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대문 金大問삼국시대 신라의 『계림잡전』, 『화랑세기』, 『고승전』 등을 저술한 학자. 문장가, 지방관. 생애 / 활동사항 김대문(金大問)은 진골(眞骨) 출신의 귀족이었다.『삼국사기(三國史記)』에 따르면, 704년(성덕왕 3)에 한산주도독(漢山州都督)에 임명되었다고 한다. 그런데『삼국사기』직관지(職官志)에 “도독은 주(州...
- 시대 :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경력 :
- 한산주총관(漢山州摠管, 704)
- 유형 :
- 인물
- 직업 :
- 학자, 문장가, 지방관
- 대표작 :
- 계림잡전(鷄林雜傳), 화랑세기(花郎世記), 고승전(高僧傳), 한산기(漢山記), 악본(樂本)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
- 본관 :
- 경주
-
화랑세기 필사본 화랑세기(筆寫本 花郞世記), 花郎世紀내용 『화랑세기(花郞世紀)』는 진골귀족(眞骨貴族) 출신으로 704년(성덕왕 3) 한산주(漢山州) 도독(都督)이 된 김대문(金大問)이 『고승전(高僧傳)』 · 『악본(樂本)』 · 『한산기(漢山記)』 · 『계림잡전(鷄林雜傳)』과 함께 저술하였는데, 오늘날에는 모두 전하지 않는다. 그러나 『삼국사기(三國史記)』에 “현명...
- 유형 :
- 문헌
- 분야 :
- 역사/고대사
-
김대문 한산주 도독 임명 『고승전』, 『화랑세기』 저자신라의 저술가 김대문이 한산주 도독으로 임명됐다. 김대문은 삼국 시대 이래 유명한 승려들에 관한 기록인 『고승전』을 썼고, “어진 재상과 충성스러운 신하……훌륭한 장수와 용감한 병사”를 배출한 화랑들에 대해 기록한 『화랑세기』도 썼다. 안타깝게도 이 훌륭한 책들은 오늘날 전하지 않는다. 참조
- 시대 :
- 704년
- 참고 :
- 화랑세기는 조선 시대 이래 없어진 책으로 여겨져 왔으나, 1989년 갑자기 필사본이 공개됐다. 학계에서는 이 필사본이 진짜인가 가짜인가를 놓고 논쟁을 벌이고 있다.
- 국가/대륙 :
- 한국
-
Kim Dae-mun 김대문, 金大問Kim Dae-mun (fl. early 8th century) was a Silla historian. He was the governor of Hansan in 704. According to book 46, biography section of Samguk Sagi, he wrote several books. Tales from Gyerim (계림잡전, Gyerim is an old word for Silla) Records of Hansan( 한산기) Biographies of Monks of the Anc...출처 영어 위키백과
-
-
계림잡전 鷄林雜傳내용 『삼국사기』는 김대문의 저술로 『고승전(高僧傳)』·『화랑세기(花郎世記)』·『악본(樂本)』·『한산기(漢山記)』 등을 소개하면서, 『계림잡전』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 혹 『계림잡전』이 고려시대 김부식(金富軾) 당시에도 전하고 있었으나, 유교적 관점에서 하찮게 여겨지던 설화집에 지나지 않아...
- 시대 :
- 고대/남북국
- 저작자 :
- 김대문
- 창작/발표시기 :
- 신라시대
- 성격 :
- 설화집
- 유형 :
- 문헌
- 분야 :
- 역사/고대사
-
고승전 高僧傳내용 『고승전(高僧傳)』은 우리나라 승려들의 최초 전기집으로 통일신라 때 김대문(金大問, ?~?)이 찬술하였다. 이 책은 현재 존재하지는 않지만 『삼국사기(三國史記)』가 편찬된 고려 인종 무렵까지는 전해졌던 것으로 보인다. 김대문이 찬술한 『화랑세기(花郞世紀)』·『악본(樂本)』·『한산기(漢山記)』 등이...
- 시대 :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저작자 :
- 김대문
- 성격 :
- 역사서, 고승전
- 유형 :
- 문헌
- 분야 :
- 종교·철학/불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