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군위군의 교육·문화·의료·복지전통 교육기관으로 군위향교·의흥향교가 있었다. 2018년 기준 유치원 8개소, 초등학교 7개소, 중학교 4개소, 고등학교 2개교가 있다. 1984년에 발족한 문화원에서는 민속문화행사인 군위문화제와 출향민 2세의 고향문화유적지 순례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문화시설로는 군위읍에 군위군립도서관과 군민회관이 있으며...
-
팔공산 공산, 八公山모두 전사하여 팔공산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이외에도 팔공산 유래에 대해서는 중국 안휘성(安徽省)의 팔공산 지명 차용설 등 몇 가지 설이 있다. 자연환경 팔공산은 전체 배열이 주변의 구릉지와는 달리 종상의 산형을 이루고 있다. 지질은 주변에 넓게 분포한 경상누층군(慶尙累層郡)에 불국사화강암(佛國寺花...
- 유형 :
- 지명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부계면 缶溪面, Bugye-myeon대한민국 대구광역시 군위군 남부에 있는 면. 면 전체가 산지로 둘러싸여 있으며, 남동쪽에는 팔공산(1,193m)이 솟아 있다. 소규모 하천이 면의 중앙을 남북방향으로 흐르며, 이들 연안에 좁고 긴 평야가 발달해 있다. 사질양토에서 재배되는 사과가 특산물로 유명하다. 매년 봄에는 사과꽃축제가 개최되며, 가을에는...
- 인구 :
- 2,025 (2019)
- 면적 :
- 64.81㎢
- 행정구역 :
- 14개리 43개반 (법정리 8개리)
- 소재지 :
- 대구광역시 군위군
- 사이트 :
- http://www.gunwi.go.kr/ch/bugye/
-
삼국유사면 三國遺事面, Samgukyusa-myeon대한민국 경상북도 군위군 동부에 있는 면. 면의 대부분이 험준한 산지를 이루고 있으며, 평야의 발달이 미약하다. 화산의 고위평탄면(600~800m)에는 개척촌이 이루어졌으며 고랭지채소가 재배되고 있다. 파·가지가 군내에서 가장 많이 나며 약초·잎담배도 생산된다. 원래 이름은 '고로면(古老面)'이었으나 화북리에...
- 인구 :
- 1,353 (2019)
- 면적 :
- 114.61㎢
- 행정구역 :
- 18개리 45개반 (법정리 11개리)
- 소재지 :
- 경상북도 군위군
- 사이트 :
- http://www.gunwi.go.kr/ch/goro/
-
산성면 山城面, Sanseong-myeon대한민국 경상북도 군위군 중앙부에 있는 면. 북동부는 구릉성 산지를 이루며, 동부에는 조림산(638m)을 비롯한 산이 많다. 위천의 지류들이 흐르는 서부에는 비교적 넓은 평야가 발달했다. 논농사는 물론 밭농사도 활발하여 마늘·대추·양파·오이 등의 생산이 많다. 유물·유적으로는 화본리 오층석탑(경상북도...
- 인구 :
- 1,231 (2019)
- 면적 :
- 36.77㎢
- 행정구역 :
- 14개리 44개반 (법정리 7개리)
- 소재지 :
- 경상북도 군위군
- 사이트 :
- http://www.gunwi.go.kr/ch/sanseong/
-
창평지 친환경 생태공원(창평지)창평지 친환경 생태공원은 경북 군위군 부계면 창평리에 있는 친환경 생태 공원이다. 농업용수 공급을 위한 인공 저수지인 창평지 주변을 생태 탐방로 1.8㎞를 조성했다. 생태탐방로는 자연 친화적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나무 데크를 사용했으며, 저수지 수목을 최대한 보존하면서 설치하였다. 저수지를 가로지르는...
- 위치 :
- 대구광역시 군위군 부계면 창평리 1547
-
대구광역시 大邱廣域市이후, 1981년 직할시로 승격하면서 인접한 경산군, 달성군, 칠곡군의 일부 읍면을 편입했다. 1995년 광역시로 개편된 후에 달성군을 통합했으며, 2023년에는 군위군을 편입하여 지금에 이른다. 대구광역시의 도심에 해당하는 대구분지는 북쪽으로 팔공산을 중심으로 하는 산지와 남쪽으로 청룡산으로 이어지는 산지...
- 위치 :
- 대한민국 동남부
- 인구 :
- 2,373,844 (2024)
- 면적 :
- 1,497.70㎢
- 행정구역 :
- 7개구 2개군 7개읍 10개면 130개 행정동
- 사이트 :
- http://www.daegu.go.kr/
-
군위군 軍威郡1개 읍, 7개 면, 180개 행정리(92개 법정리)가 있다. 군청은 대구광역시 군위군 군위읍 동부리에 있다. 2023년 7월 1일 대구광역시에 편입되었다. 자연환경 군의 최남단에 팔공산(八公山, 1,193m)이 우뚝 솟아 있어 대구광역시와 경계를 이루며, 지맥(支脈)이 동북쪽으로 뻗어 청송군 · 영천시와의 경계를 따라 분수령...
- 시대 :
- 현대
- 유형 :
- 지명/행정지명ˑ마을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
대구광역시 달구벌, 大邱廣域市자연환경 지형은 분지(盆地)적 지형으로서 남부 산지, 북부 산지, 중앙부와 서남부 저지(低地)로 이뤄져 있다. 북부 산지는 거대한 팔공산괴(八公山塊)로서 중생대 백악기 말에 경상누층군이 퇴적된 후에 이를 뚫고 관입한 불국사화강암(佛國寺花崗岩)으로 형성된 산괴이다. 팔공산괴는 안심(安心)의 동북쪽 초례봉(礁禮...
- 시대 :
- 현대/대한민국
- 위치 :
- 경상북도 남부
- 유형 :
- 지명/행정지명ˑ마을
- 면적 :
- 883.52㎢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