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그레고리력 Gregorian calendar, グレゴリオ暦
    그레고리력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통용하는 태양력(太陽曆)으로, 1582년에 교황 그레고리오 13세가 이전 율리우스력을 개정하여 시행한 역법을 말한다. 율리우스력 계산법은 천체운행과 불일치함으로 간극이 발생했기에 이를 보정하고자 새로운 역법을 만들었다. 그레고리력은 달 운동과 관계없이 태양 운행만 기준으로 ...
    도서 위키백과
  • 양력 속에 사라진 10일은 어디로?
    2070년 2월 29일에 태어난 김씨는 양력 생일이 4년에 한번씩 찾아온다. 윤년 제도 때문이다. 즉 4로 나눠떨어지는 해에만 2월 29일이 있기 때문에 1년에 366일이 되는 해를 윤년이라 부른다. 따라서 4년마다 김씨는 비로소 진정한 자기 생일을 맞게 된다. 그런데 30살이 되던 2100년. 4년 만에 찾아온 자기 생일을 기대...
    도서 과학향기 | 태그 우주 , 과학 일반
  • 달력 (관련어 그레고리력)
    사람들은 계절이 바뀌는 것이 천체의 움직임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일찍부터 알았어요. 고대 이집트 사람들은 별자리 위에서 움직이는 태양의 위치를 살피는 것으로 계절의 변화를 미리 예측할 수 있었다고 해요. 초저녁 해가 진 직후 북쪽 지평선 위에 놓인 북두칠성의 모양이나 북쪽 하늘 위로 지나가는 별자리를 보고...
    연대 :
    기원전 710년 경
  • 그레고리력이란? Gregorian calendar
    정하였다. 그것은 400년에 세 번의 윤년을 없애 97번의 윤년을 두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1900년은 윤년이 아니지만, 2000년은 윤년이다. (오늘날 그레고리력 ‘규정’에 따르면 4로 나누어떨어지는 해마다 윤년이 된다. 그러나 100으로는 나누어떨어지지만 400으로는 나누어떨어지지 않는 해는 제외된다.) 몇몇...
  • 시간과 달력
    나누었는데, 이 개념은 오늘날까지 그대로 사용되고 있다. 나머지 5일로는 열세 번째 달을 만들어 축제를 하고 제사를 지내며 보냈다. 율리우스력과 그레고리력 로마 공화정 말기인 기원전 48년, "주사위는 던져졌다"라는 말과 함께 반란을 일으키고 루비콘 강을 건넌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군대는 패주하는 폼페이우스...
  • 그레고리력 완성
    그레고리력은 오늘날 우리가 쓰는 달력으로, 기원전 45년부터 유럽의 달력으로 쓰인 율리우스력을 개정한 것이다. 1년의 길이를 365.2425일로 정했다. 참고로 중국에서 1281년 제작된 수시력 역시 1년의 길이를 365.2425일로 정했다. 참조
    시대 :
    1582년
    국가/대륙 :
    유럽
  • 윤년 閏年, leap year
    특별히 그레고리력의 윤년은 평상적인 2월 28일 대신 2월 29일까지 있다. 천문학적으로 년은 지구가 태양의 주위를 완전히 1바퀴 도는 시간으로 대략 365.242일 또는 근사치로 365.25일이다. 1/4일을 고려하기 위해서 BC 46년 처음으로 율리우스력을 만들 때 4년마다 하루가 더해졌다. 수세기가 지나면서 대략적인 값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우주
  • 역월 曆月, Calendar month
    된다. 또한, 100으로 나누어떨어지는 해 중에서 400으로 나누어떨어지지 않는 해는 평년으로 정했다. 이 방식이 현재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그레고리력이다. 그레고리력에서는 4년마다 한 번씩 돌아오는 2월 29일이 윤일이며 이를 포함한 해가 윤년이 된다. 그레고리력에 따라 2016년은 100으로 나누어지지 않으며 4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수학 , 과학 일반
  • 윤년 閏年, leap year
    윤년은 역법을 실제 태양년에 맞추기 위해 여분의 하루 또는 월(月)을 끼우는 해이다. 태양년은 정수의 하루로 나누어떨어지지 않고, 달의 공전주기와 지구의 공전주기가 다르기 때문에 태양력에서는 하루(윤일), 태음태양력에서는 한 달(윤달)을 적절한 시기에 끼워서 이를 보정한다. 태양력에서 윤년은 보통 윤일이...
  • 역산 그레고리력 Proleptic Gregorian calendar, 先発グ..
    역산 그레고리력(proleptic gregorian calender)은 그레고리력이 도입된 1582년 이전, 또는 해당 국가에서 율리우스력이 쓰이던 기간에 대해 그레고리력을 적용한 역법이다. 조지 워싱턴의 생일(대통령의 날) 한글날 세종대왕 나신 날 역산 율리우스력
    도서 위키백과
  • 양력과 음력
    해당되는 윤일(閏日)의 수를 두어야 절후에 맞게 된다는 뜻이다. 율리우스력(Julian calendar)에서는 4년에 1윤일을 두는 방법이 채택되었고, 현행력인 그레고리력(Gregorian calendar, 1582년)에서는 400분의 97, 즉 400년에 97일의 윤일을 두도록 만들어져 있다. 우리나라는 1896년 1월 1일부터 태양력을 쓰기 시작...
  • 역법 曆法, calendar
    기준으로 하여 만든 역으로 4계절의 변화와는 부합하나 달의 삭망과는 전혀 일치하지 않는다. 태양력으로는 고대 이집트력, 고대 로마력, 율리우스력과 그레고리력 등이 있다. 태음태양력의 경우 한 달의 길이를 1삭망월로 한 것은 태음력과 같으나 달의 위상변화를 계절의 변화와 맞추기 위해 12개월의 평년과 13개월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우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그레고리력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