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선이 독립국임과 조선인이 자주민임을 세계에 알린 민족대표, 권병덕권병덕 선생이 출간하려 한 <조선총사(朝鮮總史)> 중 나는 차라리 계림의 개와 돼지가 될지언정 일본의 신하는 되지 않겠다. 출생과 성장 권병덕의 자(字)는 윤좌(潤佐)이고, 호는 우운(又雲), 도호(道號)는 청암(淸菴) 또는 정암(貞菴)이다. 1868년 4월 25일 충북 청주군 미원면 성화동(현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종암리...
-
권병덕 윤좌, 權秉德1868년 4월 25일 충청북도 청주군(淸州郡) 미원면(米院面) 성화동(聖化洞, 현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종암리)에서 부친 권문영(權文永)과 모친 신문화(申文嬅) 사이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안동이고, 자는 윤좌(潤佐)이며, 호는 우운(又雲), 도호(道號)는 청암(淸菴) ・ 정암(貞菴) 등이 있다. 선대는 경북에서 살아 증조...
- 출생 :
- 1868년 4월 25일, 충북 청주(淸州)
- 사망 :
- 1943년 7월 13일
- 본관 :
- 안동(安東)
- 주요활동 :
- 1885년 동학 입교, 1894년 동학농민운동 참가, 1915년 중앙시천교회본부 창설, 1919년 3・1운동 민족대표(천도교)
- 포상훈격 :
-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
-
권병덕 청암(淸菴), 權秉德일제강점기 민족대표 33인 중의 한 사람으로 독립선언서에 서명한 독립운동가. 천도교인.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호는 청암(淸菴)·정암(貞菴)·우운(又雲). 충청북도 청원 출신. 18세에 동학교인이 되었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94년 동학운동 때 손병희(孫秉熙)와 함께 6만명의 교도를 이끌고 호응했으나, 관군에 ...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67년(고종 4)
- 사망 :
- 1943년
- 유형 :
- 인물
- 직업 :
- 독립운동가, 천도교인
- 대표작 :
- 조선총사, 이조전란사, 궁중비사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본관 :
- 안동(安東)
-
권병덕 權秉悳3·1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 중 한 사람으로 서명한 천도교인이자 독립운동가. 본관은 안동, 자는 윤좌, 호는 청암 또는 정암, 우운이며 1884년 동학교인이 되어 갑오농민전쟁 때 참가했으나 패한 뒤 전국 각지를 방랑했다. 1908년 손병희가 일본에서 귀국한 뒤 제창한 천도교에 입교했다. 1912년에는 시천교에 가담하...
- 출생 :
- 1867. 4. 25, 충북 청주
- 사망 :
- 1943. 7. 13
- 국적 :
- 한국
- 본관 :
- 안동(安東)
- 자 :
- 윤좌(潤佐)
- 호 :
- 청암(淸菴), 정암(貞菴), 우운(又雲)
-
나인협 홍암, 羅仁協있다고 하여 동참할 뜻을 표하였다. 2월 27일 밤 김상규(金相奎)의 집에서 손병희 ・ 권동진(權東鎭) ・ 홍병기(洪秉箕) ・ 박준승(朴準承) ・ 양한묵 ・ 권병덕(權秉悳) 등의 천도교 지도자들과 함께 모였다. 이 자리에서는 독립건의서와 독립청원서를 일본 정부와 파리평화회의에 보내는 동시에 3월 1일 오후 2...
- 출생 :
- 1872년 10월 8일, 펑안남도 성천
- 사망 :
- 1951년 4월
- 관련 사건 :
- 민족대표 33인 중 1인으로 참여
- 본관 :
- 나주(羅州)
- 주요활동 :
- 1917년 천도교중앙총부 도사(道師), 1919년 민족대표 33인 중 1인으로 독립선언서 서명, 1922년 천도교중앙총부 종리사에 선출, 포덕과 주임
- 포상훈격 :
-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
-
나용환 羅龍煥손병희, 권동진, 오세창 등을 만났다. 권동진에게 독립선언 준비 계획을 듣고 동참하기로 하였다. 2월 27일 오세창 ・ 권동진 ・ 최린 ・ 김완규(金完圭) ・ 권병덕(權秉悳) ・ 나인협 ・ 양한묵 ・ 임예환 ・ 홍기조 ・ 홍병기 등과 함께 김상규(金相奎) 집에 모여서 독립건의서와 독립청원서를 일본 정부와 파리평화...
- 출생 :
- 1864년 8월 7일, 평안남도 성천(成川)
- 사망 :
- 1936년 8월 19일
- 관련 사건 :
- 1919년 만세운동
- 본관 :
- 나주(羅州)
- 주요활동 :
- 1919년 3월 1일 민족대표 33인 중 한 사람으로 3・1운동에 참여
- 포상훈격 :
-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
-
임예환 연암, 林禮煥되라고 권유하여 평소에 독립에 대한 생각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찬성하고 서명하기로 약속하였다. 2월 27일 오세창 ・ 권동진 ・ 최린 ・ 김완규(金完圭) ・ 권병덕(權秉悳) ・ 나인협 ・ 양한묵 ・ 나용환 ・ 홍기조 ・ 홍병기(洪秉箕) 등과 함께 김상규(金相奎) 집에 모여서 독립건의서와 독립청원서를 일본 정부와...
- 출생 :
- 1864년 7월 18일, 평남 중화(中和)
- 사망 :
- 1948년 5월 7일
- 관련 사건 :
- 3 ・ 1운동
- 주요활동 :
- 1912년 천도교 내 비밀결사 민족문화수호운동본부 참여, 1919년 3 ・ 1운동에 민족대표 33인 중 한 사람으로 참여
- 포상훈격 :
-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
- 관련 인물/단체 :
- 민족문화수호운동본부
-
시천교 侍天敎발전에 이바지했으나 일진회(一進會)를 조직, 친일적 노선을 걷게 되자 천도교로부터 출교를 당했다. 천도교에서 나온 뒤 그를 따르는 박형채(朴衡采)·권병덕(權秉悳)·송병준(宋炳畯) 등과 신도들을 모아 1906년 서울 견지동에서 시천교를 세웠다. 그리고 천도교의 대도주(大道主)로 있던 김연국(金演局)을 시천교의...
- 시대 :
- 근대
- 위치 :
- 서울특별시 견지동
- 설립 :
- 1906년
- 성격 :
- 종교, 신종교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이용구(李容九)
- 분야 :
- 종교·철학/신종교
-
김완규 송암, 金完奎기독교계 ・ 불교계와 함께 국민의 대표자로 독립선언을 하게 되었다는 말을 듣고 이에 찬동하였다. 2월 27일 오세창, 권동진, 최린(崔麟), 나용환(羅龍煥), 권병덕(權秉悳), 나인협(羅仁協), 양한묵(梁漢默), 임예환(林禮煥), 홍기조(洪基兆), 홍병기(洪秉箕) 등과 함께 김상규(金相奎) 집에 모여서 3월 1일 오후 2시...
- 출생 :
- 1876년 7월 9일, 서울
- 사망 :
- 1950년 12월 25일
- 관련 사건 :
- 3・1운동
- 주요활동 :
- 1919년 민족대표 33인 중 한 사람으로 만세운동에 참여
- 포상훈격 :
-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