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김룡사 운봉사(雲峰寺), 金龍寺김룡사는 경상북도 문경시 운달산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운달이 창건했다고 전하는 사찰이다. 신라시대에 창건되었다고 하지만 구체적인 사적은 1624년부터 확인된다. 많은 문자 기록물이 남아 있어 조선 후기 사찰의 사역 형성 과정과 배치의 특성을 살필 수 있다. 1670년 사인비구가 제작한 동종과 1703년 조성...
- 유형 :
- 유적/건물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사인비구 제작 동종 - 문경 김룡사 동종 운봉사명 범종, 思印比丘 製作 銅鍾..개설 2000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김룡사동종은 현재 경상남도 김천시 대항면 황악산에 위치한 직지사 성보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데, 보물로 지정되기 전에는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운달산 김룡사(운봉사)에서 일상적으로 사용하던 종이다. 동종의 종신에 “강희 9년 세차 경술 2월 일기 경상도 상주목 북면 운달산...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경 김룡사 영산회 괘불도 聞慶 金龍寺 靈山會 掛佛圖개설 2010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세로 947㎝, 가로 702㎝에 달하는 화면의 중앙에 큼직하게 그려진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협시보살을 비롯한 8대보살, 10대제자, 화불, 범천, 제석천, 용왕, 용녀, 사천왕, 팔금강, 팔부중 등이 좌우 대칭으로 질서정연하게 표현한 석가모니괘불도이다. 내용 이 괘불도는 1703년에 수원...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문경 김용사 명부전 목조지장삼존상 및 제상 김룡사 명부전 목조지장삼존상 및 제상, 聞慶 ..개설 2006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높이는 지장보살좌상(본존) 88㎝, 도명존자(좌) 134㎝, 무독귀왕(우) 124㎝. 김룡사 명부전에는 목조지장보살삼존상 외에도 시왕상 및 하부 권속들을 포함한 21구의 존상들이 봉안되어 있고, 동자상들 4구는 현재 직지사 성보박물관에 있다. 무독귀왕...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조각
-
사인비구 제작 동종 - 문경김룡사동종 보물 제11-2호, 思印比丘製作銅鍾 -..보물 제11-2호. 높이 99cm, 지름 63cm. 2000년 2월 15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사인은 18세기에 경기도와 경상도 지역에서 활동한 승려이자 장인으로, 전통적인 신라 종의 제조기법에 독창성을 더하여 종을 제작했다. 이 종은 1670년(현종 11)에 홍천 수타사동종(보물 제11-3호)과 함께 제작되었다. 종을 치는 부분인 당좌...
-
문경 김룡사 영산회상도문화재 정보 문경 김룡사 영산회상도(聞慶 金龍寺 靈山會上圖)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김룡사 대웅전 삼세불좌상의 후불벽에 걸려 있는 영산회상도이다. 2018년 12월 20일 경상북도의 유형문화재 제524호로 지정되었다., 경상북도지사, 경상북도보 제6291호 7-20면, 2018-12-20 1803년 김룡사에서는 대웅전...도서 위키백과
-
문경 김룡사 영산회괘불도김룡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탱화이다. 2010년 2월 24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640호로 지정되었다.문화재청고시제2010-18호,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 문화재청장, 대한민국 관보 제17202호, 135-146면, 2010-02-24 괘불은 옥외에서 법회를 행할 때에 밖에 내다 걸 수 있게 만든 걸개그림으로, 임진왜란 이후 많은...도서 위키백과
-
문경 김룡사 현왕도문화재 정보 문경 김룡사 현왕도(聞慶 金龍寺 現王圖)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김룡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현왕도이다. 2018년 12월 20일 경상북도의 유형문화재 제525호로 지정되었다., 경상북도지사, 경상북도보 제6291호 7-20면, 2018-12-20 문경 김룡사 대웅전의 삼장보살도가 걸쳐있는 영단에 봉안되었던...도서 위키백과
-
문경 김룡사 응진전 석조십육나한좌상 일괄문화재 정보 문경 김룡사 응진전 석조십육나한좌상 일괄(聞慶 金龍寺 應眞殿 石造十六羅漢坐像 一括)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김용사에 있는 불상이다. 2017년 8월 31일 경상북도의 유형문화재 제512호로 지정되었다., 《도지정문화재 지정고시》, 경상북도지사, 경상북도보 제6163호, 14-20면, 2017-08-31...도서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