의병부대
-
문석봉 이필(而弼), 文錫鳳을미사변 직후에 시작되었다. 1895년 9월 18일 ‘국수보복(國讐報復)’의 기치를 들고 충청도 유성에서 유성의진을 결성, 항일투쟁에 나섰다. 선봉장에 김문주(金文柱), 중군장에 오형덕(吳亨德), 군향관에 송도순(宋道淳)을 임명하였다. 유성의진의 병사수는 1,000여 명에 달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먼저 회덕과 진잠에...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51년(철종 2)
- 사망 :
- 1896년
- 경력 :
- 경복궁 오위장, 진잠현감, 양호소모사, 의병장
- 유형 :
- 인물
- 직업 :
- 의병장
- 대표작 :
- 의산수록, 의산유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본관 :
- 남평(南平: 지금의 전라남도 나주)
-
서정시학 抒情詩學창출하고 보급한다는 목표로 창간하였다. 차츰 계간 문예지로 성격을 바꾸었고, 최동호를 편집인으로 하였고 편집위원은 유성호, 방민호, 김진희, 이경수, 김문주가 참여하였다. 편찬/발간 경위 1990년대 초반 민중시와 포스트모더니즘이 주류로 성행할 때, 서정시 본원의 가치와 위의를 회복한다는 명제 아래 시작한...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최동호
- 창작/발표시기 :
- 1990년 창간
- 성격 :
- 잡지, 시전문지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012년까지 55호 발행.
- 간행/발행 :
- 서정시학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오정일고 鰲亭逸稿1911년 김방한의 8세손 김시학(金時學)·김시윤(金時潤)·김시준(金時駿) 등이 유고를 수집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유연집(柳淵楫)의 서문, 권말에 김문주(金紋柱)·박상렬(朴尙烈)·이광욱(李光昱) 등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2권 1책. 목판본. 국립중앙도서관과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권1에 소(疏) 3...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김방한
- 창작/발표시기 :
- 1911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권 1책
- 간행/발행 :
- 김시학, 김시윤, 김시준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도서관, 규장각 도서
-
서동 경주 김씨 세거지 書洞 慶州 金氏 世居地변에 세워져 있다. 김준영의 현손인 김천건(金天鍵)의 아들 김호(金澔), 김영(金泳), 김은(金溵), 김노(金潞) 4형제는 모두 좌수를 지냈으며, 김영의 아들 김문주(金紋柱)도 대동 별감, 좌수를 지냈다. 1937년에 편찬한 『동래군지(東萊郡誌)』에 김문주의 아들 김경(金瓊)과 그의 손자 김효기(金孝基), 김순기(金舜基...
- 분야 :
- 성씨·인물
- 지역 :
- 부산광역시 금정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동래부 국채보상일심회 東萊府 國債補償一心會[개설] 1907년 1월 30일 대구에서 국채 보상 운동이 일어난 후 같은 해 3월 10일 동래 지역에도 부산항상무회 회원이었던 문병희, 김문주, 정한정, 송상종, 최륜하, 오덕근, 이상근, 신명록, 추두영, 윤철병, 김원숙 등 14명이 발기인이 되어 취지서를 발표하고, 동래부 국채보상일심회를 설립하였다. 동래부 국채보상...
- 분야 :
- 역사
- 지역 :
- 부산광역시 동래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