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금강삼매경론 金剛三昧經論
    불교경전 〈금강삼매경〉을 원효(元曉:617~686)가 최초로 주해한 주석서.|3권. 당시 국왕이 〈금강삼매경〉에 대한 설법을 듣고자 마련한 대법회에서 강론을 하기 위해 집필한 것으로, 송(宋)의 〈고승전 高僧傳〉 권4의 〈신라국사문원효전 新羅國沙門元曉傳〉에 이 논을 저술한 연기가 소개되어 있다. 이 책은 〈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금강삼매경론 金剛三昧經論
    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은 『금강삼매경(金剛三昧經)』에 대한 통일신라 승려 원효(元曉, 617-686)의 주석서이다. 『금강삼매경』에 대한 현존 최초의 주석서이자 『기신론소(起信論疏)』와 함께 원효의 사상을 대표하는 2대 저술로 평가받고 있다.|서지사항 전 3권. 대장도감에서 발행한 고려 대장경 보유판...
    시대 :
    고대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금강삼매경론
    한국의 불교 《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은 신라의 고승 원효가 지은, 《금강삼매경》의 해석서이다. 신문왕 6년(686년)에 이룩된 것으로 3권 1책의 목판본이다.동양사상 > 한국의 사상 > 통일신라시대의 사상 > 통일신라시대의 불교사상 > 금강삼매경론,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금강삼매경론》은 《대승기신...
    도서 위키백과
  • 주소본 注疏本
    것이다. 의상이 방대한 『화엄경』의 정신을 간결하면서도 적절하게 요약함으로써 그의 위대한 학덕은 이 「법계도」에 의해서 증명되었다. 원효의 『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의 장소는 원래 원효가 『금강삼매경』에 대한 ‘약소(略疏)’로 찬술한 것이다. 원효는 『금강삼매경론』을 저술하면서 ‘능가경(楞伽經...
    유형 :
    개념
    분야 :
    언론·출판/출판
  • 대안 大安
    대안’으로 불렸다. 그가 ‘대안’이라 외치고 다닌 것은 오랜 전란으로 심신이 지친 백성들에게 심리적으로 평안함을 주려는 방편이었다. 그의 행적은 『금강삼매경론』 찬술과 관련하여 발견할 수 있다. 신라의 국왕은 대안에게 품목이 뒤섞인 이 경전의 내용을 정리해 달라며 궁궐로 초청하였다. 하지만 그는 궁궐로...
    시대 :
    고대/삼국/신라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원효 元曉
    때에는 온 천하를 다 찾아도 자취를 찾을 수가 없었다고 한다. 그의 교화방법은 중국의 고승 배도(杯度)나 지공(誌公)을 닮은 데가 많았다. 원효가 ≪금강삼매경론 金剛三昧經論≫을 찬술할 때와 관련해 다음과 같은 설화가 전하여 온다. 한번은 국왕이 100명의 고승대덕(高僧大德)을 초청하여 인왕경대회(仁王經大會)를...
    시대 :
    고대/남북국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오근 五根
    오무루근이라는 두 종류의 함의가 있다. 이들은 모두 불교학의 기본 개념이므로, 원측의 『인왕경소(仁王經疏)』, 『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 원효의 『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 『기신론소(起信論疏)』 등과 같은 신라 시대의 경론 주석서에서 자주 언급된다. 가령 원효의 『기신론소』에서는 여래의 색신(色身...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벽관 壁觀
    같이 적정무위의 무분별이 되는 것을 이입이라 말한다.”( 『금강삼매경』 권 1, 『대정장』 9, p.369 하)고 설명되어 있다. 이것은 원효(元曉)에게 “이미 자타가 평등한 공을 터득했기 때문에 마음이 금강처럼 굳게 머물러 물러남이 없다.”(『금강삼매경론』 권 중, 『대정장』 34, p.985 중)라고 계승되었다. 참고문헌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원효 끝없는 정진으로 불교의 진리를 터득하다
    객관적 사물, 이 둘 모두 절대적 특성을 가지지 않는다는 삼공(三空)의 바다를 진이니 속이니 하며 대립한다. 이를 모두 원융하니 그냥 길이 즐겁다. - 《금강삼매경론》 원효가 주장자를 쾅 내리치며 이렇게 소리치자 대중들은 무엇인지 알아들을 것 같았다. 이 자리에 있던 모든 사람들이 원효의 강설을 들으며 찬탄해...
    출생 :
    617년
    사망 :
    686년
  • 대한불교원효종 원효종, 大韓佛敎元曉宗
    사상을 이어받아 대중불교와 생활불교를 구혐함으로써 사회 교화와 불국토 건설에 이바지함을 실천 목표로 하고 있다. 소의경전(所依經典)은 원효의 『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 『기신론해동소(起信論海東疎)』, 『법화종요(法華宗要)』, 『열반종요(涅槃宗要)』, 『무량수경종요(無量壽經宗要)』, 『발심수행장...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법신 법불(法佛), 法身
    있다고 설하든, 색이 없다고 설하든 모두 도리가 있다고 하면서, 두 설에 대해 더 높은 법문인 여래장 법문으로 수용하여 화쟁을 시도한다. 원효는 『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에서 법신의 이명으로 ‘중생의 본각’을 추가한다. 그리고 법신이 번뇌에 덮인 측면을 여래장이라고도 한다. 원효는 모든 행위법이 법신...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정반왕경소 淨飯王經疏
    평가받고 있다. 이 책에는 ‘해동흥륜사사문 도륜집찬(海東興輪寺沙門 道倫集撰)’이라고 하여 그가 흥륜사의 승려였음도 알 수 있다. 또한 원효의 『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에 나타난 오류를 지적하기도 하였다. 그는 『정반왕경소(淨飯王經疏)』 외에도 『금강반야경약기(金剛般若經略記)』, 『법화경소(法華...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저작자 :
    도륜(道倫)
    성격 :
    주석서, 불교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권
    분야 :
    종교·철학/불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8건

금강삼매경론
금강삼매경론
금강삼매경론
금강삼매경론
금강삼매경론
금강삼매경론
금강삼매경론
《금강삼매경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